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2학기 방송통신대 철학의이해 중간과제물)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에 딸린 8개 문항 교재와 강의 3장을 공부하고 교재 70페이지의 2번 문제 (유가와 도덕적 삶)에 딸린 4개 문항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23년 2학기 방송통신대 철학의이해 중간과제물)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에 딸린 8개 문항 교재와 강의 3장을 공부하고 교재 70페이지의 2번 문제 (유가와 도덕적 삶)에 딸린 4개 문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에 딸린 8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최소분량 제한은 없으며 최대 A4지 3쪽까지 작성할 수 있습니다. (20점)

1) 플라톤이 생각한 인간다운 인간은 어떠한 인간인가?
2)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왜 이성을 잘 발휘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보았는가?
3) 인간이 자연의 입법자라는 칸트의 말은 무슨 의미인가?
4) 정언명령이란 무엇인가?
5) 홉스에 따르면 사회계약은 어떤 이유로 체결될 수 있는가?
6) 흄은 도덕이 어떻게 성립된 것이라고 보았는가?
7) '무의식의 의식화'란 무슨 의미인가?
8) 프로이트에게 도덕은 무엇인가?

2. 교재와 강의 3장을 공부하고 교재 70페이지의 2번 문제 (유가와 도덕적 삶)에 딸린 4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최소분량 제한은 없으며 최대 A4지 2쪽까지 작성할 수 있습니다. (10점)

1) 인간의 본성이 왜 선한지에 대한 유가의 입장은?
2) 유가에서 예의법도가 갖는 의미는?
3) 유가를 인본주의 사상이라고 하는 이유는?
4) 유가사상이 봉건 이데올로기로 받아들여지게 된 이유는?

