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맥박상태
142. 화재의 3요소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 가연물
○ 점화원
○ 산소
143. 다음 화재종류에 대하여 적절한 색상을 쓰시오
일반화재: (①)
유류화재: (②)
전기화재: (③)
① 백색
② 황색
③ 청색
144. 가스 저장고 및 사용지역의 (①)이내 화기사용 금지
가스배관 교체 시 (②)시간 동안 자기압력계로 누설여부 시험(Leak Test)실시
가연성가스의 충전용기는 (③)도 이하 유지
① 11m
② 24
③ 40
145. 가스 누설시 긴급조치 실시사항 3가지를 서술하시오.
○ 연소기의 콕과 중간밸브, 용기밸브를 잠근다.
○ LP가스의 경우 즉시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고, 바닥에 퍼져있는 가스를 비나 부채 등으로 쓸어내듯 밖으로 내보낸다.
○ 주변의 불씨를 없애고, 전기기구는 절대로 조작하지 않는다
146. 분말소화기의 사용온도 범위는 (①)℃이상 (②)℃이하이다.
소화기는 바닥으로부터 (③)이하의 곳에 비치하고 (④)을 보기 쉬운 곳에 게시 한다.
소화약제의 응고를 방지하기 위해 (⑤)회 이상 상·하로 흔들어 준다.
① -20
② 40
③ 1.5m
④ \"소화기\" 표식
⑤ 월 1회
147. 이산화탄소 소화기 및 하론소화기(하론 1301 제외) 사용이 제한되는 장소 3가지를 서술하시오.
○ 지하층
○ 무창층
○ 실내면적이 20㎡미만인 장소
148. 폭염 시 농작업을 해야하는 경우 온열질환 예방대책 5가지를 서술하시오.
○ 아이스팩, 모자, 그늘막 등을 활용하여 작업자를 보호한다.
○ 나홀로 작업은 최대한 피하고, 함께 일한다.
○ 작업자는 휴식시간을 짧게 자주 가진다(시간당 10~15분).
○ 시원한 물을 자주 마신다.
○ 기온이 최고에 달할 때(낮 12시 ~오후 5시)는 작업을 중지한다.
149. 동상(Frostbite)의 증상 3가지를 서술하시오.
○ 피부색이 흰색이나 누런회색으로 변한 경우
○ 피부의 촉감이 비정상적으로 단단한 경우
○ 피부 감각이 저하된 경우
150. 한랭장애 예방조치(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사항 4가지를 서술하시오.
○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운동지도를 할 것
○적절한 지방과 비타민 섭취를 위한 영양지도를 할 것
○ 체온 유지를 위하여 더운물을 비치할 것
○ 젖은 작업복 등은 즉시 갈아입도록 할 것
151. 독사(毒蛇)의 종류 3가지를 서술하시오.
○ 살모사
○ 까치살모사
○ 쇠살모사
152. 개인보호구의 구비조건 6가지를 서술하시오.
○ 착용이 간편할 것
○ 사용목적에 적합할 것
○ 유해 위험요소의 방호 성능이 충분한 보호구 검정 합격제품을 사용할 것
○ 재료의 품질이 양호할 것
○ 구조와 끝마무리가 양호할 것
○ 외양과 외관의 디자인이 양호할 것
153. 다음 안면보호구가 방지할 수 있는 위험의 종류를 쓰시오.
① 보안경:
② 고글형 보안경:
③ 보안면:
④ 용접용 헬멧:
① 보안경: 충격 위험, 열 위험
② 고글형 보안경: 충격 위험,열 위험, 화학물질 위험, 분진 위험
③ 보안면: 충격 위험,열 위험, 화학물질 위험
④ 용접용 헬멧: 광학적 방사능
154. 공기정화식 보호구 사용이 불가능한 장소 3가지를 서술하시오.
○ 산소농도 18% 미만인 장소
○ 유해비가 높은 장소
○ 단기간(30분) 노출되었을 시 사망 또는 회복 불가능 상태를 초래할 수 있는 농도 이상의 장소
155. 아래 방진(분진) 마스크의 종류별 사용조건을 쓰시오.
① 격리식:
② 직렬식:
③ 안면부여과식(직결식 소형):
① 격리식: 가스 또는 증기 농도가 2% 이하 대기 중에서 사용
② 직렬식: 가스 또는 증기 농도가 1% 이하 대기 중에서 사용
③ 안면부여과식(직결식 소형): 가스 또는 증기 농도가 0.1% 이하 대기 중에서 사용
156. 방진마스크의 선정기준 4가지를 쓰시오.
○ 분진 포집 효율이 높고 흡기·배기 저항은 낮을 것
○ 가볍고 시야가 넓으며 안면 밀착성이 좋아 기밀이 잘 유지될 것
○ 마스크 내부 호흡에 의한 습기가 발생하지 않을 것
○ 안면 접촉 부위가 땀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할 것
157. 방진마스크의 밀착성 확보를 위해 금지되는 사항 2가지를 서술하시오.
