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호과정(급성통증, 신체 기동성 장애, 감염 위험성)
본문내용
력 징후 안정적인 것을 확인하고 4~8시간 간격으로 측정했다.
2. 라운딩하며 수술부위의 국소적 감염 여부를 사정했으며 입원기간동안 국소적 감염 징후는 없었다. 드레싱이 덮여 있는 동안에는 드레싱 위나 주변으로 농성분비물이 배어 나오는지, 주변 피부가 붉어지고 통증과 부종이 증가하는지 관찰하고, 드레싱 교환 시 노출된 수술 부위를 더욱 자세히 관찰했다.
3. 라운딩 시, 처치 시마다 대상자 상태를 확인했다. 발열, 홍조, 발한, 오한 등의 전신적 감염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4. 처방에 따라 임상 검사를 시행하고 감염지표를 확인했다.
5. 근무번마다 foley catheter로 배출되는 소변 색, 투명도, 냄새를 확인했다.
1. 대상자의 체온은 입원기간동안 발열없이 정상범위를 유지했다.
4. 임상검사 결과를 통한 상태파악: 초기 CRP 2.5㎎/㎗가 약간 상승되어 염증 수치가 올라가 있었으나 점차 수치 감소하여 6/7 정상 범위로 확인되었다. 그 외 임상 검사상의 유의미한 감염을 시사하는 근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5. 소변은 맑고 투명한 연노란색으로 배출되며 요로감염의 징후는 없었다. POD#2에 foley catheter remove 후 성공적인 자가배뇨 했으며(400ml) 작열감이나 소변의 감염 징후는 없었다.
<치료적 수행>
1. 처방에 따라 예방적 항생제의 투약을 시행했다.
2. Hemovac #1, IV line, foley catheter 모두 삽입 부위의 감염을 일으키지 않았고, 필요성이 없어짐에 따라 하나씩 제거되었다.
3. 수술 상처부위 관리, 대상자 간호 및 IV line과 배액관 관리 전 반드시 흐르는 물과 비누로 30초 동안 6단계 ‘손바닥-손등-손깍지-손가락-엄지-손톱’ 순서로 손씻기를 시행하고, 한 대상자 간호 중에도 다른 부위 처치 시 알콜젤로 중간에 손소독을 시행했다.
4. POD#2부터 2일마다 수술 부위의 수술 부위 오래된 dressing을 제거하고 새로 소독 후 dressing 시행했다. 방수 밴드를 적용해서 물이 닿지 않도록 했다. 퇴원 후 외래 방문하여 소독, 봉합 제거를 받도록 하고 드레싱 밴드를 직접 떼어내지 않도록 교육했다.
5. 수술 상처 부위 소독, 침습적 중재 시 멸균 장갑 착용, 멸균 약품과 드레싱 세트 사용 등 무균법을 철저히 준수했다.
1. Pazeron Inj. 1g IV BID (AST: N) 3days (성분: Cefazedone Sodium)
2. ▷POD#1: heparin cap만 남기고 IV 수액줄 제거, PCA remove
▷POD#2: foley catheter remove, Hemovac #1 remove
▷POD#3: heparin cap remove
<교육적 수행>
1-2. 대상자, 보호자(자녀)에게 수술 후 감염 합병증의 발생 가능성이 있다는 것, 감염이 초래할 수 있는 결과 및 보고해야 할 감염 증상 및 감염 예방법에 대해 교육했다.
▷RN: “수술 부위에 조직을 절개하고 관을 삽입했기 때문에 거기로 세균이 들어가면 감염이 생길 수 있어요. 감염이 심하면 재활이 어렵고 재수술을 해야할 수도 있어서 감염되지 않게 예방하는 것이 중요해요. 그래서 항상 건조하고 청결하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수술 부위가 빨갛게 되거나 많이 아프고 붓고 고름이 나오는 증상이 생기면 감염일 수 있으니 즉시 말씀해주세요. 몸에 열이 나거나 춥고 떨리는 증상이 있어도 바로 알려주셔야 합니다. 소변줄을 삽입했기 때문에 요로감염이 있을 수도 있는데 소변 색깔이 탁하거나 냄새가 심하거나 따가운 느낌 등 이상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물을 충분히 드시고 소변줄 제거 후에 항상 소변은 참지 말고 잘 보시는 것이 좋아요. 그리고 소독된 부위는 만지거나 밴드를 떼지 마시고 오염되지 않게 주의해 주세요. ”
“퇴원하시면 가벼운 샤워는 가능하지만 통목욕은 당분간 하지 마시고, 수술 부위를 잘 관찰하시고 이상이 있으면 바로 병원 방문해주세요. 수술 부위와 재활 경과 확인, 재소독도 받으셔야 하니 병원 방문은 꼭 정해진 대로 해 주세요. ”
√ 기대결과에 따른 평가
기대결과와 지표
평가진술문
5일 안에 임상 검사 상의 감염지표 수치가 모두 정상 범위이다.