3. 참고문헌

본문내용

규칙을 지키지 않으면 자신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초자아가 공격할 것이 두렵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지키는 것일 뿐이다.
2. 교재와 강의 3장을 공부하고 교재 70페이지의 2번 문제 (유가와 도덕적 삶)에 딸린 4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최소분량 제한은 없으며 최대 A4지 2쪽까지 작성할 수 있습니다. (10점)
1) 인간의 본성이 왜 선한지에 대한 유가의 입장은?
공자는 인간의 본성이 도덕적이므로, 본성에 따라 사는 것이 가장 편하고 자연스러운 것이고 가장 만족스러운 것이라고 말한다. 유가는 인간이 자연의 일부임을 인정하고 그 자연의 본성이 도덕적임을 이해한다면, 인간의 본성이 도덕적이라는 생각은 그야말로 너무도 자연스러운 생각으로 받아들여질 것이라고 주장한다. 즉, 유가는 우리를 둘러싼 우주 자연을 평화롭고 생명력이 가득한 유기체로 파악한다. 누가 보더라도 우주는 그 안에 담고 있는 모든 것을 생육하고 보살핀다. 그러한 생명력이야말로 선한 것 중에서 가장 선한 것이다. 그래서 유가는 우주 자연의 생명력을 어질다(仁) 거나 성실하다(誠) 고 표현한다. 이처럼 유가에서 우주 자연은 지극히 선한 것, 최고선이다.
그리고 인간이 우주 자연의 일부분이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므로, 인간은 그 자연의 속성을 지니고 태어나는 것이다. 따라서 우주 자연에 깃든 생명력의 본질은 인간의 본질이 된다. 자연의 생명력이 자연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들을 양육하고 번성하게 하는 한, 자연은 인자한 것이고 그러한 자연의 본성을 안고 태어나는 인간 또한 선한 존재이다. 결국 유가는 자연과 인간을 분리하지 않는다. 자연은 조화와 질서를 갖추고 있는 영원한 것이며, 인간은 그러한 자연의 일부이다. 그러한 자연의 조화와 질서의 원리가 도(道)이다. 따라서 우주와 자연의 원리에 일치하는 삶이 가장 행복한 것이고 선한 삶이며, 그렇게 살 수 있는 능력과 의지가 내 안에 존재한다.
2) 유가에서 예의법도가 갖는 의미는?
유가에서 도덕적으로 산다는 것은 하늘의 원리와 일치하는 “인의예지(仁義禮智)에 따라 사는 것”이다. 개인이나 사회나 그와 같이 인의예지에 따라 조화와 질서를 갖추어 가면 그것이 곧 군자이자 정의로운 사람이요, 덕이 지배하는 바른 사회이자 바른 국가이다.
유가는 인의예지란 그 누구보다도 하늘의 이치를 성찰하는 능력이 뛰어난 성인들이 인간의 도덕원리로 찾아낸 것이라고 말한다. 곧 인의예지란 구체적으로 옛날의 성인들이 뛰어난 도덕적 성찰로 자연의 본성을 인간의 본성과 행위에 적용시키면 어떻게 될까를 생각하고 연구한 끝에 만들어 놓은 예의법도(禮儀法度)를 말한다.
유가는 보통사람들이 도덕적으로 살 수 있는 길은 옛 성인들의 삶을 배우고 그에 따라 살 아가는 것이 최선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유가는 위로는 성인을 섬기고 아래로는 선한 무리들과 교유하며 살아가기를 권하고(上師聖人下友群賢), 그러한 과정에서 예(禮)가 아닌 것은 보지도 듣지도 말하지도 행하지도 말라고 가르친다(非禮勿 視, 非禮勿聽, 非禮勿言, 非禮勿行). 그렇게 스스로를 신실하게 잘 다스리고 충만하게 하여 늘 예에 따라 살아가면 그것이 하늘의 본성이자 인간의 본성인 인(仁)에 따라 살아가는 것이 되는 것이다(主忠信, 克己復禮 爲仁). 그리고 그렇게 예로써 자기를 충실히 하고 인을 완성하면 저절로 타인을 자기와 같이 이해하게 되고(己所 不欲 勿施於人), 그 충실함에 기초하여 타인을 너그럽게 이해함은 물론 베푸는 마 음을 갖게 되는 것이다(椎己及人). 이것이 유가사상의 요체로서 충서(忠恕)의 의미이고, 지배 엘리트들의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의 의미이자, 지배군주가 지향해야 할 지상의 덕목으로서 내성외왕(內聖外王)의 의미이다.
3) 유가를 인본주의 사상이라고 하는 이유는?
인간은 본질만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모든 생명체와 마찬가지로 육체 같은 기적(氣的) 질료(氣質)가 있고, 그것에 기인하는 욕망과 본능이 있다. 그러나 인간은 다른 어떤 동물과 달리 비록 기질을 갖고 있지만 그 기질이 가장 깨끗하기 때문에 그 어느 동물보다 순화된 욕망 및 감정 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다른 동물들과 달리 의식 주관이 있기 때문에 자신의 도덕적 본성을 반 성적으로 되돌아보면서 그에 걸맞은 행동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인간은 도덕적으로 살아감으로써 선한 자신의 본래 모습을 회복하는 것이며, 그것을 통해 삶의 참 의미를 발견하고 자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유가는 인간을 하늘과 땅과 함께 우주를 떠받치는 세 기둥(三才)의 하나로 여긴다. 유가사상을 기본적으로 인본주의 사상이라 부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4) 유가사상이 봉건 이데올로기로 받아들여지게 된 이유는?
춘추전국시대를 거치면서 수많은 제후들은 전통적인 지배질서와 군신관계를 거부하고 하극상을 일으키고 스스로 군주를 자처했다. 그들은 자신들의 기득권을 유지하고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해, 유가의 가르침을 이용하여 군주에 대한 자기 식의 예의법도를 인의예지로 내세워 그 예의법도를 어기면 사회혼란을 부추기는 것으로 간주하여 백성을 핍박하였다. 이러한 핍박의 도구로 활용된 것이 공자의 “군군신신부부자자(君君臣臣父父子子) ”이다.
그러나 그들은 신하는 신하답게, 백성은 백성답게 임금을 어버이처럼 섬겨야 한다고 가르치면서 그들 자신은 스스로가 과연 임금다운지 전혀 되돌아보지 않았다. 지배자 자신이 도덕적이지 않은 상태에서 타인에게 도덕적인 태도를 요구할 때 백성들에게 그 도덕은 그저 억압의 수단으로 생각한다. 이런 상황에서 지배세력이 내세우는 인의예지, 예의법도란 우리를 천인합일로 이끄는 도덕적 삶의 원리가 아니라 현실적인 기득권적 그 지배관계를 온존시키는 유효한 수단일 뿐이다. 공자의 말처럼 아무리 예가 중요해도 사람이 어질지 않으면 아무런 소용이 없는 것이다(人而不仁 如禮 何). 이처럼 유가사상은 춘추전국시대의 시대적 정황뿐 아니라 그 이후의 역사적 과정 속에서도 패도적 지배 엘리트들에 의해 봉건적 질서를 합리화하는 이데올로기로 이용되기도 했던 것이다.
3. 참고문헌
철학의 이해, 이정호 외 3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3.08.30
  • 저작시기2023.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216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