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합리모형
2. 만족모형
3. 점증모형
4. 혼합모형
5. 최적모형
6. 쓰레기통 모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합리모형
2. 만족모형
3. 점증모형
4. 혼합모형
5. 최적모형
6. 쓰레기통 모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것이 아니라 쓰레기통 속의 쓰레기처럼 뒤죽박죽 섞여 있다가 복잡성불확실성모호성에 의해 예상하지 못한 시점에 이루어진다는 비합리적인 정책결정상황을 설명하는 모형이다. Cohen, March & Olsen(1972)에 의해 등장한 쓰레기통 모형은 ‘조직화된 무정부(Organized anarchy)’ 상태라는 개념을 통해 합리모형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정책결정과정의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쓰레기통 모형을 수정보완한 다중흐름모형은 조직화된 무정부 상태를 충족하는 비합리적인 정책결정상황을 설명한다. 동시에 정책문제, 정치, 정책대안 등이 자신의 고유한 규칙에 따라 흘러 다니다가 사회적 사건이나 정권교체와 같은 정치적 사건에 의해 결합되어 정책창이 열리고, 이 과정에서 정책이 결정되도록 의도적으로 노력하는 정책혁신가(policy entrepreneurs)의 존재를 가정함에 따라 정책결정과정의 정치적인 측면도 설명한다. 즉 다중흐름모형을 통해서 정책이 결정되는 과정 자체에서 나타나는 배경(조직화된 무정부 상태)으로 인해 합리모형에서 설명하고 있는 일정한 절차를 따르지 않고 특정한 시점에 갑작스럽게 정책이 결정되는 과정을 분석할 수 있다.
Ⅳ. 참고문헌
정정길 외(2007). 정책학원론. 대명출판사.
신원식(2001), 사회복지 정책 분석의 통합적 방법 모색과 그 적용, 경북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혁우. (2012). 정책결정모형의 상위이론적 검토 및 합리성에 대한 평가 합리모형, 점증모형, 쓰레기통 모형을 중심으로. 「공공행정연구」,
안병철(2000), 정책형성에서의 역동성 분석, 고려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Ⅳ. 참고문헌
정정길 외(2007). 정책학원론. 대명출판사.
신원식(2001), 사회복지 정책 분석의 통합적 방법 모색과 그 적용, 경북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혁우. (2012). 정책결정모형의 상위이론적 검토 및 합리성에 대한 평가 합리모형, 점증모형, 쓰레기통 모형을 중심으로. 「공공행정연구」,
안병철(2000), 정책형성에서의 역동성 분석, 고려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추천자료
사회복지 행정에서의 정책결정
[장애아동][장애아동가족][가족복지][가족지원][가족체계접근법]장애아동의 특성, 장애아동과...
사회복지정책의 과정
정책결정요인이론에 대하여 논술하시오
사회복지정책 분석의 개념과 분석방법 및 분석의 틀
[사회복지개론] Chapter 07. 사회복지의 가치 (자유, 평등, 사회정의, 효율)
[기획의 분류] 기획 접근유형의 분류 - 팔루디(Faludi), 허드슨(Hudson), 힐리(Healey)의 분류
보건교육A형) 흡연청소년의 금연교육- 개별적으로 개인이나 집단을 정하고, 선택대상에 대한 ...
사회복지정책결정에 관한 이론 모형을 열거하고 각 모형을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