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Guide for 'Globalization' Debate
2. America and the World : The Twin Towers as Metaphor
3. E-mail Interview : Question to Wallerstein
4. The Future of Korea : An Asia-Pacific Perspective
5. The Ecological Imagination in Overcoming the Division System
6. Technology as a Site and Object of Politics
7. How close to Catastrophe?
2. America and the World : The Twin Towers as Metaphor
3. E-mail Interview : Question to Wallerstein
4. The Future of Korea : An Asia-Pacific Perspective
5. The Ecological Imagination in Overcoming the Division System
6. Technology as a Site and Object of Politics
7. How close to Catastrophe?
본문내용
유형 표기)
주관식형
:
※ 주관식일 경우 문제번호 표기 후 답안 작성
과제물유형
:
공통형
과제명
:
1. Guide for \'Globalization\' Debate
(1) 중요 포인트
1) 내용
전지구화는 경제, 정치, 사회문화 전 영역 걸쳐 국가 간 교류가 증대되어 국가, 사회, 개인이 점점 하나의 체계 속에서 상호 영향을 끼치며 살아가는 현상을 일컫는다. 전지구화는 장점과 단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전지구화를 통해 국제 무역이 증가하여 부의 수준이 향상될 것이라 생각하지만 일각에서는 그것이 부자가 빈자를 착취하고 전통문화의 존재기반에 위협을 가하는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 경제적 측면에서 전지구화는 초국적 조직의 등장으로 상징된다. WTO, GATT, IMF 등의 전 세계적 기구 뿐 아니라 NAFTA, EU, ASEAN 등 지역을 단위로 한 협력기구도 생겨났다. 많은 경제학자들은 경제적 전지구화가 세계의 부를 증대시킬 것이라고 평가한다. 하지만 사회적 측면에서는 전지구화가 어떤 영향을 끼칠지에 대해 학자마다 의견이 분분하다. 어떤 학자들은 국가의 기능이 약화될 것이라 보기도 하고 다른 학자들은 세계 정치에 극적인 변화를 야기할 것이라 보기도 한다. 사회문화적 전지구화는 통신기술의 발달에 힘입은 바가 크다. 통신기술의 발달은 문화적 컨텐츠를 전 세계에 빠르게 전달하는 수단이 되었으며 그 결과 미국 문화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미국 문화의 전지구화 현상은 각국의 고유한 문화를 퇴조시키는 결과를 낳기도 하였다.
2) 선정 사유
전지구화 역시 동전의 양면처럼 장단점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 측면에서 장단점을 골고루 살펴야 대상의 본질에 대해 명확하게 알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전지구화의 본질을 균형 잡힌 시각에서 서술한 이 부분을 선정하였다.
(2) 새로 알게 된 사실
흔히 전지구화 라고 하면 경제적 측면에 집중된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정치적, 사회문화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는 것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 모든 사회현상은 삶의 한 국면에만 영향을 끼치는 것이 아니라 다방면에 걸쳐 전반적으로 영향을 끼치며 각각의 영향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게 되었다.
(3) 문제 출제
1) 다음 중 빈 칸에 들어갈 말을 고르시오.
( ) is a term that came into popular usage in the 1980\'s to describe the increased movement of people, knowledge and ideas, and goods and money across national borders that has led to increased interconnectedness among the world\'s populations, economically, politically, socially and culturally.
①
Globalization
②
Industrialization
③
Modernization
④
Urbanization
정답 : ①
교재 : 1강, 15쪽
해설 : 제시문은 전지구화에 대한 설명이다.
2) 다음 중 빈 칸에 들어갈 적절한 표현을 고르시오.
Industrial development brought with it social dislocations that necessitated state intervention in the form of public education and social \"( )\" for health care, housing, and other social services.
①
social nets
②
safety offers
③
social offers
④
safety nets
정답 : ④
교재 : 1강, 20쪽
해설 : 건강돌봄서비스, 주거 등의 사회 서비스를 나타내는 표현은 사회 안전망이다.
