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의사소통의 종류
2) 방어기제의 종류
3) 의사소통에서 방어기제의 활용
3.
결론
서론
2.
본론
1) 의사소통의 종류
2) 방어기제의 종류
3) 의사소통에서 방어기제의 활용
3.
결론
본문내용
- 합리화(rationalization)
자책이나 죄책감을 회피하기 위해 현실을 왜곡하여 인지하는 것으로,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면 다른 이유를 찾아내서 스스로 상처받는 것을 방지하는 방어기제이다. 합리화는 무의식적인 작용으로 거짓말이나 변명과 같은 의식적인 행동과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
- 승화(sublimation)
승화는 사회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욕구를 허용되는 행위로 전환하는 것으로, 공격적 충동을 한 사람이 운동선수가 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승화는 성숙하고 건설적인 방어기제로 여겨진다.
3) 의사소통에서 방어기제의 활용
비난형의 경우, 의사소통에 있어 타인의 잘못을 하는 방식을 취하는데 이는 방어기제 중 투사가 발현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비난형의 의사소통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승화를 통한 욕구전환이 효과적일 수 있다. 부정적인 욕구를 다른 방향으로 분출함으로써 타인에 대한 배려를 극대화할 수 있다. 산만형은 관심을 집중하여 대화하기 어려운 이유를 억압에 빗대어 생각해볼 수 있는데 현실을 직면하는 의사소통을 하기 어려운 것은 부정적인 기억이나 상황을 마주하지 않으려는 방어기제가 발동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유형에서는 전위를 통해 부정적인 개념을 해소하여 의사소통에 참여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일치형은 가장 이상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유형으로 별도의 방어기제가 필요하지 않으리라고 여겨진다. 초이성형은 자신의 논리를 합리화를 통해 주장하지만, 내면이 약한 것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부정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보다 강화하는 것이 도움될 수 있다. 회유형은 자신보다 타인에 과도한 중점을 두고 있는 유형으로 동일시를 통해 타인과 나의 균형을 맞추어 의사소통에 참여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3. 결론
개인의 사상과 관점은 다르므로 타인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쉽지 않은 일임은 당연할 것이다. 다양한 의사소통의 유형 역시 타인과의 대화 속에서 스스로 보호하고 상처받고 싶지 않은 방어기제가 발현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어기제가 의사소통에 있어 방해의 요소가 될 수도 있지만, 오히려 앞서 알아본 바와 같이 이를 잘 인지하고 의사소통에 활용한다면 더욱 원활한 대화에 임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네이버 블로그] [정신분석] 프로이트 방어기제|작성자 U Sim 유심
https://blog.naver.com/discipline0419/222321898930
자책이나 죄책감을 회피하기 위해 현실을 왜곡하여 인지하는 것으로,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면 다른 이유를 찾아내서 스스로 상처받는 것을 방지하는 방어기제이다. 합리화는 무의식적인 작용으로 거짓말이나 변명과 같은 의식적인 행동과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
- 승화(sublimation)
승화는 사회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욕구를 허용되는 행위로 전환하는 것으로, 공격적 충동을 한 사람이 운동선수가 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승화는 성숙하고 건설적인 방어기제로 여겨진다.
3) 의사소통에서 방어기제의 활용
비난형의 경우, 의사소통에 있어 타인의 잘못을 하는 방식을 취하는데 이는 방어기제 중 투사가 발현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비난형의 의사소통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승화를 통한 욕구전환이 효과적일 수 있다. 부정적인 욕구를 다른 방향으로 분출함으로써 타인에 대한 배려를 극대화할 수 있다. 산만형은 관심을 집중하여 대화하기 어려운 이유를 억압에 빗대어 생각해볼 수 있는데 현실을 직면하는 의사소통을 하기 어려운 것은 부정적인 기억이나 상황을 마주하지 않으려는 방어기제가 발동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유형에서는 전위를 통해 부정적인 개념을 해소하여 의사소통에 참여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일치형은 가장 이상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유형으로 별도의 방어기제가 필요하지 않으리라고 여겨진다. 초이성형은 자신의 논리를 합리화를 통해 주장하지만, 내면이 약한 것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부정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보다 강화하는 것이 도움될 수 있다. 회유형은 자신보다 타인에 과도한 중점을 두고 있는 유형으로 동일시를 통해 타인과 나의 균형을 맞추어 의사소통에 참여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3. 결론
개인의 사상과 관점은 다르므로 타인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쉽지 않은 일임은 당연할 것이다. 다양한 의사소통의 유형 역시 타인과의 대화 속에서 스스로 보호하고 상처받고 싶지 않은 방어기제가 발현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어기제가 의사소통에 있어 방해의 요소가 될 수도 있지만, 오히려 앞서 알아본 바와 같이 이를 잘 인지하고 의사소통에 활용한다면 더욱 원활한 대화에 임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네이버 블로그] [정신분석] 프로이트 방어기제|작성자 U Sim 유심
https://blog.naver.com/discipline0419/222321898930
추천자료
정신분석치료의 치유
[상담심리학]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게슈탈트 상담이론을 비교, 설명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되는 방어기제의 기능에 대해 서술하십시오.
[정신건강론]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되는 방어기제의 기능에 대해 서술하십시오.
[간호학] 물질관련 장애 - 알코올 장애 - 간호과정
[간호학] 알콜장애 간호과정
[2020 정신건강론][기말시험] 1.프로이트, 에릭슨, 매슬로우가 말하는 정신이 건강한 사람은 ...
[정신건강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되는 방어기제의 기능에 대해 서술하십시오
정신건강론 )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되는 방어기제의 기능에 대해 서술하십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