○ 수건 등을 대고 그 위에 방진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
○ 면체의 접안부에 접안용 헝겁을 사용하는 경우
158. 방독마스크 사용시 주의사항 3가지를 서술하시오.
○ 유해가스에 알맞은 공기 정화통을 사용한다.
○ 충분한 산소(18% 이상)가 있는 장소에서 사용한다.
○ 유해가스(2% 미만) 발생 장소에서 사용한다.
159. 방독마스크의 점검사항 6가지를 서술하시오.
○ 종류 및 수량의 적절유무
○ 관리자 유무
○ 비치장소 명시 유무
○ 유효기산이 지난 정화통 유무
○ 예비 수량 적정 유무
○ 사용시간 기록 유무
160. 송기마스크를 사용해야하는 경우 4가지를 서술하시오.
○ 산소결핍이 우려되는 장소
○ 고농도의 분진, 유해물질, 가스 등이 발생하는 작업
○ 작업 강도가 매우 큰 작업
○ 유해물질이 종류, 농도가 불분명한 장소
161. 송기마스크 사용시에는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①) 이하로 조절하여야 한다.
① ○ 1.75 kg/㎤
162. 송기마스크 사용작업 중 이상상태 감지 시 즉시 대피해야하는 상황 3가지를 서술하시오.
○ 송출량 감소한 경우
○ 가스 또는 기름냄새 있을 경우
○ 기타 이상 감지 시
163. 안전화 및 보호장화의 관리 방법 3가지를 서술하시오.
○ 우레탄 소재(Pu) 안전화는 고무에 비해 열과 기름에 약하므로 기름을 취급하거나 고열 등 화기취급 작업장에서는 사용을 피할 것
○ 정전화를 신고 충전부에 접촉을 금지
○ 끈을 단단히 매고 꺾어 신지 말 것
164. 보호복의 구매시 고려사항 4가지를 서술하시오.
○ 보호복을 면밀히 검사하여 절단, 파손 등손상 여부를 확인한다
○ 적절히 착용했는지 확인한다.
○ 땀 흡수가 잘되는지 확인한다.
○ 사용할 작업자의 인체치수에 보호복이 맞는지 확인한다.
165. 보호장갑을 착용해야 하는 농약작업 4가지를 서술하시오.
○ 농약의 혼합과정 시
○ 농약 살포 과정 시
○ 농약 살포 기계의 수리와 관리 시
○ 농약의 유출 시
166. 안전모가 AB 등급인 경우 방호할 수 있는 위험의 종류는?
○ 낙하, 추락
142. 화재의 3요소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 가연물
○ 점화원
○ 산소
143. 다음 화재종류에 대하여 적절한 색상을 쓰시오
일반화재: (①)
유류화재: (②)
전기화재: (③)
① 백색
② 황색
③ 청색
144. 가스 저장고 및 사용지역의 (①)이내 화기사용 금지
가스배관 교체 시 (②)시간 동안 자기압력계로 누설여부 시험(Leak Test)실시
가연성가스의 충전용기는 (③)도 이하 유지
① 11m
② 24
③ 40
145. 가스 누설시 긴급조치 실시사항 3가지를 서술하시오.
○ 연소기의 콕과 중간밸브, 용기밸브를 잠근다.
○ LP가스의 경우 즉시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고, 바닥에 퍼져있는 가스를 비나 부채 등으로 쓸어내듯 밖으로 내보낸다.
○ 주변의 불씨를 없애고, 전기기구는 절대로 조작하지 않는다
146. 분말소화기의 사용온도 범위는 (①)℃이상 (②)℃이하이다.
소화기는 바닥으로부터 (③)이하의 곳에 비치하고 (④)을 보기 쉬운 곳에 게시 한다.
소화약제의 응고를 방지하기 위해 (⑤)회 이상 상·하로 흔들어 준다.
① -20
② 40
③ 1.5m
④ \"소화기\" 표식
⑤ 월 1회
147. 이산화탄소 소화기 및 하론소화기(하론 1301 제외) 사용이 제한되는 장소 3가지를 서술하시오.
○ 지하층
○ 무창층
○ 실내면적이 20㎡미만인 장소
148. 폭염 시 농작업을 해야하는 경우 온열질환 예방대책 5가지를 서술하시오.
○ 아이스팩, 모자, 그늘막 등을 활용하여 작업자를 보호한다.
○ 나홀로 작업은 최대한 피하고, 함께 일한다.
○ 작업자는 휴식시간을 짧게 자주 가진다(시간당 10~15분).
○ 시원한 물을 자주 마신다.
○ 기온이 최고에 달할 때(낮 12시 ~오후 5시)는 작업을 중지한다.
149. 동상(Frostbite)의 증상 3가지를 서술하시오.
○ 피부색이 흰색이나 누런회색으로 변한 경우
○ 피부의 촉감이 비정상적으로 단단한 경우
○ 피부 감각이 저하된 경우
150. 한랭장애 예방조치(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사항 4가지를 서술하시오.
