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의식의 수준(의식, 전의식, 무의식)
2) 성격의 구조(id, ego superego)
3.
결론
서론
2.
본론
1) 의식의 수준(의식, 전의식, 무의식)
2) 성격의 구조(id, ego superego)
3.
결론
본문내용
상)
자아가 인격의 집행부 역할을 한다면, 초자아는 인격의 사법부 역할을 한다. 초자아는 도덕적 원리에 지배되기 위한 중요한 기능인 이드의 충동을 억제하고 이상과 완벽을 향한 자아의 실체를 초월하도록 사람을 설득한다. 심리적인 보상과 처벌을 제공하기 위해 부모가 제시한 사회적 기준을 내재화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보상은 자존심과 나르시시즘의 감정이고, 형벌은 죄의식과 열등감의 감정이다.
3. 결론
프로이트는 인간을 이러한 에너지의 체계로 이해했고, 성격의 역학관계는 이러한 요소들 각각에 대한 심리적 에너지의 분포에 따라 달라지며, 총 에너지는 일정하다. 따라서, 한 시스템이 많은 에너지를 소비할 때, 다른 두 시스템에 할당된 에너지의 양은 자연스럽게 감소한다고 한다. 이러한 심리적 에너지가 인간의 행동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즉, 원초아에 많은 에너지를 투입하면 본능이 발달한 행동을, 자기에 많은 에너지를 투입하면 현실적인 행동을, 초자기에 많은 에너지를 투입하면 지극히 도덕적인 행동을 보일 것이다. 그리고 이 에너지의 분포가 항상 고정된 것은 아니지만, 각 개인의 삶의 시점, 계절, 심리 상태에 따라 다르게 분포될 수 있는 유동성이 있다. 우리 사회는 초자아가 강한 사람들에게 좋은 사람, 바른 사람이 되라고 강요한다. 그래서 내 욕망과 욕망을 억제하면서 다른 사람들이 나를 손가락질하거나 욕하지 않도록 생각하며 살아간다. 그 결과 원초아의 충동은 육체의 병으로서 마음의 병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충동적인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정말 건강한 성격을 가진 사람은 자아가 강한 사람이며 이것은 자아의 힘이라고 불린다. 강한 자아 강도는 바람직한 방법으로 원초아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자아가 약하면 원초아나 초자아가 너무 강해진다. 그래서 자신이 하고 싶은 대로 하는 이기적인 사람이 되거나, 다른 사람만 생각하는 착한 아이 콤플렉스에 빠지게 된다. 때문에 원초아의 충동과 마음속의 욕망에 귀를 기울여야 하며 자아가 그 욕구를 충족시킬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방법을 찾을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그렇게 하면 자신의 마음은 자연스럽게 건강해 질 것이고, 자신감 있고 다른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성격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김정남, & 권윤희. (2002).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 정도언. (2020). 프로이트의 의자: 숨겨진 나와 마주하는 정신분석 이야기. 지와인.
자아가 인격의 집행부 역할을 한다면, 초자아는 인격의 사법부 역할을 한다. 초자아는 도덕적 원리에 지배되기 위한 중요한 기능인 이드의 충동을 억제하고 이상과 완벽을 향한 자아의 실체를 초월하도록 사람을 설득한다. 심리적인 보상과 처벌을 제공하기 위해 부모가 제시한 사회적 기준을 내재화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보상은 자존심과 나르시시즘의 감정이고, 형벌은 죄의식과 열등감의 감정이다.
3. 결론
프로이트는 인간을 이러한 에너지의 체계로 이해했고, 성격의 역학관계는 이러한 요소들 각각에 대한 심리적 에너지의 분포에 따라 달라지며, 총 에너지는 일정하다. 따라서, 한 시스템이 많은 에너지를 소비할 때, 다른 두 시스템에 할당된 에너지의 양은 자연스럽게 감소한다고 한다. 이러한 심리적 에너지가 인간의 행동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즉, 원초아에 많은 에너지를 투입하면 본능이 발달한 행동을, 자기에 많은 에너지를 투입하면 현실적인 행동을, 초자기에 많은 에너지를 투입하면 지극히 도덕적인 행동을 보일 것이다. 그리고 이 에너지의 분포가 항상 고정된 것은 아니지만, 각 개인의 삶의 시점, 계절, 심리 상태에 따라 다르게 분포될 수 있는 유동성이 있다. 우리 사회는 초자아가 강한 사람들에게 좋은 사람, 바른 사람이 되라고 강요한다. 그래서 내 욕망과 욕망을 억제하면서 다른 사람들이 나를 손가락질하거나 욕하지 않도록 생각하며 살아간다. 그 결과 원초아의 충동은 육체의 병으로서 마음의 병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충동적인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정말 건강한 성격을 가진 사람은 자아가 강한 사람이며 이것은 자아의 힘이라고 불린다. 강한 자아 강도는 바람직한 방법으로 원초아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자아가 약하면 원초아나 초자아가 너무 강해진다. 그래서 자신이 하고 싶은 대로 하는 이기적인 사람이 되거나, 다른 사람만 생각하는 착한 아이 콤플렉스에 빠지게 된다. 때문에 원초아의 충동과 마음속의 욕망에 귀를 기울여야 하며 자아가 그 욕구를 충족시킬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방법을 찾을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그렇게 하면 자신의 마음은 자연스럽게 건강해 질 것이고, 자신감 있고 다른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성격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김정남, & 권윤희. (2002).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 정도언. (2020). 프로이트의 의자: 숨겨진 나와 마주하는 정신분석 이야기. 지와인.
추천자료
[프로이드]프로이드(Freud)는 누구인가, 프로이드(Freud)의 역동적 심리학 창설, 프로이드(Fr...
(사회복지실천기술론)정신역동모델의 철학과 개념, 심리성적 발달단계, 방어기제, 개입목표, ...
사회복지실천과 정신역동모델_사회복지실천기술론, 정신역동, 프로이드, 프로이트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정신분석모델과 심리사회모델의 기본 가정과 주요 개념, 그리고 개입 ...
사회복지실천과 정신역동모델(프로이드, 자아방어기제, 정신역동, 구조적모델, 지형학적모델,...
의식의 수준(의식 전의식 무의식)과 성격의 구조(idegosuperego)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토론 과제 총 8건입니다
의식의 수준(의식, 전의식, 무의식)과 성격의 구조(id, ego, superego)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의식의 수준(의식, 전의식, 무의식)과 성격의 구조(idegosuperego)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