3) 다음 중 사회문화적 측면의 전지구화 현상이 아닌 것은?
- Informational services
- News services
- International economic institutions
- Popular culture
정답 : ③
교재 : 1강, 24~26쪽
해설 : 국제적 경제기구는 경제적 측면의 전지구화 현상을 대표한다.
2. America and the World : The Twin Towers as Metaphor
(1) 중요 포인트
1) 내용
이 글은 9.11 사건을 계기로 미국중심주의의 현주소와 그 원인을 성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미국인들의 이상과 특권적 측면에서 월러스타인은 미국인은 더 많은 파워와 특권을 보유하고 있다고 본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오히려 이상이나 특권으로부터 손쉽게 자유로워질 수 있고 심지어 이상을 무시할 수도 있다. 그 힘은 그들의 카우보이 정신을 훼손하는 것이기도 했다. 월러스타인은 미국이 지난 30년간 세계는 미국의 헤게모니를 반드시 따라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진정 미국이 헤게모니를 가지고 있다면 그러한 주장을 할 필요조차 없었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가 보기에 미국은 그 30년을 허비한 것이며 이제 미국에게 필요한 것은 새로운 현실에서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것이라고 한다. 그는 미국이 전통적인 우방 국가들의 이상과 관심을 공유하고 더 나아가 세계 전체와 대화할 준비를 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이 대화는 미국에게 있어 쉽지도 즐겁지도 않은 일일 것이다. 세계는 미국에게 특권을 내려놓으라고 요구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그가 보기에 세계는 끔찍한 시대로 접어들어 갈등과 악에 빠르게 익숙해질 수 있게 되었지만 그 과정의 끝에는 보다 실증적으로 이성적인 세계, 보다 평등주의적인 세계, 보다 민주적인 세계, 다시 말하면 보편성의 가능성이 있다.
2) 선정 사유
이 포인트를 선정하게 된 이유를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격세지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이 나온 지 불과 15년 만에 미국은 새로운 모습으로 변모하였다. 트럼프주의는 미국이 세계에 대하여 그동안 보여줬던 최소한의 이상마저도 저버렸다. 트럼프는 아마 역사적 반면교사로 후세에 남게 될 것이다. 그의 집권은 미국이 천박하게 자국의 이익만을
주관식형
:
※ 주관식일 경우 문제번호 표기 후 답안 작성
과제물유형
:
공통형
과제명
:
1. Guide for \'Globalization\' Debate
(1) 중요 포인트
1) 내용
전지구화는 경제, 정치, 사회문화 전 영역 걸쳐 국가 간 교류가 증대되어 국가, 사회, 개인이 점점 하나의 체계 속에서 상호 영향을 끼치며 살아가는 현상을 일컫는다. 전지구화는 장점과 단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전지구화를 통해 국제 무역이 증가하여 부의 수준이 향상될 것이라 생각하지만 일각에서는 그것이 부자가 빈자를 착취하고 전통문화의 존재기반에 위협을 가하는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 경제적 측면에서 전지구화는 초국적 조직의 등장으로 상징된다. WTO, GATT, IMF 등의 전 세계적 기구 뿐 아니라 NAFTA, EU, ASEAN 등 지역을 단위로 한 협력기구도 생겨났다. 많은 경제학자들은 경제적 전지구화가 세계의 부를 증대시킬 것이라고 평가한다. 하지만 사회적 측면에서는 전지구화가 어떤 영향을 끼칠지에 대해 학자마다 의견이 분분하다. 어떤 학자들은 국가의 기능이 약화될 것이라 보기도 하고 다른 학자들은 세계 정치에 극적인 변화를 야기할 것이라 보기도 한다. 사회문화적 전지구화는 통신기술의 발달에 힘입은 바가 크다. 통신기술의 발달은 문화적 컨텐츠를 전 세계에 빠르게 전달하는 수단이 되었으며 그 결과 미국 문화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미국 문화의 전지구화 현상은 각국의 고유한 문화를 퇴조시키는 결과를 낳기도 하였다.
