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Messy_팀하포드_독후감
본문내용
야할 대목이라고 느꼈다.
사회과학자들이 할만한 실험을 저자는 많이 소개시켜주고 있는데 타율에 의한 깔끔한 책상이 업무의욕을 감퇴시킨다는 대목도 재밌었다. 개개인에게 사무실을 구성하는 자율권을 주자 깔끔한 경우에 비해 30퍼센트 더 많은 일을 해놨다고 한다. 현재 우리나라 일반적인 사무실은 바둑판 모양의 딱딱하고 건조한 분위기가 많이 생각나는데 저자는 이런 타율적인 구성의 사무실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 쉽게 풀어낸다. 일이 지루하다고 불평하는 사람도 있고 사무실이 너무 덥다고 호소하는 사람도 있으며 그런 공간을 내준 회사는 물론 자신이 하는 업무도 싫어하는 사람이 많다는 것이다. 물리적인 환경도 중요하지만 정작 이 책이 주장하는 핵심은 작업환경보다 더 중요한 것은 바로 누가 그곳을 꾸몄느냐는 것이라고 한다. 직원들이 남이 아닌 스스로 자신의 공간을 직접 꾸몄을 때 공간에 장식이 있는지 없는지 유무는 성과와 아무 상관이 없다고한다. 정말 이 대목을 읽고 무릎을 탁 치게 만들었다. 어떤 장식이 있는 것은 매우 사소한 것이고 내가 내의지로 자율적으로 공간을 만들었다는 사실 그 자체가 만족감을 높이는 거였구나 하는 통찰력을 느꼈다.
이 책에서는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었던 이론을 예리하게 지적하면서 선입견을 깨고 있는데 그 중에서 제일 인상깊은 것은 깨진 유리창 이론이었다. 이 이론은 너무 유명해서 대부분 사람들이 알고 있을 것이다. 깨진 유리창이 계속 악순환을 반복하여 도시 위생과 범죄를 불러일으키니 사소한 것부터 잘 챙겨야 한다는 정도로만 알고 있었다. 1990년대 뉴욕 경찰청에서 이 이론을 기반으로 공공정책을 펼치면서 유명해졌다. 그러나 깨진 유리창 이론이 그럴 듯해보인다고 해서 그것이 명백한 사실은 아니라고 저자는 말한다. 처음 방치된 빈 집은 왜 그렇게 된 것일까? 빈집은 잘사는 지역보다 가난한 지역에서 나올 확률이 높고 지역공동체의 몰락은 사실 정말 버려진 집때문이 아닐까? 이미 빈집이 발생했을 때 이미 그 지역에 상당한 문제가 있었던 것은 아닐까? 하고 분석해 볼 수 있다. 진실은 치안유지와 관련해 깨진 유리창 이론을 뒷받침하는 사회 과학적 연구 결과는 찾기 어렵다는 것이고 또한 이 이론으로 인해 1990년대 뉴욕의 범죄율이 낮아졌다는 주장도 의심스럽다고 한다.
또한 미국과 같이 인종의 용광로같은 사회에서 다양성이 주는 장점을 강조한다.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뒤섞이면 사람들은 대개 사회결속이 약해지고 범죄율은
사회과학자들이 할만한 실험을 저자는 많이 소개시켜주고 있는데 타율에 의한 깔끔한 책상이 업무의욕을 감퇴시킨다는 대목도 재밌었다. 개개인에게 사무실을 구성하는 자율권을 주자 깔끔한 경우에 비해 30퍼센트 더 많은 일을 해놨다고 한다. 현재 우리나라 일반적인 사무실은 바둑판 모양의 딱딱하고 건조한 분위기가 많이 생각나는데 저자는 이런 타율적인 구성의 사무실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 쉽게 풀어낸다. 일이 지루하다고 불평하는 사람도 있고 사무실이 너무 덥다고 호소하는 사람도 있으며 그런 공간을 내준 회사는 물론 자신이 하는 업무도 싫어하는 사람이 많다는 것이다. 물리적인 환경도 중요하지만 정작 이 책이 주장하는 핵심은 작업환경보다 더 중요한 것은 바로 누가 그곳을 꾸몄느냐는 것이라고 한다. 직원들이 남이 아닌 스스로 자신의 공간을 직접 꾸몄을 때 공간에 장식이 있는지 없는지 유무는 성과와 아무 상관이 없다고한다. 정말 이 대목을 읽고 무릎을 탁 치게 만들었다. 어떤 장식이 있는 것은 매우 사소한 것이고 내가 내의지로 자율적으로 공간을 만들었다는 사실 그 자체가 만족감을 높이는 거였구나 하는 통찰력을 느꼈다.
이 책에서는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었던 이론을 예리하게 지적하면서 선입견을 깨고 있는데 그 중에서 제일 인상깊은 것은 깨진 유리창 이론이었다. 이 이론은 너무 유명해서 대부분 사람들이 알고 있을 것이다. 깨진 유리창이 계속 악순환을 반복하여 도시 위생과 범죄를 불러일으키니 사소한 것부터 잘 챙겨야 한다는 정도로만 알고 있었다. 1990년대 뉴욕 경찰청에서 이 이론을 기반으로 공공정책을 펼치면서 유명해졌다. 그러나 깨진 유리창 이론이 그럴 듯해보인다고 해서 그것이 명백한 사실은 아니라고 저자는 말한다. 처음 방치된 빈 집은 왜 그렇게 된 것일까? 빈집은 잘사는 지역보다 가난한 지역에서 나올 확률이 높고 지역공동체의 몰락은 사실 정말 버려진 집때문이 아닐까? 이미 빈집이 발생했을 때 이미 그 지역에 상당한 문제가 있었던 것은 아닐까? 하고 분석해 볼 수 있다. 진실은 치안유지와 관련해 깨진 유리창 이론을 뒷받침하는 사회 과학적 연구 결과는 찾기 어렵다는 것이고 또한 이 이론으로 인해 1990년대 뉴욕의 범죄율이 낮아졌다는 주장도 의심스럽다고 한다.
또한 미국과 같이 인종의 용광로같은 사회에서 다양성이 주는 장점을 강조한다.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뒤섞이면 사람들은 대개 사회결속이 약해지고 범죄율은
추천자료
팀하포드의 경제학 콘서트를 읽고
경제학 콘서트 (팀 하포드 지음)
[독후감] 팀 하포드(Tim Harford)의 <경제학콘서트(The Undercover Economist)>를 읽고
[독후감] 팀 하포드(Tim Harford)의 <경제학 콘서트>를 읽고
[경제학콘서트] 경제학콘서트 서평
[경제학콘서트]경제학콘서트 감상문
[경제학 독후감] 『경제학 콘서트 (Undercover Economist)』를 읽고 _ 팀 하포드 (Tim Harfor...
메시(messy) 팀 하포드 독후감 감상문 서평!!!!!
[독후감] 메시 messy :혼돈에서 탄생하는 극적인 결과 (저자 팀 하포드) (서평 비평문, 독서...
MESSY(메시) 독후감, 독서감상문 - 팀 하포드 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