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통계적인 기준
2. 사회・문화적 기준
3. 행동의 부적응성의 기준
4. 개인적 기준
Ⅲ. 결론
Ⅳ.참고문헌
Ⅱ. 본론
1. 통계적인 기준
2. 사회・문화적 기준
3. 행동의 부적응성의 기준
4. 개인적 기준
Ⅲ. 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부적응이 인지적 손상 때문인지, 정서적 불안 때문인지 등에 어떤 심리적 기능의 손상에 의해서 초래되었는지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권석만, 2014).
4. 개인적 기준
개인적 기준으로 이상행동을 구분하는 것은 자기 자신 스스로 경험하고 있는 심리적정서적 갈등의 정도를 주관적으로 어떻게 느끼느냐에 따라서 이상행동을 구분하게 된다. 개인적 기준의 경우 주관적인 불편함이 증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증상에 의한 기준이라고 이야기하는 학자들도 있다. 하지만 개인적 기준의 경우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어렵고 일관성 있게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음, 매우 부적응적인 행동이지만 주관적이 고통이나 불편이 나타나지 않을 때에는 이상행동으로 구분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Ⅲ. 결론
위의 네 가지 기준에 대해서 살펴보았을 때 필자가 가장 정확한 이상행동의 기준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통계적 기준”이다. 통계적 기준 외에는 사회의 문화, 주관적 판단 등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관성 있게 이상행동을 판단하기 어렵다. 이에 반해 통계적 기준은 검사 도구를 통해서 측정 후 진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기준들 보다는 비교적 정확한 기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통계적 기준만을 적용할 때에는 측정불가한 행동이나 신체적 증상에 대해서는 판단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기준들을 함께 적용하여 이상행동을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현성용, 김교헌, 김미리혜 외, 현대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2015)
권석만.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2014)
4. 개인적 기준
개인적 기준으로 이상행동을 구분하는 것은 자기 자신 스스로 경험하고 있는 심리적정서적 갈등의 정도를 주관적으로 어떻게 느끼느냐에 따라서 이상행동을 구분하게 된다. 개인적 기준의 경우 주관적인 불편함이 증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증상에 의한 기준이라고 이야기하는 학자들도 있다. 하지만 개인적 기준의 경우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어렵고 일관성 있게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음, 매우 부적응적인 행동이지만 주관적이 고통이나 불편이 나타나지 않을 때에는 이상행동으로 구분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Ⅲ. 결론
위의 네 가지 기준에 대해서 살펴보았을 때 필자가 가장 정확한 이상행동의 기준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통계적 기준”이다. 통계적 기준 외에는 사회의 문화, 주관적 판단 등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관성 있게 이상행동을 판단하기 어렵다. 이에 반해 통계적 기준은 검사 도구를 통해서 측정 후 진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기준들 보다는 비교적 정확한 기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통계적 기준만을 적용할 때에는 측정불가한 행동이나 신체적 증상에 대해서는 판단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기준들을 함께 적용하여 이상행동을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현성용, 김교헌, 김미리혜 외, 현대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2015)
권석만.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2014)
추천자료
체육 교육론 연구
간호이론중간고사기출문제주관식답안
인간행동과사회환경 1C)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반듀라, A. Bandura)이론의 특징과 장단점을 ...
리더십의 발전과정인 특성이론 행동이론 상황이론 신조류 리더십 이론을 비교 토론 해 보시오
생활과건강 2020-스트레스 인식일지, 스트레스 취약성,스트레스 관리전략 생활과건강 스트레...
[비즈니스/경제] [금융기관론 A+] 삼성화재 직무적성검사(SSAT) 및 면접 분석
유아발달 ) 유아발달의 이론 중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과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 대해 각...
[2023 정신건강과간호] 약물치료는 우울장애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항우울제(삼환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