2) 선정 사유
전지구화 역시 동전의 양면처럼 장단점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 측면에서 장단점을 골고루 살펴야 대상의 본질에 대해 명확하게 알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전지구화의 본질을 균형 잡힌 시각에서 서술한 이 부분을 선정하였다.
(2) 새로 알게 된 사실
흔히 전지구화 라고 하면 경제적 측면에 집중된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정치적, 사회문화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는 것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 모든 사회현상은 삶의 한 국면에만 영향을 끼치는 것이 아니라 다방면에 걸쳐 전반적으로 영향을 끼치며 각각의 영향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게 되었다.
(3) 문제 출제
1) 다음 중 빈 칸에 들어갈 말을 고르시오.
( ) is a term that came into popular usage in the 1980\'s to describe the increased movement of people, knowledge and ideas, and goods and money across national borders that has led to increased interconnectedness among the world\'s populations, economically, politically, socially and culturally.
①
Globalization
②
Industrialization
③
Modernization
④
Urbanization
정답 : ①
교재 : 1강, 15쪽
해설 : 제시문은 전지구화에 대한 설명이다.
2) 다음 중 빈 칸에 들어갈 적절한 표현을 고르시오.
Industrial development brought with it social dislocations that necessitated state intervention in the form of public education and social \"( )\" for health care, housing, and other social services.
①
social nets
②
safety offers
③
social offers
④
safety nets
정답 : ④
교재 : 1강, 20쪽
해설 : 건강돌봄서비스, 주거 등의 사회 서비스를 나타내는 표현은 사회 안전망이다.
3) 다음 중 사회문화적 측면의 전지구화 현상이 아닌 것은?
- Informational services
- News services
- International economic institutions
- Popular culture
정답 : ③
교재 : 1강, 24~26쪽
해설 : 국제적 경제기구는 경제적 측면의 전지구화 현상을 대표한다.
2. America and the World : The Twin Towers as Metaphor
(1) 중요 포인트
1) 내용
이 글은 9.11 사건을 계기로 미국중심주의의 현주소와 그 원인을 성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미국인들의 이상과 특권적 측면에서 월러스타인은 미국인은 더 많은 파워와 특권을 보유하고 있다고 본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오히려 이상이나 특권으로부터 손쉽게 자유로워질 수 있고 심지어 이상을 무시할 수도 있다. 그 힘은 그들의 카우보이 정신을 훼손하는 것이기도 했다. 월러스타인은 미국이 지난 30년간 세계는 미국의 헤게모니를 반드시 따라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진정 미국이 헤게모니를 가지고 있다면 그러한 주장을 할 필요조차 없었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가 보기에 미국은 그 30년을 허비한 것이며 이제 미국에게 필요한 것은 새로운 현실에서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것이라고 한다. 그는 미국이 전통적인 우방 국가들의 이상과 관심을 공유하고 더 나아가 세계 전체와 대화할 준비를 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이 대화는 미국에게 있어 쉽지도 즐겁지도 않은 일일 것이다. 세계는 미국에게 특권을 내려놓으라고 요구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그가 보기에 세계는 끔찍한 시대로 접어들어 갈등과 악에 빠르게 익숙해질 수 있게 되었지만 그 과정의 끝에는 보다 실증적으로 이성적인 세계, 보다 평등주의적인 세계, 보다 민주적인 세계, 다시 말하면 보편성의 가능성이 있다.
2) 선정 사유
이 포인트를 선정하게 된 이유를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격세지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이 나온 지 불과 15년 만에 미국은 새로운 모습으로 변모하였다. 트럼프주의는 미국이 세계에 대하여 그동안 보여줬던 최소한의 이상마저도 저버렸다. 트럼프는 아마 역사적 반면교사로 후세에 남게 될 것이다. 그의 집권은 미국이 천박하게 자국의 이익만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