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양한 자원을 가지고 접근이 가능하다. 이는 자원이 풍부하고 다양할 때 가능한 것이다. 둘째, 여러 방향으로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민간기관이 추구하는 사례관리의 목적이 있을 것이며 동시에 공공기관이 추구하는 사례관리의 목적이 있을 것이다.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는 기관이라는 점에서 개입을 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방식도 역시 달라질 것이라고 본다. 그렇다면 이들의 방안 중에서 효율적인 것을 선택하여 사례관리에 이용하면 더욱 좋은 개입이 될 것이다. 반대로 단점의 경우에는 민관이 갈등의 상황을 마주하게 되었을 때이다. 이들이 갈등을 마주하는 것은 단순히 기관과 기관 사이에서 발생하는 갈등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에 있어서 영향을 받는 대상은 클라이언트라는 점에서 그렇다. 갈등의 상황이라면 정상적인 사례관리를 하는 것이 사실 매우 어렵게 되고 이들은 효율적인 개입과 거리가 먼 방안이 이들에게 적용된다는 점에서 한계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사례관리 수행에 있어서 민관기관의 장단점, 정보공유의 필요성과 협력 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함철호/한국사례관리학회/2017
-민관협력 통합사례관리의 긍정적 모델/김경순/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2014
[참고문헌]
-사례관리 수행에 있어서 민관기관의 장단점, 정보공유의 필요성과 협력 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함철호/한국사례관리학회/2017
-민관협력 통합사례관리의 긍정적 모델/김경순/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2014
추천자료
2021년 2학기 사례관리론 기말시험 과제물(민관협력 사례관리 측면 등)
사례관리론
사례관리론/ 다섯 식구에 대한 사례관리 개입 후의 새로운 환경(서비스 공급처)과 새로 제공...
[방송통신대학교 2021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사례관리론(공통)(사례관리,클라이언트,임파워먼...
사례관리론 ) 다섯 식구에 대한 사례관리 개입 후의 새로운 환경(서비스 공급처)과 새로 제공...
방송통신대 사례관리론 1. 교재(함철호, 사례관리론pp. 5~20)를 보고 다음의 질문에 답하시오...
방송통신대 사례관리론 1. 교재(함철호, 사례관리론pp. 5~20)를 보고 다음의 질문에 답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