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테일러와 로버츠의 모델
2) 웨일과 겜블의 모델
3) 포플의 모델
3.
결론
서론
2.
본론
1) 테일러와 로버츠의 모델
2) 웨일과 겜블의 모델
3) 포플의 모델
3.
결론
본문내용
것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테일러와 로버츠의 실천모델은 복지서비스의 개발과 기획, 제공에 초점을 둠으로써 후원자와 대상자의 권한결정을 명확히 하였다는 특징을 보이며, 이는 지역사회복지를 실천함에서 조직화나 대인관계에 중점을 두는 인간 지향적 측면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지역사회연계 모델은 주민과의 관계와 지지 강화의 중요성을 내세우며 교류를 통해 다양한 이익집단과의 관계 형성을 꾀하고 있다. 한편, 웨일과 겜블의 모델은 기능적 공동체조직사업을 일반 지역사회조직사업에서 분리하였으며 정치, 사회행동, 연합, 사회운동으로 세분되어 권력으로 지역사회 변화를 추구하면서 여러 집단의 장기적 협력관계를 통해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특징을 가진다. 하지만 지나치게 세분된 모델로서의 오히려 효용성이 약화하고 유형의 상당수는 목적과 방법이 중복된다는 단점을 가지기도 한다. 포플의 모델은 주민이 주체가 되어 자원을 활용하거나 개발하고 협동 활동을 통해 자원을 활용하거나 개발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단일모델보다는 다양한 유형으로 나누어 주민을 조직화할 수 있는 실천모델로 활용되는 장점이 있다. 각각의 모델이 추구하는 목표가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고 지역사회가 원하는 모델을 잘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지역사회복지론 교안
2. Jeong, Mu-Seong.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997): 21-37.
3. Jeong, Mu-Seong. \"지역사회복지의 전망과 과제.\"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0): 169-189.
[참고문헌]
1. 지역사회복지론 교안
2. Jeong, Mu-Seong.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997): 21-37.
3. Jeong, Mu-Seong. \"지역사회복지의 전망과 과제.\"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0): 169-189.
추천자료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의 유형, 지역사회복지 로스만의 모델, 테일러와 로버츠의 모델, 웨일...
2011년 2학기 지역사회복지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비교)
2012년 2학기 지역사회복지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비교)
2013년 2학기 지역사회복지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비교)
2014년 2학기 지역사회복지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비교)
[지역사회복지론 공통] 교재에 소개된 지역사회복지실천의 모델인 로스만의 모델, 웨일과 갬...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인 로스만의 모델, 웨일과 갬블의 모델, 테일러와 로...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과 실천모델의 발전방향
지역사회복지론)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 중 로스만의 모델, 로버츠와 테일러의 모델, 웨일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