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삼위일체의 형성 과정
1) 구약 : 유일신
2) 신약과 사도교부들 : 하나님의 복수성
3) 로마 : 하나님의 일체를 말한 군주론- 양자론과 양태론
4) 이레네우스와 터툴리안 : 삼위일체론
5) 경세적 삼위일체 :삼위 하나님의 외부로 향하는 고유사역
6) 내재적 삼위일체
7) 아리우스 : 호모오이시우스(종속설) 와 니케아 : 호모우시아(동등설)
1) 구약 : 유일신
2) 신약과 사도교부들 : 하나님의 복수성
3) 로마 : 하나님의 일체를 말한 군주론- 양자론과 양태론
4) 이레네우스와 터툴리안 : 삼위일체론
5) 경세적 삼위일체 :삼위 하나님의 외부로 향하는 고유사역
6) 내재적 삼위일체
7) 아리우스 : 호모오이시우스(종속설) 와 니케아 : 호모우시아(동등설)
본문내용
터 7월 29일까지 제국 내 전체감독회의인 제 1차 에큐메니컬 공의회인 니케아 회의를 소집한다.
회의가 개막되자 아리우스 지지파가 재빨리 신조를 제출했으나 거부되었고, 두 그룹의 중재를 원했던 가이사랴의 유세비우스가 제출한 신조가 약간의 수정을 거쳐 채택되었다. 이 신조에는 성자에 대해 “출생하신 것이며 피조된 것은 아니다”, “성부와 동질”등의 표현이 첨부되었으며, “성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는 없었다.”, “성자는 존재하지 않았던 물질로 만들어졌다.”와 같은 어구를 삽입함으로 아리우스를 반대하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니케아 공의회의 “독생하신 하나님의 아들은 아버지와 `동일본질, 동일실체`를 가진 분이며 `참된 하나님으로부터 나신 참된 하나님`이시다”라는 삼위의 기초를 이룬 판결로 인해 아리우스파는 정죄를 당했지만, 그 영향력은 계속 확산되어 많은 지역이 아리우스주의를 천명하고 있었기에 337년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죽고 아리우스주의는 다시금 승기를 잡게 된다. 그러나 379년 서방신학의 열렬한 지지자였던 테오도시우스의 황제가 즉위함으로 381년 콘스탄티노플에서 공의회가 열리게 되고 이곳에서 니케아 신조가 재확인함으로 인해 아리우스는 파문당하게 된다.
회의가 개막되자 아리우스 지지파가 재빨리 신조를 제출했으나 거부되었고, 두 그룹의 중재를 원했던 가이사랴의 유세비우스가 제출한 신조가 약간의 수정을 거쳐 채택되었다. 이 신조에는 성자에 대해 “출생하신 것이며 피조된 것은 아니다”, “성부와 동질”등의 표현이 첨부되었으며, “성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는 없었다.”, “성자는 존재하지 않았던 물질로 만들어졌다.”와 같은 어구를 삽입함으로 아리우스를 반대하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니케아 공의회의 “독생하신 하나님의 아들은 아버지와 `동일본질, 동일실체`를 가진 분이며 `참된 하나님으로부터 나신 참된 하나님`이시다”라는 삼위의 기초를 이룬 판결로 인해 아리우스파는 정죄를 당했지만, 그 영향력은 계속 확산되어 많은 지역이 아리우스주의를 천명하고 있었기에 337년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죽고 아리우스주의는 다시금 승기를 잡게 된다. 그러나 379년 서방신학의 열렬한 지지자였던 테오도시우스의 황제가 즉위함으로 381년 콘스탄티노플에서 공의회가 열리게 되고 이곳에서 니케아 신조가 재확인함으로 인해 아리우스는 파문당하게 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