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_한국의 능력주의_저자 박권일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평_한국의 능력주의_저자 박권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것이다.
만약 우리가 부의 주요 원천이 공동 자산이라는 가설을 더 받아들인다면, 즉 현대 경제학에서 더 넓은 통화를 얻는 입장은 개인의 기여가 극히 미미해져 능력주의가 설 근거가 거의 없게 된다.
능력주의의 핵심적인 문제는 그것이 불평등, 차별, 증오, 배제를 영구화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능력주의가 지배하는 사회에서 “불평등의 구조적 모순은 전적으로 개인이 짊어지고 있다”며 “불평등을 향해야 할 비판적 관심은 전적으로 불공정 논란으로 돌린다”라고 지적한다.
책을 읽으면서, 능력주의라는 말이 가진 어두운 측면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게 되었다. 능력에 따라 대우한다는 것이 공정한 것 같지만, 그 능력을 갖추기 위한 기회가 평등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면, 그런 평가를 공정하다고 할 수 있을까?
불평등한 기준을 제시해서 잔인한 경쟁의 삶을 강요하는 사회는 정의롭지도, 행복하지도, 효율적이지도 않다. 이것을 아는 것만으로 끝난다면, 이 책을 읽은 보람이 없을 것이다. 이 불평등한 세상을 바꾸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 그래서 세상을 변화시키는 것! 이것이 저자가 이 책을 통해 우리에게 주는 과제라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박권일(2021). 한국의 능력주의. 이데아

키워드

독후감,   감상문,   서평,   비평
  • 가격2,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23.05.19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87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