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규모 시대의 제조업플랫폼 비즈니스로 도약한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탈규모 시대의 제조업플랫폼 비즈니스로 도약한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1. 생성 AI 시대의 개요.
2. 생성 AI와 기존 AI의 차이점
3. 생성 AI를 통한 비즈니스 혁신
1) R&D: 제너레이티브 디자인으로 연구개발 생산성 증대
2) 마케팅: BOT 커머스 시대의 개막
3) 생산: cre“AI”tion, 디지털 콘텐츠 창작 혁명의 시작
4) 기획 및 일반 업무
4. 고려사항
첫째, 생성 AI의 활용 가능성과 기술적 한계를 명확히 인식해야 한다.
둘째, 우리 사업에서 생성 AI의 활용 효과가 클 영역이 어디인지 면밀히 살펴야 한다.
셋째, 도입 프로세스를 단계적으로 밟으며 적절한 도입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
넷째, 신기술 도입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려는 조직 문화적 활동도 추진해야 한다.

본문내용

현재 비즈니스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접점을 찾아야 한다.
2) 하이브리드 비즈니스 모델로 시작하자.
◎ 플랫폼 비즈니스는 처음부터 플랫폼을 만들면서 새롭게 만들어진 경우도 있지만 기존제품으로부터 자연스럽게 플랫폼이 파생되면서 기존제품과 결합한 하이브리드 (Hybrid)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도 많다. ◎ 레고 마인드스톰스(mindstorms)는 인터넷으로 제어 소프트웨어를 제공 하여 로봇을 작동시키는 방식인데 한 스탠퍼드 대학원생이 로보틱 컨트 롤러 코드를 해킹한 뒤 플랫폼으로 등장했다. 레고 경영진은 처음에 이를 자기 시장을 갉아먹는 위협이라는 제품 마인드로 접근했다. 그러나 수요측면에서 아직 개발되지 않은 가치가 존재한다는 신호임을 깨닫고 코드를 모두 공개하 였다. 이를 시발점으로 많은 개발자 매니아들이 신제품 개발에 적극 참여하게 되었다. ◎ 이후 마인드스톰스는 사용자가 기획, 제안하고 레고가 생산만 담당하는 새로운 플랫폼으로 성장하였다. 또한 사용자 스스로 온라인에서 레고 모델을 설계할 수 있는 레고 디지털 디자이너(lego digital designer) 플 랫폼을 운영하여 150여명의 정규 디자이너 외에 자발적으로 활동하는 12만명의 아이 디어를 제품 디자인에 반영하고 있다. 레고는 자사의 가치사슬 중 어느 영역에서 네트워크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지를 잘 파악했고 이를 플랫폼 화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 브리드 플랫폼 모델은 기존 제품에 더하여 새로운 플랫폼으로부터 수익을 얻을 수 있고, 이 두 가지가 시너지 효과를 내기 때문에 전통적인 제조 기업이 고려해볼 만한 모델이다. 하이브리드 모델이 플랫폼 기반 사업으로 전환하는데 유용한 이유는 핵심 고객을 버리지 않으면서도 가치를 창출하고 획득할 새로운 기회를 확인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 제조업 마인드에서 벗어나 기존 사용자나 비사 용자를 위한 새로운 가치 를 창출할 방법을 발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조기업이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모으고 어떻게 분석할지를 예측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소규모로 실행하여 노하우를 쌓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
3) 제품 경쟁력을 확보한 후 플랫폼 비즈니스를 추진하라.
◎ 훌륭한 플랫폼은 훌륭한 제품에서 시작된다. 외부 경쟁을 물리칠 수 있는 힘을 지닌 제품과 충분한 규모의 고객층을 갖춘 상태에서 플랫폼 비즈니스를 시도해야 한다. 임계치의 고객 규모를 달성했고 고객들이 경쟁기업으로 바꾸지 않을 만큼 충분한 가치를 제공하는 제품을 보유하여야 한다. 힘을 가진 제품이란 고객이 경쟁기업으로 쉽게 옮기지 않을 만큼 충분한 가치를 제공 하는 제품을 의미한다. 그 가치가 혁신적 성능이 든 디자인이든 고객을 잡아둘 수 있는 제품의 핵심 가치가 있어야 한다. ◎ 플랫폼 비즈니스는 네트워크의 규모가 승부를 결정짓는다. 플랫폼 참여자 수가 많을수록 더 많은 상호작용이 일어나고 이는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하면서 참여자 수가 늘어나는 선순환 고리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제품에 충성도가 높은 상당수의 고객층을 이미 확보하고 있다면 플랫폼 경쟁에서 유리한 고지 를 선점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빠르게 플랫폼의 크기를 키워나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제조업은 본업인 제품의 물리적 경쟁력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 정보적 가치가 아무리 유용하더라도 제조업의 기본 가치가 흔들리면 경쟁력은 없다. 제조업에서 플랫폼은 물리적 가치에 정보적 가치를 더하여 전체 고객가치를 증대시키는 활동으로 이해해야 한다. ◎ 제조업이 지속적으로 가치를 창출하고 지위를 유지하려면 지금껏 해당 산업 내에서 확보한 우위를 지키면서 변화를 촉발하는 요인을 이해하고 구조 적 우위를 확보하는 활동에 집중해야 한다. ◎ 플랫폼 싱킹 랩스(platform thinking labs) 대표인 상지트 폴 초더리는 한 인터뷰에서 “기업 내부에서 개발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팔아 이익을 내는 전통 비즈니스 모델이 한계에 봉착했다. 건물 땅과 같은 고정 자산이 아니라 플랫 폼 비즈니스에 투자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컬럼비아대 경영대학원 리타 맥그레스 교수는 사업들이 연결되어 같이 변하는 무대(arena)에서 특정 분야에서 일시적인 우위에 우쭐하지 말고 다양한 범위에서 실험적 시도를 계속하라고 강조한다. 대부분의 기업은 비즈니스 모델 전환을 두려워한다. 하지만, 고객가치창출 원천이 변하고 있고 지금까지 해왔던 방식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을 것이라는 한계를 직감한다면 근본적으로 혁신하겠다는 과감함이 필요하다.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3.08.20
  • 저작시기2023.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209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