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청소년프로그램의 유형
(2) 청소년프로그램의 차별화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청소년프로그램의 유형
(2) 청소년프로그램의 차별화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진행되고, 대입위주의 교육과정으로 인하여 인성교육 역시 놓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공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학무모와 학생들이 지적하고 있지만, 공교육은 학업적 성취 및 인성교육을 매번 놓치면서 결국 현재 공교육의 붕괴와 맞물려 공교육의 폐지론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이에 현재 한국에서 진행되는 공교육을 보완하기 위해서 다양한 영역의 청소년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진행되어야 하며, 학교에서는 전인완성이라는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도 청소년들이 청소년프로그램에 폭넓게 참여하도록 지원을 해야 한다. 또한, 청소년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서는 학교교육과 연계하여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을 하여 인성교육적 측면의 청소년프로그램의 개발을 비롯하여 학업적 성취를 위한 청소년프로그램도 개발되어 진행되어야 한다.
3. 결론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효과적인 청소년지도를 위해서는 다양한 영역에서의 청소년프로그램의 개발 및 진행이 요구된다. 즉, 현재 한국에서 진행되는 공교육의 부실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전인완성이라는 교육목표의 달성을 위해서 다양한 청소년프로그램의 개발 및 진행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미 교육선진국에서는 이러한 청소년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이에 체계적인 청소년프로그램의 개발과 수립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실천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 역시 공교육의 붕괴를 감안하여 이에 대한 보완을 위해서 다양한 청소년프로그램의 개발 및 진행을 해야 한다고 본다. 특히, 한국의 공교육에서는 학업적 성취도 효과적으로 달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보이기도 하지만, 더 중요한 인성교육을 매번 놓치고 있다. 이렇게 공교육에서 인성교육을 매번 놓치는 원인은 우선 학생들에게 인성적 모델이 되어야 하는 교사의 인성적 자질이 부재하여 현재 한국의 학교현장에서는 교직문화의 답습으로서 학교폭력과 따돌림현상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교육의 비인성적 교육풍토에 대한 개선으로서 인성교육적 측면에서는 청소년프로그램의 개발 및 진행을 현실적으로 수립하여 진행해야 한다. 더 나아가 한국의 공교육 현장에 종사하는 교사들은 자신들이 바람직한 인성교육을 수행할 수 없음을 반송하면서, 이와 같은 외부의 청소년프로그램에 청소년을 투입하여 이에 대한 개선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결국, 이와 같은 청소년프로그램은 청소년 교육과정의 한 분야로서 청소년의 바람직한 성장을 도모하는 것을 그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이에 교육관계자는 청소년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교육적으로 인지하여 이를 교육현장에 바람직하게 실천한다면, 청소년이 미래에 사회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역할과 임무를 성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이다.
4. 참고문헌
·한국청소년개발원 편저, 「청소년프로그램개발 및 평가론」, 교육과학사 : 서울, 2005
·김은이 저, ‘청소년활동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대 학원 : 경기도, 2017
·황윤미 저, ‘청소년활동프로그램의 참여경험과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 학원 : 부산, 2010
※ 표지는 A4용지 사용
3. 결론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효과적인 청소년지도를 위해서는 다양한 영역에서의 청소년프로그램의 개발 및 진행이 요구된다. 즉, 현재 한국에서 진행되는 공교육의 부실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전인완성이라는 교육목표의 달성을 위해서 다양한 청소년프로그램의 개발 및 진행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미 교육선진국에서는 이러한 청소년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이에 체계적인 청소년프로그램의 개발과 수립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실천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 역시 공교육의 붕괴를 감안하여 이에 대한 보완을 위해서 다양한 청소년프로그램의 개발 및 진행을 해야 한다고 본다. 특히, 한국의 공교육에서는 학업적 성취도 효과적으로 달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보이기도 하지만, 더 중요한 인성교육을 매번 놓치고 있다. 이렇게 공교육에서 인성교육을 매번 놓치는 원인은 우선 학생들에게 인성적 모델이 되어야 하는 교사의 인성적 자질이 부재하여 현재 한국의 학교현장에서는 교직문화의 답습으로서 학교폭력과 따돌림현상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교육의 비인성적 교육풍토에 대한 개선으로서 인성교육적 측면에서는 청소년프로그램의 개발 및 진행을 현실적으로 수립하여 진행해야 한다. 더 나아가 한국의 공교육 현장에 종사하는 교사들은 자신들이 바람직한 인성교육을 수행할 수 없음을 반송하면서, 이와 같은 외부의 청소년프로그램에 청소년을 투입하여 이에 대한 개선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결국, 이와 같은 청소년프로그램은 청소년 교육과정의 한 분야로서 청소년의 바람직한 성장을 도모하는 것을 그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이에 교육관계자는 청소년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교육적으로 인지하여 이를 교육현장에 바람직하게 실천한다면, 청소년이 미래에 사회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역할과 임무를 성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이다.
4. 참고문헌
·한국청소년개발원 편저, 「청소년프로그램개발 및 평가론」, 교육과학사 : 서울, 2005
·김은이 저, ‘청소년활동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대 학원 : 경기도, 2017
·황윤미 저, ‘청소년활동프로그램의 참여경험과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 학원 : 부산, 2010
※ 표지는 A4용지 사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