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1) 사회사업은 과연 무엇인가?
2) 사회사업가는 무엇을 하는 사람인가?
3) 사회사업자가 가져야 할 태도
3.결론
4.참고문헌
2.본론
1) 사회사업은 과연 무엇인가?
2) 사회사업가는 무엇을 하는 사람인가?
3) 사회사업자가 가져야 할 태도
3.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어르신을 섬기는 마음으로 전해질 수 있어야 한다. 제도나 지원의 과정을 잘 모른다고 하여 사회사업가가 주관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해서는 안 된다. 설명을 통해 이해를 도우며 스스로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어르신의 삶 속에서 끝까지 어르신 당신이 삶의 주인이 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어야 할 것이다.
3. 결론
‘사회복지사의 독서노트’라는 책 속에서 가장 강조하는 단어는 ‘관계’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람은 함께 어울려 살아가야 하는 존재이지만, 타인과의 관계를 맺고 이어가는 일은 몹시 어려운 일이다. 많은 사람 속에 둘러싸여 있는 사람일지라도 진심을 나누는 관계의 사람을 갖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누군가 행복한 삶을 산다는 것은 경제적인 풍요보다 따뜻한 인간관계와 인정 속에서 살아가는 일일 것이다. 좋은 사람들과 풍성한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은 어려움을 겪어도 쉽게 주저앉지 않는다는 책의 글귀가 가장 가슴에 남았다. 사회사업가는 이러한 따뜻한 인간관계를 잘 형성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이어주고 도와주는 일을 하는 사람이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사업가 스스로 풍성한 관계를 가지고 삶을 영위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사회사업이 가지는 어려움과 고됨으로 인하여 많은 사회사업가가 초심을 잃고 심리적 지지보다 경제적이고 현실적인 지원에만 치중하게 되기도 한다. 도움을 베푸는 우월감이나 스스로 자기만족을 위해 행동하고 있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사회사업가 역시 평범한 사람으로서 당연히 있을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사회사업가라면 항상 나의 마음과 내가 행하고 있는 사회사업활동이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지를 고민하고 인지하지 않는다면, 오랜 시간 사회사업가로 활동할 수 없을 것이다. 책의 앞부분에 흑인 노예를 도구처럼 사용하면서도 전혀 그 행동이 잘못되었다거나 죄책감을 느끼지 못하는 소녀의 일기에 관한 내용이 나와 있다. 흑인 노예를 인격체로서 의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인식할 수 없었던 것처럼 지금 우리가 행하고 있는 다양한 사회사업활동이 올바른 것인지 끊임없이 고민하지 않는다면 잘못을 하고 있더라도 인식하지 못한 채 반복할 수 있음을 경계해야 할 것이다.
4. 참고문헌
- 사회복지사의 독서노트, 김세진, 구슬꿰는실, 2021.10.01
- 사회복지학개론, 홍봉수, 공동체, 2020.02.17
- Lee, Hye-Gyeong. \"사회복지학의 정체성.\"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995): 63-74.
3. 결론
‘사회복지사의 독서노트’라는 책 속에서 가장 강조하는 단어는 ‘관계’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람은 함께 어울려 살아가야 하는 존재이지만, 타인과의 관계를 맺고 이어가는 일은 몹시 어려운 일이다. 많은 사람 속에 둘러싸여 있는 사람일지라도 진심을 나누는 관계의 사람을 갖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누군가 행복한 삶을 산다는 것은 경제적인 풍요보다 따뜻한 인간관계와 인정 속에서 살아가는 일일 것이다. 좋은 사람들과 풍성한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은 어려움을 겪어도 쉽게 주저앉지 않는다는 책의 글귀가 가장 가슴에 남았다. 사회사업가는 이러한 따뜻한 인간관계를 잘 형성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이어주고 도와주는 일을 하는 사람이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사업가 스스로 풍성한 관계를 가지고 삶을 영위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사회사업이 가지는 어려움과 고됨으로 인하여 많은 사회사업가가 초심을 잃고 심리적 지지보다 경제적이고 현실적인 지원에만 치중하게 되기도 한다. 도움을 베푸는 우월감이나 스스로 자기만족을 위해 행동하고 있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사회사업가 역시 평범한 사람으로서 당연히 있을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사회사업가라면 항상 나의 마음과 내가 행하고 있는 사회사업활동이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지를 고민하고 인지하지 않는다면, 오랜 시간 사회사업가로 활동할 수 없을 것이다. 책의 앞부분에 흑인 노예를 도구처럼 사용하면서도 전혀 그 행동이 잘못되었다거나 죄책감을 느끼지 못하는 소녀의 일기에 관한 내용이 나와 있다. 흑인 노예를 인격체로서 의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인식할 수 없었던 것처럼 지금 우리가 행하고 있는 다양한 사회사업활동이 올바른 것인지 끊임없이 고민하지 않는다면 잘못을 하고 있더라도 인식하지 못한 채 반복할 수 있음을 경계해야 할 것이다.
4. 참고문헌
- 사회복지사의 독서노트, 김세진, 구슬꿰는실, 2021.10.01
- 사회복지학개론, 홍봉수, 공동체, 2020.02.17
- Lee, Hye-Gyeong. \"사회복지학의 정체성.\"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995): 63-74.
추천자료
[독서치료][독서요법][독서치료 효과][독서치료 원리][독서치료 실행모델][독서치료 내용][독...
[A+ 평가 독후감]물의 미래, 독후감.- 핵심내용 분석과 개인적인 느낌을 중심으로.
[우수평가자료]청춘아, 가슴 뛰는 일을 찾아라 독후감 서평, 개인적인 감상과 느낀 점과 교훈...
광주 성빈여사 기관 방문보고서
[원서번역] Advanced Generalist Social Work Practice (저자 - David S. Derezotes) 1장 사...
지역아동센터 실습일지 8시간씩 120시간
지역아동센터 실습일지 6시간씩 20일
[독후감] 학교로 간 사회복지사 (서평, 독서감상문) 박경현, 임경선 등 저자
단 한권을 읽어도 제대로 남는 메모 독서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