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기능장 필기 요점정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용접기능장 필기 요점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본문내용

, X선 분석법(회절법, 투과법, 반 사법)
*동소 변태: 고체내에서의 원자배열의 변화로 생긴 것(결정격자 모양이 바뀜)
*자기 변태(Curie Point): 원자배열에 변화가 생기지 않고 원자내부에 어떤 변화.
<평형 상태도>
시멘타이트:Fe3C α,δ철:페라이트 γ철:오스테나이트
펄라이트:α+Fe3C 라데뷰라이트:γ+Fe3C
*고용체
-침입형 고용체: 용매원자 사이에 용질원자가 침입
(예: γ철에 탄소가 고용해서 생긴 오스테나이트, Fe+C)
-치환형 고용체: 용질원자 일부가 용매원자와 바뀌 어 치환된 상태(베가이드 법칙)
-규칙 격자형 고용체
*공정 반응=용액<=>γ고용체+Fe3C, 1148℃ , 4.3%C Ledeburite
*포정 반응=δ고용체+용액<=>γ고용체, 1495℃, 0.09-0.53%C
*공석 반응=γ고용체<=>α고용체+Fe3C, 723℃, 0.85%C Pearlite
*철강조직의 경도=시멘타이트>마아텐자이트>트루우스타이트>베나이트>소르바이트>퍼얼라이트>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합금의 특징>
ㄱ.경도가 증가한다.
ㄴ.색이변하며,주조성이 크진다.
ㄷ.융점이 낮아진다.
ㄹ.우수한 성질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순금속과 합금의 성질 비교
<철iron, 강Steel>
*순철-0.025%이하
탄소강-아공석강0.025-0.77 저 탄소강 0.3이하<연강0.25%이하
-공석강 0.77(0.85) 고 탄소강 0.3이상
-과공석강 0.77-2.0
주철-아공정주철 2.1-4.3
-공정주철 4.3
-과공정주철 4.3-6.68
*제철법: 용광로에 철광석, 코크스, 석회석=>선철
*제강법: 킬드강(완전 탈산강), 세미킬드강(중간 탈산 강), 림드강(약간 탈산강, CO가스에의해 비등현상 이 일어난다.용접봉선재에 이용, 탈산및 가스처리가 불충분한 상태)
⇒탈산제: 망간철,규산철,알루미늄 등
ㄱ. 전로제강법:-주강제조에 최근 가장많이사용
-산성조업가능 (산화성 및 환원성에 적당)
-고온을 쉽게 얻을수 있으며 온도조절이 용이
-제강원료를 선택할 필요가 없다.
-정련중에 슬랙의 성질을 변화시킬수 있다.
ㄴ.평로: -용량:1회 장입 가능한 량
-가장 좋은 제품을 얻을 수 있는 노
ㄷ.전기로: 공구강, 특수강 제조에 적합.
ㄹ.도가니로:
*탄소강에 함유된 성분과 영향
C: 증가하면 강도, 경도증가, 인성 충격치 감소(가 공성 감소)
P: 상온취성(냉간, 저온취성)의 원인, 용접 후 불순 물의 집합
Si: 0.2∼0.6% 함유, 유동성, 주조성이 양호하다. 편석의 원인, 충격치, 연신율, 용접성이 낮아진다.
S: 보통강에서 0.03% 이하 이어야함, 적열취성(고 온취성)의 원인, 설퍼밴드를 형성, 기공발생, 용접 성 및 고온가공을 나쁘게 하지만 Mn과 결합하여 절삭성을 좋게한다.
Mn: 경화능, 강도, 경도, 유동성, 인성증가,
강의 고온가공을 쉽게 한다.
H2 : 백점, 헤어 크랙의 원인
*탄소강의 취성
-저온 취성(cold brittleness): 강의 상온보다 낮아지 면 연신율, 충격치가 급격히 감소하 여 취성을 갖 는다. (Mo은 저온 취성을 감소시킨다.)
-상온 취성(cold shortness): 상온에서 연신율, 충격 치를 감소시킴. P 가 원인이다.
-청열 취성(blue shortness): 강이 200∼300℃에서 강도, 경도 최대, 연신율이 최소, 상온 일 때보다 메지게 되는 성질. P 가 원인이다.
-적열 취성(red shortness): 900∼950℃에서 유화철 (FeS)이 되어 취성을 갖고, 고온 가공성을 해친다. S 이 원인이다.
<강의 열처리>
1. 일반 열처리(뜨임을 제외하고 모두 변태점이상 가 열한다)
1)담금질(소입: Quenching)
-강을 오스테나이트 상태 즉, A1,2,3 변태점 보다 30∼50℃ 정도 높은 온도로 일정시간 가열한 후 물 이나 기름 중에 급냉시킨 열조작을 말한다.
-강도, 경도 증가
-담금질 조직; 오스테나이트, 마르텐자이트, 트루스 타이트, 소르바이트
-질량 효과; 강재크기에 의해 담금질 효과가 변하는 것을 질량 효과라 한다.
질량이 큰 재료일수록 담금질 효과가 감소되며 작 은 재료일수록 증가한다.
질량 효과가 크면 담금질성이 나쁘다.
-경화능(담금질 성)이 큰 금속; C, Mn, Cr, Si, Mo, Ni, B
-경화능 시험법으로 조미니 시험법이 있다.
2)뜨임(소려:Tempering)
-A1점 이하로 재 가열하여 서냉하는 열 조작
-담금질 후 경도를 약간 낮추고 인성을 부여
-저온 뜨임(150∼200℃)은 내부 응력 제거, 고온 뜨임(550∼650℃)은 인성 증가
-심냉처리(초저온처리, 영하처리); 담금질한 강의 경 도를 증대시 키고 시효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0℃ 이하의 저온에서 처리한 것을 말하며 심냉 처리 는 담금질 직후 -80℃정도에서 실시하고 심냉 처리가 끝나면 곧이어 뜨임 작업을 한 다.
-Ausforming; 오스테나이트 강을 재결정 온도 이하, Ms점 이상의 온도범위에서 소성 가공을 한 후 담금 질 하는 조작
2)불림(소준:Normalizing)
-A3,2,1변태점 또는 Acm선보다 30∼50℃ 높게 가 열 후 공냉하고 그후에 더 서냉하는 열 조작.
-결정립의 미세화, 표준조직
3)풀림(소둔:Annealing)
-강재를 A3,2,1변태점 보다 30∼50℃ 높게 가열후 일정한 시간 유지한 뒤 노(爐)냉 하 는 열조작이며 풀림시간은 25mm각에 30분 정도가 적당하나 보통 강은 500℃정도일 때 노(爐) 밖에서 공내하여도 무 방함.
-응력제거, 연성의 향상, 조직의 균일화 등.
2. 항온열처리:
-항온냉각변태곡선(TTT곡선); 강을 오스테나이트 상 태에서 A1점 이하의 항온까지 급냉하여 이 온도에 그대로 항온 유지했을 때 나타난 변태를 항온변태 라 한다.
S곡선의 코(nose); 약 560℃부근에서는 짧는 시간에 변태가 시작되어 급속히 변태가 완료되므로 변태 속도가 최대가 된다. 이 부분을 S곡선의 코라 한다.
1)항온 풀림
2)항온 담금질; 오스템프링, 마아템프링,
마아
  • 가격9,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23.06.13
  • 저작시기202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117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