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배ㆍ피지배 관계
2. 종교 계승에 따른 종파 갈등
2. 종교 계승에 따른 종파 갈등
본문내용
친척인 무아위야가 알리에 반기를 들었다. 이 내전에서 알리가 이끄는 군대는 승기를 잡았지만 살인을 금하는 코란 가르침에 따라 무아위야와 협상에 들어갔다. 알리 편에서 협상에 반대한 세력(카와라지)이 진영을 이탈했다.
659년 알리는 카와라지 세력을 궤멸시켰지만 2년 후 카와라지에 의해 알리는 암살된다. 알리의 아들 하산이 칼리프로 추대되어 무아위아와 함께 양대 칼리프가 된다. 하지만 아라비아 반도로 세력을 넓힌 무아위아에 맞서기에는 하산의 세력은 너무 미약하였다. 결국 하산은 무아위야를 칼리프로 인정한다.
알리 사후 이슬람에는 최초의 세습 왕조인 우마이야 왕조가 들어선다. 우마미야 왕조는 시아파를 본격적으로 박해하기 시작했다. 시아파 무슬림은 우마미야의 박해를 피해 세계 각지로 흩어졌다. 680년 무아위야가 죽고 그의 아들 야지드 1세가 칼리프를 승계한다. 알리의 차남 후세인은 우마미야 왕조가 칼리프를 이은 것에 반대하여 반란을 일으키나 실패로 돌아간다. 예언자 무함마드의 손자가 비극적으로 살해된 것이다. 시아파는 이 사실에 분노하여 수니파로부터 정식으로 갈라져 나온다.
시아파는 이 사건을 ‘아슈라’라 명명하고 기념하기 시작했다. 시아파에게 아슈라는 정의롭지 못한 전제정권에 항거하여 승리를 다짐하는 기념일이기도 하다. 이때부터 시아파는 자신들을 의로운 무슬림이라고 여기기 시작했다. 아슈라 정신은 수니파의 탄압에 맞서 시아파를 결집시키는 정신적 기념비로 오늘날까지 전해져 오고 있다.
[참고문헌]
1. 김정위, 『이슬람사전』, 2002, 학문사
2. 박정욱, 『중동은 왜 싸우는가?』, 2018, 지식프레임
659년 알리는 카와라지 세력을 궤멸시켰지만 2년 후 카와라지에 의해 알리는 암살된다. 알리의 아들 하산이 칼리프로 추대되어 무아위아와 함께 양대 칼리프가 된다. 하지만 아라비아 반도로 세력을 넓힌 무아위아에 맞서기에는 하산의 세력은 너무 미약하였다. 결국 하산은 무아위야를 칼리프로 인정한다.
알리 사후 이슬람에는 최초의 세습 왕조인 우마이야 왕조가 들어선다. 우마미야 왕조는 시아파를 본격적으로 박해하기 시작했다. 시아파 무슬림은 우마미야의 박해를 피해 세계 각지로 흩어졌다. 680년 무아위야가 죽고 그의 아들 야지드 1세가 칼리프를 승계한다. 알리의 차남 후세인은 우마미야 왕조가 칼리프를 이은 것에 반대하여 반란을 일으키나 실패로 돌아간다. 예언자 무함마드의 손자가 비극적으로 살해된 것이다. 시아파는 이 사실에 분노하여 수니파로부터 정식으로 갈라져 나온다.
시아파는 이 사건을 ‘아슈라’라 명명하고 기념하기 시작했다. 시아파에게 아슈라는 정의롭지 못한 전제정권에 항거하여 승리를 다짐하는 기념일이기도 하다. 이때부터 시아파는 자신들을 의로운 무슬림이라고 여기기 시작했다. 아슈라 정신은 수니파의 탄압에 맞서 시아파를 결집시키는 정신적 기념비로 오늘날까지 전해져 오고 있다.
[참고문헌]
1. 김정위, 『이슬람사전』, 2002, 학문사
2. 박정욱, 『중동은 왜 싸우는가?』, 2018, 지식프레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