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_장강일기_저자 정정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독후감_장강일기_저자 정정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로 도로 찾아온 것일까? 조국의 운명을 손에 거머쥔 채 고난과 역경의 이국땅에 망명한 임시정부와 함께 25년을 같이 살아온 나로서는 그런 생각이 들지 않을 수 없었다.’
정말 고국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한다면 이러한 생각을 할 수 있었을까 싶다. 오늘날 우리나라와 비교를 해보면 정말 그 당시의 사람들은 애국심이 컸었고, 이 애국심 하나로 자신의 인생이 바뀌게 되는 등의 일들이 많이 있었다. 하지만 오늘날의 사람들은 애국심이 얼마나 있을까, 그리고 애국심이 있다고 한들 자신의 목숨을 바쳐서 나라를 잘 일구어 나갈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지에 대해서도 생각해보며 아쉬운 마음이 들었다. 당장에 나부터도 내 목숨을 바치면서까지 애국심을 내세우기는 힘들 것 같은데, 어떻게 해서든지 나라를 지키기 위하여 노력을 하셨던 그런 모습들이 정말 존경스러웠던 것 같다.
과제를 통하여 이 책을 읽고 마음 속에 정말 깊은 여운이 남아있게 되었다. 처음에는 어떻게 이 책을 다 읽지라는 걱정도 했었지만 읽어갈수록 책에 몰입이 되어서 열심히 읽어가게 되었던 것 같다. 우리가 아는 여자 애국열사로는 ‘유관순’이 있다. 우리는 그것 밖에 모른다. 이렇게 또 여자 독립운동가가 있다는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고 나서 나는 이렇게 또 다른 숨겨진 애국 독립운동가들에 대해서 찾아보고 싶어졌다. 민족의 정체성이 거의 사라져갈 때 쯤, 이분들의 노력을 통하여서 다시 우리나라의 민족성을 되찾을 수 있게 되었으며 현재의 우리나라 또한 존재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흔히 역사라고 하면, 따분한 것이라고 생각을 하는 경우를 정말 많이 보았다. 하지만 이러한 역사들이 하나씩 모이게 되었기 때문에 지금의 우리나라가 있을 수 있었다는 것을 기억해야만 할 것이다. 사랑하는 나라 한국과 작별을 하신지 30년 정도가 된 이 시점에서 읽어보는 장강일기는 정말 의미가 있었다고 생각한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다. 아주 공감이 많이 가는 말인데, 그렇기에 우리는 이렇게 소중한 우리나라의 역사를 더 많은 사람에게 알려야 하며, 그 역사를 통하여 다시금 우리나라를 돌아볼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우리나라 앞으로 더 발전을 할 수 있게 되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본다. 잊혀지는 역사는 없어야 할 것이며, 특히나 당시 나라를 살려내려고 했던 사람들의 이러한 노력은 더욱 잊혀져서는 안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키워드

레포트,   과제,   자료,   서평,   독후감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7.04
  • 저작시기2022.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154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