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복지론 ) 현재 우리나라 가족복지 현장의 이슈를 하나 택하여 이와 관련이 있는 가족복지 정책 및 서비스의 내용을 파악하고 그 개선점을 제시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복지론 ) 현재 우리나라 가족복지 현장의 이슈를 하나 택하여 이와 관련이 있는 가족복지 정책 및 서비스의 내용을 파악하고 그 개선점을 제시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1) 맞벌이 가족의 개념
(2) 맞벌이 가족의 구조적 문제점
(3) 가족복지의 개념
(4) 현재 시행되고 있는 복지정책 및 서비스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의 직업의식과 태도 역시 개선될 필요가 있다. 실제 사례로 출산 휴가로 3개월 휴직 후 복직한 직장인 A 씨는 어린이집 원장으로부터 황당한 전화를 받게 되었다고 한다. 오후 4시 이후까지 하원을 하지 않는 아동은 A 씨의 자녀뿐이라며, 하원 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지 묻는 전화였다. 이 경우 업무 태만이나 직무유기 등으로 지자체에 신고 할 수는 있으나 현실적으로 그렇게 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신고하게 되면 아이는 더는 해당 보육 시설을 다닐 수 없게 되고, 아이를 맡길 다른 보육 시설을 찾아야 하는데 보육 시설과 인력이 부족하다 보니 국공립의 경우는 몇 년씩 입소를 기다려야 하는 실정이다. 결국, 돌봄 공백을 메우기 위해 추가로 돌보미를 고용하거나 그마저도 사정이 여의치 않으면 연로하신 부모님께 도움을 요청할 수밖에 없다. 이것은 다시 황혼 육아로 고통받는 가족의 갈등으로 이어지게 된다.
가정 내에서 여성은 여전히 자녀 출산, 양육, 가사 등에서 온전히 해방될 수 없고, 가파르게 상승하는 물가로 더는 남성의 홀벌이로는 가족의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가 어려워졌다.
많은 인식 및 제도 개선으로 출산, 육아 시 휴직제도나 휴직급여 등이 개선되었고, 2023년부터는 부모급여 지급, 한부모 가정 지원 사업등 다양한 복지정책이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턱없이 부족한 정부 관리 감독 보육 시설, 보육 교사의 열악한 처우 및 그에따른 교사의 인력 부족 등 맞벌이 가족을 위한 정책에는 여전한 공백이 있다.
매년 늘어나고 있는 맞벌이 가족을 위해 보육 시설의 수와 보육시간을 늘리고 보육 교사 역시 증원하여 처우를 개선해야 할 것이다. 또한, 양육과 가사에 대한 인식 개선으로, 일을 분담하여 건강하고 행복한 가족의 삶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개인, 가족, 국가는 모두 유기체적 관계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가족복지론최정숙, 학지사, 2020
한국사회 맞벌이부부의 일과 삶 한국사회과학연구지원(SSK)사업, 2011
통계청 https://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두산백과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
아이돌봄서비스 www.idolbom.go.kr
실무노동용어사전, 2014. 육아휴직기간 [育兒休職期間] (네이버 지식백과)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실무노동용어사전 2014.
고용보험 www.ei.go.kr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7.27
  • 저작시기2023.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193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