목표 달성됨. 5일 안에 검사상의 감염지표 수치가 모두 정상 범위였다.
교육 후 대상자는 보고해야 할 감염 증상에 대해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목표 달성됨. 대상자가 “만약에 무릎 붓고 고름 나오고 하면 바로 말할게요. ”라고 말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 입원기간 중 감염 없이 재활 과정을 거쳐 퇴원했다.
4. 참고문헌
고일선, 김현경, 박주영, 백훈정, 신윤희, 이지아(2014), 간호과정 비판적 사고와 임상추론의 적용, 서울 : 정담 미디어
박은영, 송미령, 류은정, 고영, 오현진, 부선주(201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서울 : 현문사
이윤정, 김윤수, 김혜원, 장희경(2017), 간호대학생을 위한 임상적 추론, 서울 : 계축문화사
성인 간호학 . 현문사
성인 간호학 . 수문사
포널스\'s 포켓시리즈 간호진단 . 포널스 출판사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 JMK
양선희 외 공저(2013), 기본간호학 1, 현문사
성인간호학 상, 하(2018). 현문사. 황옥남 외
최신기본간호학 1, 2(2017). 수문사. 손경애 외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constipation]
https://www.health.kr/
네이버 지식백과
노인간호학(2017). 수문사. 윤숙희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4(2014). 메디캠퍼스. 이노우에 도모코 외. 이민자 옮김
논문:『슬관절 전치환술 후 조기 슬관절 운동 교육 프로그램이 통증, 슬관절가동범위, 환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2018). 병원간호사회. 임상간호연구. vol.24, no.3, p.283-292. 이영희 외
논문:『슬관절 전치환술 후 기능 회복을 위한 치료법』(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2. p.117-126. 김영모 외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2. 라운딩하며 수술부위의 국소적 감염 여부를 사정했으며 입원기간동안 국소적 감염 징후는 없었다. 드레싱이 덮여 있는 동안에는 드레싱 위나 주변으로 농성분비물이 배어 나오는지, 주변 피부가 붉어지고 통증과 부종이 증가하는지 관찰하고, 드레싱 교환 시 노출된 수술 부위를 더욱 자세히 관찰했다.
3. 라운딩 시, 처치 시마다 대상자 상태를 확인했다. 발열, 홍조, 발한, 오한 등의 전신적 감염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4. 처방에 따라 임상 검사를 시행하고 감염지표를 확인했다.
5. 근무번마다 foley catheter로 배출되는 소변 색, 투명도, 냄새를 확인했다.
1. 대상자의 체온은 입원기간동안 발열없이 정상범위를 유지했다.
4. 임상검사 결과를 통한 상태파악: 초기 CRP 2.5㎎/㎗가 약간 상승되어 염증 수치가 올라가 있었으나 점차 수치 감소하여 6/7 정상 범위로 확인되었다. 그 외 임상 검사상의 유의미한 감염을 시사하는 근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5. 소변은 맑고 투명한 연노란색으로 배출되며 요로감염의 징후는 없었다. POD#2에 foley catheter remove 후 성공적인 자가배뇨 했으며(400ml) 작열감이나 소변의 감염 징후는 없었다.
<치료적 수행>
1. 처방에 따라 예방적 항생제의 투약을 시행했다.
2. Hemovac #1, IV line, foley catheter 모두 삽입 부위의 감염을 일으키지 않았고, 필요성이 없어짐에 따라 하나씩 제거되었다.
3. 수술 상처부위 관리, 대상자 간호 및 IV line과 배액관 관리 전 반드시 흐르는 물과 비누로 30초 동안 6단계 ‘손바닥-손등-손깍지-손가락-엄지-손톱’ 순서로 손씻기를 시행하고, 한 대상자 간호 중에도 다른 부위 처치 시 알콜젤로 중간에 손소독을 시행했다.
4. POD#2부터 2일마다 수술 부위의 수술 부위 오래된 dressing을 제거하고 새로 소독 후 dressing 시행했다. 방수 밴드를 적용해서 물이 닿지 않도록 했다. 퇴원 후 외래 방문하여 소독, 봉합 제거를 받도록 하고 드레싱 밴드를 직접 떼어내지 않도록 교육했다.
