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경영_국제 합작투자의 동기와 주요 문제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제경영_국제 합작투자의 동기와 주요 문제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합작투자 동기
1) 자원과 위험 공유
2) 신제품개발과 시장진입속도 단축
3) 산업표준 선택
4) 기업 유연성 확보
(2) 합작투자 문제점
1) 품질 및 기술 관리
2) 투자에 대한 시각차
3) 경영방침
4) 의사결정
(3) 문제점 예측
결론

본문내용

해서도 의견 불일치가 있을 수 있다.
4) 의사결정
기업문화, 지배구조 등에 의한 경영의사 결정방식이나 실행 속도 차이 등으로 합작 교섭 단계에서부터 의사결정 문제는 발생할 소지가 있다.
(3) 문제점 예측
홉스테드의 분석법을 활용하는 것도 합작투자 문제점 예측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홉스테드는 각국 문화 차이를 크게 네 가지 차원으로 분석하였다. 그 중 중요한 두 가진 기준이 권력 거리와 불확실성 회피다.
권력 거리가 짧은 나라는 민주적이며 인간관계가 평등한 반면에, 권력 거리가 긴 나라는 힘이 없는 계층이 전제적이고 가부장적인 권력 관계를 그대로 수용하는 경향이 크다. 권력 거리 지수는 라틴, 아시아, 아프리카, 아랍 지역에서 매우 높고 앵글로, 게르만 지역에서는 상당히 낮다.(오스트리아 11점, 덴마크 18점) 미국은 40점을 얻어 권력 거리가 매우 큰 과테말라(95점)와 매우 작은 이스라엘(13점)과 비교하여 중간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유럽은 북유럽 국가들이 권력 거리 지수가 작고 남유럽과 동유럽은 권력 거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점수는 폴란드 68점, 스페인 57점, 스웨덴 31점, 영국은 35점이었다.
불확실성 회피가 높은 문화에 속한 사람들은 감정적이며, 환경이 예측하지 못한 방향으로 변화하는 것을 꺼리며, 계획, 규범, 법 및 규제를 이용하여 신중하고 점진적으로 변화를 이끌어내는 태도를 취한다. 반면, 불확실성 지수가 낮은 문화에 속한 사람들은 비체계적이거나 가변적인 환경에 저항하지 않으며, 규칙은 되도록 적게 만드는 경향이 있고 실용적이며, 변화에 관대하다. 불확실성 회피 지수는 한국, 라틴아메리카와 남유럽, 독일어권 국가를 포함한 서유럽, 일본에서 가장 높다. 한편 앵글로, 노르딕, 중국 문화권은 낮다. 한국은 불확실성 회피 경향이 매우 높기 때문에, 주어진 업무를 성실하게 수행하려는 경향이 강하고 혁신보다는 안정성을 강화하려는 시도가 우선적으로 나타난다고 한다.
3. 결론
합작 투자 전 단독 및 합작투자의 장단점을 각각 분석하여, 사업성격에 적합한 방식을 따르되, 철저하게 조사하여 Risk를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법률 강제 이행이 얼마나 쉬운지를 사전에 체크하여 합작 투자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비하고 경영권 확보 및 계약 조건 구체화 등의 조치를 해야 한다.
[참고문헌]
1. 이민근 外, 『인도 진출 관련 현지 합작투자의 허와 실』, 2015, 포스코경영연구원

키워드

레포트,   과제,   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5.22
  • 저작시기202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93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