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아동학대
2) 2020년 정인이 사건
3) 정인이사건으로 본 심리사회적 범죄원인론
3.
결론
서론
2.
본론
1) 아동학대
2) 2020년 정인이 사건
3) 정인이사건으로 본 심리사회적 범죄원인론
3.
결론
본문내용
보고 생각할 수 있는 범죄원인론 범죄 심리는 발달학적인 관점이 아닐까싶다. 발달학적 관점은 아동이 가진 신체적, 행동적 특성이 학대 유발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다. 정인이를 살해하고 학대한 양부모는 사이코패스적인 성향을 보였다. 이 사이코패스 이론은 심각한 범죄 행위가 정신병질적, 반사회적 또는 사회병질적 성격 등으로 불리는 이상 성격에 의해 유발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성인으로써 판단이 가능한 옳고 그름에 대한 감각을 발전시키지 못한 자들에게서 나타나는데 일반적으로 사회적인 약자인 영아에게 폭력과 학대를 했다는 것은 타인에 대하여 잘못이나 해악을 저질러놓고도 후회나 죄의식을 느끼지 못하는자를 말한다. 이들은 자기중심적 사람들이 대부분인데 이 정인이 사건의 기록을 사진으로 촬영을 하는 잔혹한 행위를 한 양부모의 모습과 행동은 충분히 설명이 되고 있다. 그들은 그것에 대한 자기만족과 동기부여를 했으며 이 사건은 전세계가 주목하는 사건으로써 그 범죄에 대한 엄중처벌로써 잘못된 것을 바로잡고 이것이 사회적으로 더 이상 일어나지 않도록 법률을 만들고 규정을 만들어서 이행을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범죄에는 이유가 없다. 이유가 있지 아니하고 그 이유를 합당화시켜서는 안된다. 우리는 잘못된것은 범죄라고 규정한다. 그것은 범죄는 행해서는 아니되는 것으로 우리가 인지하고 스스로 차단할 줄 알아야하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저출산의 문제 인구문제의 핵심이자 우리나라의 미래인 아이들의 문제 이야기였다. 그들이 보호받기 위해서는 범죄에 그 어떠한 타당성을 부여해서도 안된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위키백과 : 정인이 사건
교재
범죄에는 이유가 없다. 이유가 있지 아니하고 그 이유를 합당화시켜서는 안된다. 우리는 잘못된것은 범죄라고 규정한다. 그것은 범죄는 행해서는 아니되는 것으로 우리가 인지하고 스스로 차단할 줄 알아야하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저출산의 문제 인구문제의 핵심이자 우리나라의 미래인 아이들의 문제 이야기였다. 그들이 보호받기 위해서는 범죄에 그 어떠한 타당성을 부여해서도 안된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위키백과 : 정인이 사건
교재
추천자료
성의 심리학 - 관음증에 대하여
교정복지
사이버 시대의 청소년 성 비행
성 장애와 고종석 사건 보고서 (나주시에서 7세 초등학생을 성폭행)
[★발표자료★][정신이상범죄] 정신이상 범죄 사례 분석- 정신이상 범죄 사례, 리처드 트렌튼 ...
[범죄학][정신이상자 범죄][정신이상 범죄 사례 분석] 정신이상범죄 - 정신이상 범죄 사례, ...
최근 6개월 이내에 발생한 범죄사건을 소개하고, 그 범죄의 원인을 심리학적 범죄원인론 중 ...
[청소년복지론] 최근(6개월 이내) 이슈가 되고 있는 청소년 관련 사회문제로 볼 수 있는 사건...
최근 6개월 이내에 발생한 범죄사건을 소개하고 그 범죄의 원인을 심리학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