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 뉴스나 언론의 정도에서 벗어난 것 5가지를 예로 들고 이 뉴스가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서술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짜 뉴스나 언론의 정도에서 벗어난 것 5가지를 예로 들고 이 뉴스가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서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가짜 뉴스 사례

1) N번방 방지법, 카톡까지 들여다본다.

2) 코로나19 바이러스 제거를 위해서는 레몬・오렌지 등을 먹어라

3) 달걀 알레르기가 있다면 독감 백신 자체를 맞으면 안 된다

4) 전 세계적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인구가 불어 배우는 인구보다 많다

5) 마스크 파파라치에 걸리면 과태료 문다.

2. 가짜 뉴스 팩트체크

1) ‘N번방 방지법’ 팩트

2) 코로나19 바이러스와 ph 농도 관련 팩트

3) 달걀 알레르기와 독감 백신 접종 관련 팩트

4) 전 세계 한국어 배우는 인원 관련 팩트

5) 마스크 파파라치 관련 팩트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세계에서 불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3억 명에 육박하며, 프랑스를 제외하고도 불어를 표준어, 공영어, 비고용어 등으로 사용하는 나라는 가봉, 기니, 모나코, 니제르 등 29개국이다. 이에 반해 한국어를 사용하는 국가는 대한민국과 북한뿐이며 총 7,730만 명으로 약 4배 차이가 있다. 또한 불어를 제2외국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1억 9,30만 명으로 전 세계에서 3번째로 많으며, 한국어를 제2외국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공식적인 집계는 없지만,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의 자료에 따르면 해외에서 운영 중인 한국어 보급 기관은 약 2,000여개로 수강생은 25만으로 불어가 더 우세한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모국어를 사용 하는 인구 수를 살펴보면 한국어의 모국어 사용자 순위는 14위이지만 프랑스는 15위로 모국어를 한국어로 사용하는 인구가 더 많은 것은 사실이며, 이 통계를 오인하여 가짜 뉴스가 형성된 것으로 사료 된다.
5) 마스크 파파라치 관련 팩트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류에 따르면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는 행정명령과 과태료 부과징수의 주체는 보건복지부장관, 질병관리청장, 관할 시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이며 제도 시행을 앞두고 실효성 확보와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서 협의를 거쳐 구체적인 과태료 부과방안을 마련할 예정으로 마스크 파파라치는 운영하지 않으며 계획조차도 없다고 질병관리청에서 이야기하였다. 또한 방역지치 준수 명령의 목적은 방역지침을 잘 지켜서 전파를 차단하는 것이지 과태료 부과가 아니므로 가짜뉴스였다.
Ⅲ. 결론
많은 정보들로 인하여 정확한 사실을 파악하기도 힘들고, 가짜 뉴스에 노출이 심한 지금 가장 필요한 것은 언론의 정도(正導)이다. 이슈가 되는 주제에 대해서 너도 나도 보도하기 바쁘기보다는 정확하게 그 이슈가 사실인 것인지, 잘못된 부분이 없는 것인지 파악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더불어 언론인뿐만 아니라 모두가 그 정보에 대해서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넘기기보다는 사실 확인을 위해 다양한 정보를 알아보는 것 또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황용석권오성. 「가짜뉴스의 개념화와 규제수단에 관한 연구-인터넷서비스사업자의 자율규제를 중심으로」. 언론과 법 제16권 제1호(2017)
이상훈. 「가짜뉴스의 버적 규제에 대한 고찰」. 법이론실무연구. (2020)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FACT CHECK. http://factcheck.snu.ac.kr/

키워드

레포트,   과제,   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5.19
  • 저작시기202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90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