5. 수술 상처 부위 소독, 침습적 중재 시 멸균 장갑 착용, 멸균 약품과 드레싱 세트 사용 등 무균법을 철저히 준수했다.
1. Pazeron Inj. 1g IV BID (AST: N) 3days (성분: Cefazedone Sodium)
2. ▷POD#1: heparin cap만 남기고 IV 수액줄 제거, PCA remove
▷POD#2: foley catheter remove, Hemovac #1 remove
▷POD#3: heparin cap remove
<교육적 수행>
1-2. 대상자, 보호자(자녀)에게 수술 후 감염 합병증의 발생 가능성이 있다는 것, 감염이 초래할 수 있는 결과 및 보고해야 할 감염 증상 및 감염 예방법에 대해 교육했다.
▷RN: “수술 부위에 조직을 절개하고 관을 삽입했기 때문에 거기로 세균이 들어가면 감염이 생길 수 있어요. 감염이 심하면 재활이 어렵고 재수술을 해야할 수도 있어서 감염되지 않게 예방하는 것이 중요해요. 그래서 항상 건조하고 청결하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수술 부위가 빨갛게 되거나 많이 아프고 붓고 고름이 나오는 증상이 생기면 감염일 수 있으니 즉시 말씀해주세요. 몸에 열이 나거나 춥고 떨리는 증상이 있어도 바로 알려주셔야 합니다. 소변줄을 삽입했기 때문에 요로감염이 있을 수도 있는데 소변 색깔이 탁하거나 냄새가 심하거나 따가운 느낌 등 이상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물을 충분히 드시고 소변줄 제거 후에 항상 소변은 참지 말고 잘 보시는 것이 좋아요. 그리고 소독된 부위는 만지거나 밴드를 떼지 마시고 오염되지 않게 주의해 주세요. ”
“퇴원하시면 가벼운 샤워는 가능하지만 통목욕은 당분간 하지 마시고, 수술 부위를 잘 관찰하시고 이상이 있으면 바로 병원 방문해주세요. 수술 부위와 재활 경과 확인, 재소독도 받으셔야 하니 병원 방문은 꼭 정해진 대로 해 주세요. ”
√ 기대결과에 따른 평가
기대결과와 지표
평가진술문
5일 안에 임상 검사 상의 감염지표 수치가 모두 정상 범위이다.
목표 달성됨. 5일 안에 검사상의 감염지표 수치가 모두 정상 범위였다.
교육 후 대상자는 보고해야 할 감염 증상에 대해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목표 달성됨. 대상자가 “만약에 무릎 붓고 고름 나오고 하면 바로 말할게요. ”라고 말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 입원기간 중 감염 없이 재활 과정을 거쳐 퇴원했다.
4. 참고문헌
고일선, 김현경, 박주영, 백훈정, 신윤희, 이지아(2014), 간호과정 비판적 사고와 임상추론의 적용, 서울 : 정담 미디어
박은영, 송미령, 류은정, 고영, 오현진, 부선주(201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서울 : 현문사
이윤정, 김윤수, 김혜원, 장희경(2017), 간호대학생을 위한 임상적 추론, 서울 : 계축문화사
성인 간호학 . 현문사
성인 간호학 . 수문사
포널스\'s 포켓시리즈 간호진단 . 포널스 출판사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 JMK
양선희 외 공저(2013), 기본간호학 1, 현문사
성인간호학 상, 하(2018). 현문사. 황옥남 외
최신기본간호학 1, 2(2017). 수문사. 손경애 외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constipation]
https://www.health.kr/
네이버 지식백과
노인간호학(2017). 수문사. 윤숙희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4(2014). 메디캠퍼스. 이노우에 도모코 외. 이민자 옮김
논문:『슬관절 전치환술 후 조기 슬관절 운동 교육 프로그램이 통증, 슬관절가동범위, 환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2018). 병원간호사회. 임상간호연구. vol.24, no.3, p.283-292. 이영희 외
논문:『슬관절 전치환술 후 기능 회복을 위한 치료법』(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2. p.117-126. 김영모 외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추천자료
자궁경부암 케이스 스터디(간호과정)
제왕절개 케이스 레포트
모성제왕절개미나꺼
[성인간호학][퇴행성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간호학 case study] 간호실습, 위암, AGC : Advanced gastric cancer, 간호학
[성인 케이스 case study] 장폐색 (ileus) 사례보고서 - 진단명 : paralytic ileus, small bo...
지주막하출혈 케이스 스터디 A+
성인간호 외과계case stucy (골절)
학점a+받은 협심증 케이스입니다. 진단 5개, 과정 2개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