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상담_집단상담에 대한 영상을 보고 집단원을 중심으로 집단발달과정을 설명하고, 마지막에는 발달단계에 대한 평가, 느낀점, 소감을 써주시면 됩니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집단상담_집단상담에 대한 영상을 보고 집단원을 중심으로 집단발달과정을 설명하고, 마지막에는 발달단계에 대한 평가, 느낀점, 소감을 써주시면 됩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집단발달과정과 평가

2) 느낀점 및 소감
3.
결론

본문내용

다.
① 평가
종결단계의 도입부에는 전날 숙소에서 있었던 소음문제에 대한 이야기로 상담이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각자의 사정을 이야기하며 자신이 느꼈던 상대방의 감정이 사실이 아니었단 것을 깨닫게 되었고, 지난 3일간 집단상담을 통해 얻은 것이 무엇인지, 집단에서 배운 것을 앞으로 자신의 삶에 어떻게 접목시킬 것인지에 대해 이야기했다. 집단원 중 질은 집단과의 교감을 위해 자기 자신을 보이는 위험을 감수해야 했다고 이야기 했으며 집단원들은 집단 초기와 현재의 차이점에 대해 가면 같은 게 보이지 않고 자신 또한 가면을 쓰지 않게 되었다고 이야기 했다.
3) 느낀점 및 소감
코리 부부가 진행한 집단 상담은 매우 빠르게 진행됐다. 공동 상담자인 제럴드 코리와 마리안 슈나이더 코리를 제외하고는 이번 집단 상담에서 만난 사람들은 대부분 처음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집단원들이 모두 모여 집단적인 대화와 협의를 하면서 얼마나 어색하고 불안감을 느꼈을지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상담 중 불안정한 상태에 접어든 집단원들이 많아 심리적 갈등이나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보인다. 필자가 가장 인상깊게 본 장면은 작업단계에서 케이시가 수잔에게 동성애자임을 고백하며 발생하는 감정의 충돌이었다. 자신이 동성애자임을 밝히는 케이시의 마음에서 자신의 가족과 친구들에 대한 염려와 슬픔이 느껴졌다. 또한 코리 부부의 단체 상담 고객들의 공통점은 고립감이었던 것 같다. 많은 집단원들은 \"제가 낯선 사람인 것이 두렵다\"라고 말하며, 처음 만난 사람들에게 어떻게 보일지,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갈등했다. 필자 또한 한 사람에게도 마음을 열기가 쉽지 않은데, 처음 보는 이들이 모여서 이야기를 나눈 것은 이해가 되며 대부분의 집단원들이 이렇게 불안정한 모습을 보인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했다. 마지막으로 상담자는 갈등을 정직하게 인식하고 대처하는 것의 가치를 알아가도록 독려해야 하며 통제할 수 없는 행동을 지적하고 집단에서 공유된 책임을 받아들이는 방법을 알게 해주어야 한다는 생각을 했으며 이러한 상담에 익숙하지 않은 내담자들에게 집단 상담에 대한 도전을 직접적이고 정직하게 해결함으로써 참가자들에게 모델을 제공해야 하며 참가자들이 자발적이고 독립적이 될 수 있도록 힘을 실어 주어야 한다는 것을 느꼈다.
3. 결론
본 영상을 감상하고 레포트를 작성하며 집단구성원 개인의 세계가 넓혀지는 것을 느꼈다. 또한 상담을 리드하는 상담자 또한 여러 내담자와 소통하며 자기 이해의 폭이 넓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했다. 이처럼 상담자가 단체 상담의 일원으로 참여하면 자기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자기 성장을 위한 기회가 될 것이다. 상담은 타인이 자신의 문제나 고통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활동이며, 동시에 집단원이 문제 해결과 증상 완화를 넘어 자기 성장의 길을 갈 수 있도록 돕는 목표 중심의 활동이다. 그러므로 상담자들은 자신이 성장한 만큼 상담을 매끄럽게 진행할 수 있다. 상담은 타인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자신을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타인을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담사 역시 집단상담을 통해 자기이해의 폭을 넓힐 필요가 있다. 집단상담은 인간관계를 학습하고 훈련하는 가장 좋은 장소이기 때문에 집단상담에 상담자가 집단상담에 참여하는 것은 상담자로서, 개인으로서 상담자의 성격, 가치관, 동기 및 목적을 재정립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참고문헌]
집단의 전개과정_집단상담, https://youtu.be/FhgmM3qSLWM
김동원, 김정희, & 김지연. (2004).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의 효과 개관. 상담학연구, 5(4), 1035-1049.

키워드

레포트,   과제,   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3.05.12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68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