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관용어 교육의 목표 및 방향 설정
2) 관용어 교육의 단계별 교육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서론
Ⅱ.
본론
1) 관용어 교육의 목표 및 방향 설정
2) 관용어 교육의 단계별 교육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① 깨끗이 먹다. ② 이익이 없다. ③ 손해를 보다. ④ 먹을 것이 없다.
중급에서는 수식 또는 부정형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위의 보기를 제시하고, 그에 적절한 관용어를 선택하여 활용하는 문제 출제가 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를 통하여 학습자는 관용어에 대한 의미뿐 만 아니라 제시된 대화문에 대한 문맥 파악 및 문맥에 맞는 관용어 활용 능력을 기를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 통합활용: 학습자가 의사소통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관용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관용어에 대한 기본형 및 활용형에 대한 학습 또한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관용어에 대한 용법 상 제약들 가운데 필요한 내용을 선별하여 교육해야 한다. 또한 학습자 수준에 맞는 관용어 활용 예문들을 통하여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관용어의 형태가 고정적이긴 하지만, 조사의 생략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교육 또한 이루어져야 한다.
Ⅲ. 결론
이상 중급에 대한 관용어 교육에 대한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관용어는 수많은 사람들이 오랜기간 동안 습관적으로 사용한 경험을 통하여 새로운 의미로 생성된 것이기 때문에 외국인에게 있어서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으나,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있어서 관용어 교육은 필수적인 교육 과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있어서 살아있는 표현 내지는 한국문화를 이해하고, 한국인의 사고방식을 올바르게 전달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한국어의 관용어를 접하는 대부분의 경우에는 한국어 교재를 통해서로 보이며, 교재는 워낙 다양하고, 교재마다 특성을 가지고 잇기 때문에 학습자의 학습목적에 맞는 적절한 교재를 선택하기는 쉽지 않다고 생각된다. 또한 관용어는 시대에 변화에 따라서 다양한 변화되어 가거나 새로 생성되는 경우도 많은데 기존의 교재가 이를 따라가는 것에 한계가 있다고 생각되며, 이러한 변화를 빠르게 적용하는 것 마저 쉽지 않아 보인다. 따라서 관용어 교육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육 방안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며 본 과제를 마치고자 한다.
Ⅳ. 참고문헌
김부경(2005).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관용어 교육 방안 연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정관(2015). 한국어 학습자의 관용표현 인식양상분석 및 지도방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구효진(2011). 한국어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중급에서는 수식 또는 부정형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위의 보기를 제시하고, 그에 적절한 관용어를 선택하여 활용하는 문제 출제가 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를 통하여 학습자는 관용어에 대한 의미뿐 만 아니라 제시된 대화문에 대한 문맥 파악 및 문맥에 맞는 관용어 활용 능력을 기를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 통합활용: 학습자가 의사소통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관용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관용어에 대한 기본형 및 활용형에 대한 학습 또한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관용어에 대한 용법 상 제약들 가운데 필요한 내용을 선별하여 교육해야 한다. 또한 학습자 수준에 맞는 관용어 활용 예문들을 통하여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관용어의 형태가 고정적이긴 하지만, 조사의 생략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교육 또한 이루어져야 한다.
Ⅲ. 결론
이상 중급에 대한 관용어 교육에 대한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관용어는 수많은 사람들이 오랜기간 동안 습관적으로 사용한 경험을 통하여 새로운 의미로 생성된 것이기 때문에 외국인에게 있어서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으나,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있어서 관용어 교육은 필수적인 교육 과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있어서 살아있는 표현 내지는 한국문화를 이해하고, 한국인의 사고방식을 올바르게 전달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한국어의 관용어를 접하는 대부분의 경우에는 한국어 교재를 통해서로 보이며, 교재는 워낙 다양하고, 교재마다 특성을 가지고 잇기 때문에 학습자의 학습목적에 맞는 적절한 교재를 선택하기는 쉽지 않다고 생각된다. 또한 관용어는 시대에 변화에 따라서 다양한 변화되어 가거나 새로 생성되는 경우도 많은데 기존의 교재가 이를 따라가는 것에 한계가 있다고 생각되며, 이러한 변화를 빠르게 적용하는 것 마저 쉽지 않아 보인다. 따라서 관용어 교육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육 방안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며 본 과제를 마치고자 한다.
Ⅳ. 참고문헌
김부경(2005).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관용어 교육 방안 연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정관(2015). 한국어 학습자의 관용표현 인식양상분석 및 지도방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구효진(2011). 한국어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