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 론
Ⅱ.본 론
1.1강에서 7강까지의 강의를 들은 후, 가장 인상깊은 사건 혹은 장면을 한 개 선택하여 아래의 내용에 답하시오. 그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시오. 이것이 왜 본인에게 인상깊었는지를 서술하시오.
2. 참치캔을 따다 다치면, 개인과 가족의 책임과 사회나 국가의 책임이라는 두 관점에서 반응할 수 있습니다. 이런 사례를 두 개를 들어 설명하시오. 이 관점이 사회복지의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서술하시오.
Ⅲ.결 론
Ⅳ.참고문헌
Ⅱ.본 론
1.1강에서 7강까지의 강의를 들은 후, 가장 인상깊은 사건 혹은 장면을 한 개 선택하여 아래의 내용에 답하시오. 그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시오. 이것이 왜 본인에게 인상깊었는지를 서술하시오.
2. 참치캔을 따다 다치면, 개인과 가족의 책임과 사회나 국가의 책임이라는 두 관점에서 반응할 수 있습니다. 이런 사례를 두 개를 들어 설명하시오. 이 관점이 사회복지의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서술하시오.
Ⅲ.결 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육, 종교 경제 등의 사회제도와 동등한 수준에서 일차적정상적으로 제도화가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았다
2) 위의 사례들에서 사회복지의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서술하시오.
잔여주의와 제도주의는 대표적인 사회복지의 실천철학의 두 가지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각기의 철학적 사고는 사회복지 문제의 원인과 해결방법에 대해서 다소 상반되는 접근방식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보면,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 혹은 노인 등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대중교통을 이용을 한다고 가정을 해 보자. 이들에게 저상버스와 같은 제도적인 장치가 없다면 대중교통은 이들에게 이용을 하기 어려운 시설물로 상당한 불편을 야기할 것이며, 이들에게는 불편과 함께 사회와 격리가 되는 이중적인 고통을 안겨줄 것이 분명하다. 만약 이들에게 잔여주의적 관점을 적용을 한다면 어떻게 될까? 잔여주의는 선별적인 복지를 지향하기 때문에 「교통약자 전용의 콜택시 도입」 등의 정책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방법 또한 교통약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고 할 수 있지만, 이들이 느끼고 있는 비장애인들과의 차별적인 환경에서 느끼는 낙오감과 소외감은 치유가 될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개인을 둘러싼 환경과 사회구조의 변화를 통해서 복지를 실천하고자 하는 제도적 관점에서는 어떠할까? 버스를 포함한 모든 대중교통에 교통약자들의 불편이 없도록 하는 보편적인 정책을 만들어내며 보급을 할 것이다. 예를 들어서 보자면 「저상버스 전면화 도입」과 같은 정책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겠다. 모든 버스가 저상버스로 전환된다면 버스 이용에 있어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구별을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통약자들이 소외감을 느끼지 않으며 사회의 원만한 구성원으로 자리 잡게 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가 있는 것이다. 미국의 마서즈 비니어드 섬의 사례도 같은 개념으로 이해를 할 수 있다. 섬에 거주를 하는 모든 주민들이 영어와 함께 수화를 모두 이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보완정책의 실천으로 이 섬에서는 ‘농인’들의 불편이 전혀 없으며 이들을 사회적인 약자로 치부를 할 이유도 없다.
최근에 우리나라에서 팽팽한 찬반여론으로 이슈가 되었던 무상급식의 경우도 두 관점에서 이해를 달리 할 수 있다. 따라서 취약계층의 자녀에게만 무상급식을 제공해야 하며, 빈부를 떠나 모든 학생들에게 무상급식을 제공을 하는 것은 대표적 포퓰리즘이라며 비판을 하는 입장은 잔여주의적 사고라 할 수 있으며, 모든 학생들에게 동일한 급식환경을 만들어 주어 취약계층의 자녀들이 낙인감 없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는 입장은 제도주의적 사고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지 수혜자를 선별적 개인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전체 국민을 대상으로 볼 것인가의 문제, 복지 서비스의 방법을 선택적이게 적용을 할 것인가, 보편적으로 적용할 것인가의 문제에서 잔여주의와 제도주의 철학은 접근방법을 달리한다라고 하겠다.
Ⅲ. 결 론
사회복지의 서비스는 모든 사람들을 상대로써 제공을 하는 서비스가 아니고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 장애를 갖고 있는 자를 대상으로 되어지는 서비스이고 서비스 수혜자에서의 건강, 재산, 생활, 생명 혹은 개인의 프라이버시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어진 서비스다. 서비스를 받는 대상자간에는 개개인의 특수성에기초하여 개인차들에 적합한 신중한 서비스가 제공되어쟈야 한다. 그리고 제도주의와 잔여주의는 각각의 분리가 되고 배치되는 철학이 아니고 충분하게 상호 보완을 할 수 있는 철학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겠다. 복지정책 실현에 관한 정부에서의 현명한 대처들이 반드시 필요해 보인다.
Ⅳ. 참고문헌
유범상, 김종해, 여유진(2019), 사회복지개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김선우(2019). 보육 스트레스 & 지도자 유형. 사람과세상
박동옥, 사유재산제도 연구(개관) = A Sociological Approach to Private Property, 논문집 Vol22, 1990
황신모, 한국의 자본주의 심화와 시장경제, 한국동서경제연구, Vol.18 No.1,2006
김윤환, 경제학, p746~748
박연화(2013), 보육지원정책에 대한 어린이집 학부모들의 인식유형 : 저출산 및 무상보육제도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박화숙(2006), 보육서비스 발전방향 연구(저출산 문제에 대한 대책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Leonard. H, Penny K(2020). Growing Kids & Family. Urban Saul
2) 위의 사례들에서 사회복지의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서술하시오.
