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우리 아이들을 위해 시행할 수 있는 사회복지 서비스 중에 어렵지 않게 실천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 현대사회 아이들은 온라인 콘텐츠를 쉽게 접하고 그것을 활용하는 것이 어른들보다 손 쉽다. 코로나 시대 이전에도 아이들은 스마트 폰과 인터넷, 컴퓨터를 이용하는 것이 일상이었다. 게임이나 쇼핑, 인터넷 강의까지 모두 온라인 상에서 쉽게 이루어진다. 그렇다면 아이들의 여가 활동이나 학습 활동을 위한 온라인 콘텐츠를 개발하고 그것을 배포하는 것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 여러 지자체 혹은 기업에서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빠르게 기획하고 제공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키기 위해 공연이나 전시 문화도 비대면으로 관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온라인 전시를 선보이고 있기도 하다. 코로나19로 인해 아이들의 문화생활 역시 많이 침체되어 있는 상황이다. 박물관이나 미술관에서 문화생활을 향유하고 문화유산에 대해 학습하고,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보내던 시간을 되돌리기에는 코로나19의 기세가 누그러질 때까지 조금은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그렇다보니 이러한 문화와 학습을 기반으로 한 콘텐츠를 개발하여 아이들이 학교나 집에서 그것을 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만들기나 그리기와 같은 체험 콘텐츠는 만들기 키트를 제작하여 우편으로 발송하고, 그것을 따라할 수 있도록 온라인으로 교육 영상을 제작하여 배포한다. 학교의 교과내용이 담긴 인터넷 강의도 무료로 제공하는 방법도 있다. 이것은 공영 교육방송 채널에 예산을 지원하여 교육 전문가들의 의견을 모아 제작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보편적인 복지란 결국 모든 국민이 평등하게 모든 권리를 누리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국가가 그것을 보장해 주는 것이 아닌가. 아이들이 교육받을 권리와 문화생활을 누릴 권리를 보장해주고 지원해 주는 것은 국가 차원에서 특히 요즘과 같은 재난적인 상황에서 필히 해 주어야 하는 ‘복지’ 라고 생각한다.
3. 참고문헌
1. 김강식, “1834년 영국의 신구빈법 시행”,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2. 황승우,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교육 불평등 해소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21
3. 조유진, “코로나19 시기 긴급돌봄 서비스에 참여한 돌봄제공 인력의 노인돌봄 경험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21
보편적인 복지란 결국 모든 국민이 평등하게 모든 권리를 누리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국가가 그것을 보장해 주는 것이 아닌가. 아이들이 교육받을 권리와 문화생활을 누릴 권리를 보장해주고 지원해 주는 것은 국가 차원에서 특히 요즘과 같은 재난적인 상황에서 필히 해 주어야 하는 ‘복지’ 라고 생각한다.
3. 참고문헌
1. 김강식, “1834년 영국의 신구빈법 시행”,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2. 황승우,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교육 불평등 해소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21
3. 조유진, “코로나19 시기 긴급돌봄 서비스에 참여한 돌봄제공 인력의 노인돌봄 경험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21
추천자료
사회복지개론 기말] 1. 기준이와 아름이 가족처럼 어떤 문제에 대해 상반된 견해를 갖고 있는...
[사회복지개론 2021 기말과제] 1. 기준이와 아름이 가족처럼 어떤 문제에 대해 상반된 견해를...
사회복지개론 기말] 1.기준이와 아름이 가족처럼 어떤 문제에 대해 상반된 견해를 갖고 있는 ...
사회복지개론
[2021 사회복지개론][기말시험] 1.기준이와 아름이 가족처럼 어떤 문제에 대해 상반된 견해를...
사회복지개론 2021 기말 1. 기준이와 아름이 가족처럼 어떤 문제에 대해 상반된 견해를 갖고 ...
사회복지개론 ) 1 기준이와 아름이 가족처럼 어떤 문제에 대해 상반된 견해를 갖고 있는 쟁점...
사회복지개론 ) 1 기준이와 아름이 가족처럼 어떤 문제에 대해 상반된 견해를 갖고 있는 쟁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