○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운동지도를 할 것
○적절한 지방과 비타민 섭취를 위한 영양지도를 할 것
○ 체온 유지를 위하여 더운물을 비치할 것
○ 젖은 작업복 등은 즉시 갈아입도록 할 것
151. 독사(毒蛇)의 종류 3가지를 서술하시오.
○ 살모사
○ 까치살모사
○ 쇠살모사
152. 개인보호구의 구비조건 6가지를 서술하시오.
○ 착용이 간편할 것
○ 사용목적에 적합할 것
○ 유해 위험요소의 방호 성능이 충분한 보호구 검정 합격제품을 사용할 것
○ 재료의 품질이 양호할 것
○ 구조와 끝마무리가 양호할 것
○ 외양과 외관의 디자인이 양호할 것
153. 다음 안면보호구가 방지할 수 있는 위험의 종류를 쓰시오.
① 보안경:
② 고글형 보안경:
③ 보안면:
④ 용접용 헬멧:
① 보안경: 충격 위험, 열 위험
② 고글형 보안경: 충격 위험,열 위험, 화학물질 위험, 분진 위험
③ 보안면: 충격 위험,열 위험, 화학물질 위험
④ 용접용 헬멧: 광학적 방사능
154. 공기정화식 보호구 사용이 불가능한 장소 3가지를 서술하시오.
○ 산소농도 18% 미만인 장소
○ 유해비가 높은 장소
○ 단기간(30분) 노출되었을 시 사망 또는 회복 불가능 상태를 초래할 수 있는 농도 이상의 장소
155. 아래 방진(분진) 마스크의 종류별 사용조건을 쓰시오.
① 격리식:
② 직렬식:
③ 안면부여과식(직결식 소형):
① 격리식: 가스 또는 증기 농도가 2% 이하 대기 중에서 사용
② 직렬식: 가스 또는 증기 농도가 1% 이하 대기 중에서 사용
③ 안면부여과식(직결식 소형): 가스 또는 증기 농도가 0.1% 이하 대기 중에서 사용
156. 방진마스크의 선정기준 4가지를 쓰시오.
○ 분진 포집 효율이 높고 흡기·배기 저항은 낮을 것
○ 가볍고 시야가 넓으며 안면 밀착성이 좋아 기밀이 잘 유지될 것
○ 마스크 내부 호흡에 의한 습기가 발생하지 않을 것
○ 안면 접촉 부위가 땀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할 것
157. 방진마스크의 밀착성 확보를 위해 금지되는 사항 2가지를 서술하시오.
○ 수건 등을 대고 그 위에 방진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
○ 면체의 접안부에 접안용 헝겁을 사용하는 경우
158. 방독마스크 사용시 주의사항 3가지를 서술하시오.
○ 유해가스에 알맞은 공기 정화통을 사용한다.
○ 충분한 산소(18% 이상)가 있는 장소에서 사용한다.
○ 유해가스(2% 미만) 발생 장소에서 사용한다.
159. 방독마스크의 점검사항 6가지를 서술하시오.
○ 종류 및 수량의 적절유무
○ 관리자 유무
○ 비치장소 명시 유무
○ 유효기산이 지난 정화통 유무
○ 예비 수량 적정 유무
○ 사용시간 기록 유무
160. 송기마스크를 사용해야하는 경우 4가지를 서술하시오.
○ 산소결핍이 우려되는 장소
○ 고농도의 분진, 유해물질, 가스 등이 발생하는 작업
○ 작업 강도가 매우 큰 작업
○ 유해물질이 종류, 농도가 불분명한 장소
161. 송기마스크 사용시에는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①) 이하로 조절하여야 한다.
① ○ 1.75 kg/㎤
162. 송기마스크 사용작업 중 이상상태 감지 시 즉시 대피해야하는 상황 3가지를 서술하시오.
○ 송출량 감소한 경우
○ 가스 또는 기름냄새 있을 경우
○ 기타 이상 감지 시
163. 안전화 및 보호장화의 관리 방법 3가지를 서술하시오.
○ 우레탄 소재(Pu) 안전화는 고무에 비해 열과 기름에 약하므로 기름을 취급하거나 고열 등 화기취급 작업장에서는 사용을 피할 것
○ 정전화를 신고 충전부에 접촉을 금지
○ 끈을 단단히 매고 꺾어 신지 말 것
164. 보호복의 구매시 고려사항 4가지를 서술하시오.
○ 보호복을 면밀히 검사하여 절단, 파손 등손상 여부를 확인한다
○ 적절히 착용했는지 확인한다.
○ 땀 흡수가 잘되는지 확인한다.
○ 사용할 작업자의 인체치수에 보호복이 맞는지 확인한다.
165. 보호장갑을 착용해야 하는 농약작업 4가지를 서술하시오.
○ 농약의 혼합과정 시
○ 농약 살포 과정 시
○ 농약 살포 기계의 수리와 관리 시
○ 농약의 유출 시
166. 안전모가 AB 등급인 경우 방호할 수 있는 위험의 종류는?
○ 낙하, 추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