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조성
1) 조성의 개념
2) 조성을 활용한 문제행동 수정의 일반적인 상황
① 점진적 접근
② 언어촉진방법(언어촉구)
③ 신체적 유도
(2) 조성의 적용(자신이나 주변사람에게 기량 향상이나 결과물을 얻기 위한 행동)
(3) 조성의 적용 (자신 또는 주변사람의 문제행동을 수정하기 위한 행동)
3.
결론
4.
참고문헌
서론
2.
본론
(1) 조성
1) 조성의 개념
2) 조성을 활용한 문제행동 수정의 일반적인 상황
① 점진적 접근
② 언어촉진방법(언어촉구)
③ 신체적 유도
(2) 조성의 적용(자신이나 주변사람에게 기량 향상이나 결과물을 얻기 위한 행동)
(3) 조성의 적용 (자신 또는 주변사람의 문제행동을 수정하기 위한 행동)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장난감을 강화물로 사용한다. 자녀는 원하는 장난감을 획득하기 위해서 집에 있는 문제집을 활용하여 문제를 꾸준하게 매일 푼다. 미리 단원평가를 연습하여 풀어보면서 시험을 준비한다. 처음에는 도달하는 점수가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시험전날까지 미리 풀어보고 시험을 친다. 그래서 도달하는 점수를 획득하여 원하는 장난감을 살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은 자녀가 장난감을 획득하기 위해 자신이 싫어하는 수학 실력을 올리고 강화물로 내세웠던 장난감도 얻을 수 있었다.
(3) 조성의 적용 (자신 또는 주변사람의 문제행동을 수정하기 위한 행동)
밥을 잘 먹으려고 하지 않는 자녀가 있다. 밥 한 그릇을 다 먹으면 좋아하는 젤리를 주기로 하였다. 이때 젤리는 강화물이 된다. 자녀는 젤리를 먹기 위해서 밥 한 그릇을 먹으려고 노력한다. 그리고 밥과 반찬을 같이 먹도록 하는 조건을 걸어서 자녀가 먹도록 유도한다. 자녀는 밥 한 숟가락으로 시작하여 젤리를 먹고 싶은 생각이 커서 밥을 혼자서 다 먹게 되었다. 그래서 자녀는 젤리를 받았고, 밥 한 그릇을 다 먹을 수 있게 되었다. 또 지금은 강화물이 젤리가 되었지만, 다음번에는 젤리가 없이도 밥 한 그릇을 다 먹자는 약속도 하면서 문제행동에 대한 수정이 될 수 있었다.
3. 결론
사람의 행동은 불변의 법칙으로 변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노력을 기울이면 변화할 수 있다. 이처럼 모든 행동이 특정한 환경과 경험의 결과라고 주장하는 행동주의 원리는 개인의 능력과 장래 직업도 경험 때문에 결정되기도 한다. 어린아이가 후천적인 경험 때문에 매우 유능한 사업가나 변호사 또는 도둑으로 성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정서도 환경과 경험의 결과로 이야기할 수 있다. 정서적인 반응으로 공포나 분노 또는 사랑이라는 세 가지 형태의 기본적인 반응은 경험 때문에 조합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공포라는 정서를 후천적으로 획득되었다고 설명할 수 있는데, 어린아이를 상대로 하여 공포 획득과정의 실험으로도 나타난다. 그리고 이것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획득되는 공포를 감소시키는 과정을 획득과정의 역순으로 제시하면서 실험 절차로 보여줄 수도 있다.
4. 참고문헌
1.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조성”
2. 김미경 저, 행동수정 및 긍정적 행동지원의 이해, 박영스토리, 2019.09.10.
3. 양명희(2012). 행동수정이론에 기초한 행동지원. 학지사.
(3) 조성의 적용 (자신 또는 주변사람의 문제행동을 수정하기 위한 행동)
밥을 잘 먹으려고 하지 않는 자녀가 있다. 밥 한 그릇을 다 먹으면 좋아하는 젤리를 주기로 하였다. 이때 젤리는 강화물이 된다. 자녀는 젤리를 먹기 위해서 밥 한 그릇을 먹으려고 노력한다. 그리고 밥과 반찬을 같이 먹도록 하는 조건을 걸어서 자녀가 먹도록 유도한다. 자녀는 밥 한 숟가락으로 시작하여 젤리를 먹고 싶은 생각이 커서 밥을 혼자서 다 먹게 되었다. 그래서 자녀는 젤리를 받았고, 밥 한 그릇을 다 먹을 수 있게 되었다. 또 지금은 강화물이 젤리가 되었지만, 다음번에는 젤리가 없이도 밥 한 그릇을 다 먹자는 약속도 하면서 문제행동에 대한 수정이 될 수 있었다.
3. 결론
사람의 행동은 불변의 법칙으로 변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노력을 기울이면 변화할 수 있다. 이처럼 모든 행동이 특정한 환경과 경험의 결과라고 주장하는 행동주의 원리는 개인의 능력과 장래 직업도 경험 때문에 결정되기도 한다. 어린아이가 후천적인 경험 때문에 매우 유능한 사업가나 변호사 또는 도둑으로 성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정서도 환경과 경험의 결과로 이야기할 수 있다. 정서적인 반응으로 공포나 분노 또는 사랑이라는 세 가지 형태의 기본적인 반응은 경험 때문에 조합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공포라는 정서를 후천적으로 획득되었다고 설명할 수 있는데, 어린아이를 상대로 하여 공포 획득과정의 실험으로도 나타난다. 그리고 이것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획득되는 공포를 감소시키는 과정을 획득과정의 역순으로 제시하면서 실험 절차로 보여줄 수도 있다.
4. 참고문헌
1.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조성”
2. 김미경 저, 행동수정 및 긍정적 행동지원의 이해, 박영스토리, 2019.09.10.
3. 양명희(2012). 행동수정이론에 기초한 행동지원. 학지사.
추천자료
장애아 보육교사의 사명감·역할·자질
교육심리(교육심리학)의 발달심리이론, 교육심리(교육심리학)의 동기유발이론, 교육심리(교육...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평가 4공통) 성숙이론과 구성주의 이론의 비교논의(A+ 완성형)
[행동수정][행동][수정][인지][인지행동][인지행동상담][인지행동치료][인지행동요법]행동수...
[학습이론의 이해와 적용] 파블로프 (Ivan Petrovich Pavlov) - 경험적 관찰, 고전적 조건화,...
출산의 과정 분만의 단계 출산 시 주의점을 정리하고 분만법에 대해 조사한 내용을 작성해보세요
행동주의상담기법
다음(정신분석 인간중심 행동주의 형태주의 인지행동대상관계) 상담이론 중 한 가지를 선택하...
임신과 출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