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서 우리를 구해 줄 것이다.』
이 책을 읽다 보면 인간이 ‘이기적 유전자’가 조종하는 꼭두각시에 불과하다는 것인가 하는 의문이 들기도 한다. 그렇다면 과연 인간이라는 개체는 어떤 마음을 가지고 세상을 살아가야 할까? 분열과 반목이 점철된 혼란스러운 세상에서 모두가 협력하고 손잡고 발맞추어 나아갈 때 우리의 유전자도 보다 안전하게 발전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유전자를 보존하고 계승하기 위해서는 분명 이기심이 필요하다고 본다. 하지만 더 멀리, 더 오랫동안 퍼트리고자 한다면 각 유전자들의 협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진리는 공생 관계를 유지하는 생태계에서도 볼 수 있고, 훌륭한 애국 열사나 지도자가 존재하는 인간 세상에서도 볼 수 있다. 책 마지막을 보면 리처드 도킨스의 견해에도 그러한 의견이 담겨 있음을 충분히 짐작해 볼 수 있다. 저자의 그러한 생각이 드러난 글귀를 적으며 이 글을 마무리해본다. 『유전자들은 여러 몸을 거쳐 가면서 서로를 계속 만나게, 그리고 서로 협력하게 되는 것이다. 협력의 열쇠는 모든 유전자가 미래로 향한 하나의 출구를 거쳐야 한다는 것이다. 이 출구 안에서 유전자들은 다음 세대로 항해를 계속하기를 갈망한다.』
이 책을 읽다 보면 인간이 ‘이기적 유전자’가 조종하는 꼭두각시에 불과하다는 것인가 하는 의문이 들기도 한다. 그렇다면 과연 인간이라는 개체는 어떤 마음을 가지고 세상을 살아가야 할까? 분열과 반목이 점철된 혼란스러운 세상에서 모두가 협력하고 손잡고 발맞추어 나아갈 때 우리의 유전자도 보다 안전하게 발전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유전자를 보존하고 계승하기 위해서는 분명 이기심이 필요하다고 본다. 하지만 더 멀리, 더 오랫동안 퍼트리고자 한다면 각 유전자들의 협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진리는 공생 관계를 유지하는 생태계에서도 볼 수 있고, 훌륭한 애국 열사나 지도자가 존재하는 인간 세상에서도 볼 수 있다. 책 마지막을 보면 리처드 도킨스의 견해에도 그러한 의견이 담겨 있음을 충분히 짐작해 볼 수 있다. 저자의 그러한 생각이 드러난 글귀를 적으며 이 글을 마무리해본다. 『유전자들은 여러 몸을 거쳐 가면서 서로를 계속 만나게, 그리고 서로 협력하게 되는 것이다. 협력의 열쇠는 모든 유전자가 미래로 향한 하나의 출구를 거쳐야 한다는 것이다. 이 출구 안에서 유전자들은 다음 세대로 항해를 계속하기를 갈망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