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프로그램 성과평가
2) 프로그램 개요
3) 프로그램 진행 및 평가
4) 프로그램 장단점
3.
결론
서론
2.
본론
1) 프로그램 성과평가
2) 프로그램 개요
3) 프로그램 진행 및 평가
4) 프로그램 장단점
3.
결론
본문내용
것이다.
2. 남편들이 베트남어를 계속 배우도록 동기 부여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도 상당수의 남편이 센터에 와서 3주간의 과정을 마쳤다. 연말 일정이 바빠 특강에 참석하지 못한 남편들도 있었지만, \'남편의 베트남학교\'에서 베트남어 기초과정을 수료한 많은 남편들은 학원이나 온라인 강의를 통해서도 베트남어를 계속 배우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그중에서도 베트남 아내 및 시댁 식구들과의 친밀감을 높이기 위해 베트남 노래 학습에 도전하고자 하는 참가자들이 많은 것 같았다. 이렇듯 남편들이 베트남어와 베트남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아내와 공유할 수 있는 콘텐츠가 있다는 점이 향후 부부관계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3. 계층과 공동체를 통해 베트남 아내와의 오해와 갈등 해소 베트남 이민 여성과 결혼한 남편들, 특히 신혼부부와 신부의 입국을 기다리는 남편들은 아내에 대한 오해가 조금 있었다. 아내가 음식을 모두 버린 방식이었고, 심지어 사촌의 가정부들도 현금을 요구했다. 그러나 이러한 오해는 문화수업이나 베트남 원어민과의 질의응답 등을 통해 해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평소 이해하지 못하거나 때로는 싫어하던 아내의 행동을 문화적 차이로 보는 참가자들이 많아 아내에 대한 오해를 풀고 아내에게 미안한 마음을 갖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 같이 남편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오해와 갈등을 문화적 차이를 바라보는 시선으로 승화시킴으로써 많은 갈등과 오해가 해소되거나 방지되어 보다 원만한 부부관계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4) 프로그램 장단점 및 개인의 의견
2016년 \'남편의 베트남 학교\'를 진행하면서 실습생으로서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느꼈다. 명확한 도출기준과 달리, 이민여성 및 결혼한 남편을 위한 다문화계층은 수업자료, 강사, 수업제도, 성과 도출기준 등에서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한-베트남 문화교류센터는 베트남에 전문성을 가진 NGO로서 한국과 베트남의 다문화가정 남편을 위해 쉽게 다문화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시간을 가질 계획이다. 첫째, 2016년 사업에서 얻은 피드백을 바탕으로 남편들을 위한 수업자료를 제작하여 보급하고, 남편의 학습성과 도출을 위한 척도로 활용될 자료를 만들도록 노력할 것이다. 2016년 한-베 문화교류센터 한국지부가 있는 서울 구로동 인근 남편을 대상으로 한 사업이었으나 사업 개편 후 더 많은 한-베 다문화가정 남편이 교육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역을 확대하였다.
3. 결론
사회복지 프로그램이란 프로그램의 효과를 예상하고 고객에게 개입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집단 활동을 말한다. 즉, 사회복지문제 해결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사회복지실천을 체계적으로 계획하는 활동이다. 또한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관계 프로그램 진행자가 아동, 청소년, 노인, 장애인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의도된 계획과 일정에 따라 보여주고, 그들과 환경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역동적인 활동이다. 유럽과 일본에는 없는 한국만의 사회복지 모델이 있다. 그것은 자원 개발 모델입니다. 자원개발 모델은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정부 보조금의 한계로 인해 개발되었다. 고객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모든 사회복지시설은 다양한 형태의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켜야 할 의무가 있다.
[참고문헌]
- 김영종, & 권순애. (2003). 논리모델 (Logic Model):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에의 적용가능성. 사회과학연구, 209-226.
- 사회복지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 2016 사회복지 프로그램 우수사례 평가집 (삼성복지재단)
- 2019년도 사회복지시설평가 우수프로그램 사례집 (꿈을키우는세상)
2. 남편들이 베트남어를 계속 배우도록 동기 부여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도 상당수의 남편이 센터에 와서 3주간의 과정을 마쳤다. 연말 일정이 바빠 특강에 참석하지 못한 남편들도 있었지만, \'남편의 베트남학교\'에서 베트남어 기초과정을 수료한 많은 남편들은 학원이나 온라인 강의를 통해서도 베트남어를 계속 배우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그중에서도 베트남 아내 및 시댁 식구들과의 친밀감을 높이기 위해 베트남 노래 학습에 도전하고자 하는 참가자들이 많은 것 같았다. 이렇듯 남편들이 베트남어와 베트남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아내와 공유할 수 있는 콘텐츠가 있다는 점이 향후 부부관계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3. 계층과 공동체를 통해 베트남 아내와의 오해와 갈등 해소 베트남 이민 여성과 결혼한 남편들, 특히 신혼부부와 신부의 입국을 기다리는 남편들은 아내에 대한 오해가 조금 있었다. 아내가 음식을 모두 버린 방식이었고, 심지어 사촌의 가정부들도 현금을 요구했다. 그러나 이러한 오해는 문화수업이나 베트남 원어민과의 질의응답 등을 통해 해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평소 이해하지 못하거나 때로는 싫어하던 아내의 행동을 문화적 차이로 보는 참가자들이 많아 아내에 대한 오해를 풀고 아내에게 미안한 마음을 갖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 같이 남편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오해와 갈등을 문화적 차이를 바라보는 시선으로 승화시킴으로써 많은 갈등과 오해가 해소되거나 방지되어 보다 원만한 부부관계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4) 프로그램 장단점 및 개인의 의견
2016년 \'남편의 베트남 학교\'를 진행하면서 실습생으로서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느꼈다. 명확한 도출기준과 달리, 이민여성 및 결혼한 남편을 위한 다문화계층은 수업자료, 강사, 수업제도, 성과 도출기준 등에서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한-베트남 문화교류센터는 베트남에 전문성을 가진 NGO로서 한국과 베트남의 다문화가정 남편을 위해 쉽게 다문화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시간을 가질 계획이다. 첫째, 2016년 사업에서 얻은 피드백을 바탕으로 남편들을 위한 수업자료를 제작하여 보급하고, 남편의 학습성과 도출을 위한 척도로 활용될 자료를 만들도록 노력할 것이다. 2016년 한-베 문화교류센터 한국지부가 있는 서울 구로동 인근 남편을 대상으로 한 사업이었으나 사업 개편 후 더 많은 한-베 다문화가정 남편이 교육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역을 확대하였다.
3. 결론
사회복지 프로그램이란 프로그램의 효과를 예상하고 고객에게 개입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집단 활동을 말한다. 즉, 사회복지문제 해결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사회복지실천을 체계적으로 계획하는 활동이다. 또한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관계 프로그램 진행자가 아동, 청소년, 노인, 장애인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의도된 계획과 일정에 따라 보여주고, 그들과 환경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역동적인 활동이다. 유럽과 일본에는 없는 한국만의 사회복지 모델이 있다. 그것은 자원 개발 모델입니다. 자원개발 모델은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정부 보조금의 한계로 인해 개발되었다. 고객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모든 사회복지시설은 다양한 형태의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켜야 할 의무가 있다.
[참고문헌]
- 김영종, & 권순애. (2003). 논리모델 (Logic Model):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에의 적용가능성. 사회과학연구, 209-226.
- 사회복지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 2016 사회복지 프로그램 우수사례 평가집 (삼성복지재단)
- 2019년도 사회복지시설평가 우수프로그램 사례집 (꿈을키우는세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