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담양 대나무 축제의 사회적 관광자원
(1) 연혁 및 개요
(2) 대나무 축제 프로그램 및 관광 상품
(3) 소결
2) 부산 아홉 산 숲 적용
3.
결론
서론
2.
본론
1) 담양 대나무 축제의 사회적 관광자원
(1) 연혁 및 개요
(2) 대나무 축제 프로그램 및 관광 상품
(3) 소결
2) 부산 아홉 산 숲 적용
3.
결론
본문내용
요하다고 생각한다.
둘째,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담양 대나무 축제는 죽녹원의 대나무 숲을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축제를 관광 상품화 하였다. 하지만 아홉 산 숲의 경우 담양 죽녹원과 달리 주변 상권이 많이 조성되어 있지 않을뿐더러 지리적 조건으로 인근 관광명소 혹은 관광시설이 부족하여 젊은층의 관광객을 유치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부산 기장군 내 관광자원을 연계하여 하나의 관광 상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역적 특색이 살아나는 관광 상품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나무 숲 축제의 경우에도 국내외 유일의 축제이기 때문에 위상이 더욱 높아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오랜 과거부터 대나무 주산지였던 지역적 특징을 잘살려 대나무를 지역 브랜드로 만들어냈기 때문에 많은 관광객들이 찾을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즉, 담양에서만 즐길 수 있는 관광 상품이기 때문에 방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홉 산 숲의 경우 자연경관이 아름답다는 지역적 특색을 살려 힐링과 치유와 같은 것을 테마로 한 관광 상품을 개발하여 그에 맞게 담양 대나무 축제를 벤치마킹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담양 대나무 축제를 벤치마킹할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변 지역의 경제가 활성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관광 인프라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아홉 산숲의 자연환경 및 경관을 훼손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지자체의 제도적,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추진과정에서 지역주민들과 지자체의 갈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여 인프라를 조성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한다고 하더라도 마케팅이나 홍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관광객 유치가 어려워지고 유지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오히려 아홉 산 숲 인근 지역은 경제적, 사회적으로 퇴보될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담양 대나무 축제를 벤치마킹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지역사회와 충분한 논의를 통해 실제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바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하고 지역주민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여 정부주도가 아닌 지역사회 중심의 아홉 산 숲의 관광활성화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3. 결론
담양 대나무 축제가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지역적 특색을 살린 스토리텔링과 브랜드화 그리고 지역 사정을 잘 파악하고 있는 시민단체 주도의 관광활성화 사업 추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성공요인을 통해 사회적 관광자원을 잘 활용하여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발전을 이뤄냈다는 것이 가장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 아홉 산 숲을 사회적 관광자원으로 활용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대나무를 가지고 있다는 공통점에 주목하기 보단 어떻게 관광자원을 활용했는지에 주목하여 지역 사정에 맞춘 관광 콘텐츠 개발 및 추진을 해야 할 것이다. 만약 그렇지 않을 경우 오히려 무리한 투자로 인한 지역경제 손실만 야기하고 지역사회의 질타와 비판만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 아홉 산 숲을 사회적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는 것에 찬성하는 입장이다. 왜냐하면 부산 내 유명 관광지가 많기 때문에 부산을 방문하는 국내외 관광객들만이라도 방문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면 충분히 성공적인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1. 보은신문 담양 ‘대나무축제’ 700만 관광객의 의미 조상들이 물려준 관광자원 발전에 전 군민 최선 다해
2. 연합뉴스 담양 대나무축제, 소비 효과 평소 2배 이상 \'껑충\'
3. 고경희(2006) 지역축제의 관광상품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담양 대나무축제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아홉 산 숲 홈페이지
5. 담양 대나무 축제 홈페이지
둘째,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담양 대나무 축제는 죽녹원의 대나무 숲을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축제를 관광 상품화 하였다. 하지만 아홉 산 숲의 경우 담양 죽녹원과 달리 주변 상권이 많이 조성되어 있지 않을뿐더러 지리적 조건으로 인근 관광명소 혹은 관광시설이 부족하여 젊은층의 관광객을 유치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부산 기장군 내 관광자원을 연계하여 하나의 관광 상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역적 특색이 살아나는 관광 상품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나무 숲 축제의 경우에도 국내외 유일의 축제이기 때문에 위상이 더욱 높아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오랜 과거부터 대나무 주산지였던 지역적 특징을 잘살려 대나무를 지역 브랜드로 만들어냈기 때문에 많은 관광객들이 찾을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즉, 담양에서만 즐길 수 있는 관광 상품이기 때문에 방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홉 산 숲의 경우 자연경관이 아름답다는 지역적 특색을 살려 힐링과 치유와 같은 것을 테마로 한 관광 상품을 개발하여 그에 맞게 담양 대나무 축제를 벤치마킹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담양 대나무 축제를 벤치마킹할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변 지역의 경제가 활성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관광 인프라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아홉 산숲의 자연환경 및 경관을 훼손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지자체의 제도적,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추진과정에서 지역주민들과 지자체의 갈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많은 비용을 투자하여 인프라를 조성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한다고 하더라도 마케팅이나 홍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관광객 유치가 어려워지고 유지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오히려 아홉 산 숲 인근 지역은 경제적, 사회적으로 퇴보될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담양 대나무 축제를 벤치마킹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지역사회와 충분한 논의를 통해 실제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바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하고 지역주민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여 정부주도가 아닌 지역사회 중심의 아홉 산 숲의 관광활성화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3. 결론
담양 대나무 축제가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지역적 특색을 살린 스토리텔링과 브랜드화 그리고 지역 사정을 잘 파악하고 있는 시민단체 주도의 관광활성화 사업 추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성공요인을 통해 사회적 관광자원을 잘 활용하여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발전을 이뤄냈다는 것이 가장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 아홉 산 숲을 사회적 관광자원으로 활용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대나무를 가지고 있다는 공통점에 주목하기 보단 어떻게 관광자원을 활용했는지에 주목하여 지역 사정에 맞춘 관광 콘텐츠 개발 및 추진을 해야 할 것이다. 만약 그렇지 않을 경우 오히려 무리한 투자로 인한 지역경제 손실만 야기하고 지역사회의 질타와 비판만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 아홉 산 숲을 사회적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는 것에 찬성하는 입장이다. 왜냐하면 부산 내 유명 관광지가 많기 때문에 부산을 방문하는 국내외 관광객들만이라도 방문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면 충분히 성공적인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1. 보은신문 담양 ‘대나무축제’ 700만 관광객의 의미 조상들이 물려준 관광자원 발전에 전 군민 최선 다해
2. 연합뉴스 담양 대나무축제, 소비 효과 평소 2배 이상 \'껑충\'
3. 고경희(2006) 지역축제의 관광상품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담양 대나무축제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아홉 산 숲 홈페이지
5. 담양 대나무 축제 홈페이지
추천자료
[축제, 이색축제, 축제 발전 전략] 세계의 이색축제와 국내 축제를 통해본 축제 발전 전략 - ...
전주한지축제평가
가사문화의 관광상품화(관광상품개발), 전통민속마을의 관광상품화(관광상품개발), 지역축제...
광안리 불꽃축제의 현황과 문제점
교양과목
광주 김치축제 활성화 방안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를 활용한 여행업 고객 만족 경영 전략 : ‘블로그’를 통한 마...
[지역축제][향토축제]지역축제(향토축제)의 정의, 지역축제(향토축제)의 분류, 지역축제(향토...
[관광자원론] (경상북도 내에 있는 관광자원 알아보기) 2013년 관광자원론 경북 여행상품 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