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형 유통업체 입장
2.
재래시장, 소상공인 입장
3.
참고문헌
대형 유통업체 입장
2.
재래시장, 소상공인 입장
3.
참고문헌
본문내용
면 상인들이 머리를 맞대고 새로운 아이템을 창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경기도 오산시의 오색시장은 매년 수제 맥주 축제를 열어 각 지역의 수제 맥주 판매자들을 골목에 배치하고, 맥주를 맛보기 위해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안주 삼아 먹을 수 있는 음식들을 시장 상인들이 판매하는 행사를 진행한다. 맥주를 통해 시장 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먹거리를 홍보하고, 축제가 끝난 뒤에는 맛있게 먹었던 음식은 가게 새로운 단골손님이 되기도 하는 등 이벤트의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이와 더불어 주자 공간의 부족과 화장실 등의 편의시설 부족, 신용카드 사용의 불편함 등 구조적인 개선 역시 동시에 이루어져야 그 효과를 확대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유통산업의 핵심은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지만, 소상공인의 관점에서 스스로 망을 구축하기는 어려움이 많다. 그러므로 이를 도와주는 정부와 지자체의 공정한 플랫폼이 존재해야 한다. 정부에서 시행하는 법은 구도심의 기존 점포를 보호하자는 것의 취지이지만, 이것이 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법으로 규제하는 것이 모든 갈등을 해결해줄 수는 없다. 규제 일부는 골목상권이 쇠퇴하는 속도를 늦출 수도 있겠지만, 이는 궁극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걸 10년의 규제 정책을 통해 알 수 있었다.
골목상권을 살리기 위해서는 사람들을 모을 수 있는 앵커 점포나 차별화된 점포가 들어와야 하는데, 만약 마땅한 점포가 없다면 이를 대형 유통업체가 대신해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공생은 이러한 부분에서 시작된다. 일단 사람들이 모이게 되면 골목상권이 가져야 하는 것은 대형 유통업체가 가지지 못하고 가질 수 없는 차별화이다. 각 골목상권에 소비자들이 방문하고 싶은 분위기와 스토리를 더하여 문화나 역사가 함께하는 상권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편리하고 깨끗한 건물 안에서 모든 걸 해결하는 것도 물론 좋겠지만, 상쾌한 바람과 따뜻한 햇볕을 맞으며 혹은 시원한 밤공기를 마시며 조명이 반짝이는 거리를 산책하듯 쇼핑하는 기분을 대신 할 수 없다. 거기에 근거리 도보 쇼핑, 제품의 소량 구매 가능, 소비자에 대한 친절한 응대 등을 더하면 더욱 안정적인 상권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3. 참고문헌
1. [르포]\"전통시장과의 상생\"…이마트, 경북 구미 \'상생스토어\' 가보니
https://www.metroseoul.co.kr/article/2017062700066
유통산업의 핵심은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지만, 소상공인의 관점에서 스스로 망을 구축하기는 어려움이 많다. 그러므로 이를 도와주는 정부와 지자체의 공정한 플랫폼이 존재해야 한다. 정부에서 시행하는 법은 구도심의 기존 점포를 보호하자는 것의 취지이지만, 이것이 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법으로 규제하는 것이 모든 갈등을 해결해줄 수는 없다. 규제 일부는 골목상권이 쇠퇴하는 속도를 늦출 수도 있겠지만, 이는 궁극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걸 10년의 규제 정책을 통해 알 수 있었다.
골목상권을 살리기 위해서는 사람들을 모을 수 있는 앵커 점포나 차별화된 점포가 들어와야 하는데, 만약 마땅한 점포가 없다면 이를 대형 유통업체가 대신해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공생은 이러한 부분에서 시작된다. 일단 사람들이 모이게 되면 골목상권이 가져야 하는 것은 대형 유통업체가 가지지 못하고 가질 수 없는 차별화이다. 각 골목상권에 소비자들이 방문하고 싶은 분위기와 스토리를 더하여 문화나 역사가 함께하는 상권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편리하고 깨끗한 건물 안에서 모든 걸 해결하는 것도 물론 좋겠지만, 상쾌한 바람과 따뜻한 햇볕을 맞으며 혹은 시원한 밤공기를 마시며 조명이 반짝이는 거리를 산책하듯 쇼핑하는 기분을 대신 할 수 없다. 거기에 근거리 도보 쇼핑, 제품의 소량 구매 가능, 소비자에 대한 친절한 응대 등을 더하면 더욱 안정적인 상권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3. 참고문헌
1. [르포]\"전통시장과의 상생\"…이마트, 경북 구미 \'상생스토어\' 가보니
https://www.metroseoul.co.kr/article/201706270006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