잔여주의와 제도주의는 대표적인 사회복지의 실천철학의 두 가지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각기의 철학적 사고는 사회복지 문제의 원인과 해결방법에 대해서 다소 상반되는 접근방식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보면,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 혹은 노인 등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대중교통을 이용을 한다고 가정을 해 보자. 이들에게 저상버스와 같은 제도적인 장치가 없다면 대중교통은 이들에게 이용을 하기 어려운 시설물로 상당한 불편을 야기할 것이며, 이들에게는 불편과 함께 사회와 격리가 되는 이중적인 고통을 안겨줄 것이 분명하다. 만약 이들에게 잔여주의적 관점을 적용을 한다면 어떻게 될까? 잔여주의는 선별적인 복지를 지향하기 때문에 「교통약자 전용의 콜택시 도입」 등의 정책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방법 또한 교통약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고 할 수 있지만, 이들이 느끼고 있는 비장애인들과의 차별적인 환경에서 느끼는 낙오감과 소외감은 치유가 될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개인을 둘러싼 환경과 사회구조의 변화를 통해서 복지를 실천하고자 하는 제도적 관점에서는 어떠할까? 버스를 포함한 모든 대중교통에 교통약자들의 불편이 없도록 하는 보편적인 정책을 만들어내며 보급을 할 것이다. 예를 들어서 보자면 「저상버스 전면화 도입」과 같은 정책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겠다. 모든 버스가 저상버스로 전환된다면 버스 이용에 있어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구별을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통약자들이 소외감을 느끼지 않으며 사회의 원만한 구성원으로 자리 잡게 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가 있는 것이다. 미국의 마서즈 비니어드 섬의 사례도 같은 개념으로 이해를 할 수 있다. 섬에 거주를 하는 모든 주민들이 영어와 함께 수화를 모두 이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보완정책의 실천으로 이 섬에서는 ‘농인’들의 불편이 전혀 없으며 이들을 사회적인 약자로 치부를 할 이유도 없다.
최근에 우리나라에서 팽팽한 찬반여론으로 이슈가 되었던 무상급식의 경우도 두 관점에서 이해를 달리 할 수 있다. 따라서 취약계층의 자녀에게만 무상급식을 제공해야 하며, 빈부를 떠나 모든 학생들에게 무상급식을 제공을 하는 것은 대표적 포퓰리즘이라며 비판을 하는 입장은 잔여주의적 사고라 할 수 있으며, 모든 학생들에게 동일한 급식환경을 만들어 주어 취약계층의 자녀들이 낙인감 없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는 입장은 제도주의적 사고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지 수혜자를 선별적 개인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전체 국민을 대상으로 볼 것인가의 문제, 복지 서비스의 방법을 선택적이게 적용을 할 것인가, 보편적으로 적용할 것인가의 문제에서 잔여주의와 제도주의 철학은 접근방법을 달리한다라고 하겠다.
Ⅲ. 결 론
사회복지의 서비스는 모든 사람들을 상대로써 제공을 하는 서비스가 아니고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 장애를 갖고 있는 자를 대상으로 되어지는 서비스이고 서비스 수혜자에서의 건강, 재산, 생활, 생명 혹은 개인의 프라이버시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어진 서비스다. 서비스를 받는 대상자간에는 개개인의 특수성에기초하여 개인차들에 적합한 신중한 서비스가 제공되어쟈야 한다. 그리고 제도주의와 잔여주의는 각각의 분리가 되고 배치되는 철학이 아니고 충분하게 상호 보완을 할 수 있는 철학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겠다. 복지정책 실현에 관한 정부에서의 현명한 대처들이 반드시 필요해 보인다.
Ⅳ. 참고문헌
유범상, 김종해, 여유진(2019), 사회복지개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김선우(2019). 보육 스트레스 & 지도자 유형. 사람과세상
박동옥, 사유재산제도 연구(개관) = A Sociological Approach to Private Property, 논문집 Vol22, 1990
황신모, 한국의 자본주의 심화와 시장경제, 한국동서경제연구, Vol.18 No.1,2006
김윤환, 경제학, p746~748
박연화(2013), 보육지원정책에 대한 어린이집 학부모들의 인식유형 : 저출산 및 무상보육제도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박화숙(2006), 보육서비스 발전방향 연구(저출산 문제에 대한 대책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Leonard. H, Penny K(2020). Growing Kids & Family. Urban Saul
추천자료
[사회복지학개론 2021] 1) 1강에서 7강까지의 강의를 들은 후, 가장 인상깊은 사건 혹은 장면...
사회복지학개론 2021년] 방송대 사회복지학개론 1강에서 7강까지의 강의를 들은 후, 가장 인...
[사회복지학개론 4학년] 1강에서 7강까지의 강의를 들은 후, 가장 인상깊은 사건 혹은 장면을...
사회복지정치학 2021 <문제 1> 1강에서 7강까지의 강의를 들은 후, 가장 인상깊은 사건 혹은 ...
사회복지정치학 ) 가장 인상깊은 사건 혹은 장면을 한 개 선택하여 아래의 내용에 답하시오 ...
전통사회생활문화 ) 교재 다룬 전통사회의 경제생활, 의식주생활, 공동체생활, 의례생활 등과...
202302해업)2109 사회복지학개론 1강에서 7강까지의 강의를 들은 후, 가장 인상깊은 사건 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