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정은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의 속성에 존재하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숫자나 기호를 부여하는 과정을 말한다. 측정의 정의 및 측정수준에 따른 척도의 종류별 특징을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측정은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의 속성에 존재하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숫자나 기호를 부여하는 과정을 말한다. 측정의 정의 및 측정수준에 따른 척도의 종류별 특징을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측정의 정의
2. 측정의 구조
3. 개념화와 조작화
1) 포괄성의 원칙
2) 상호 배타성의 원칙
Ⅱ. 본론 – 측정(척도)의 수준
1. 명물측정
2. 서열측정
3. 등간측정
4. 비율측정
Ⅲ. 결론
1. 범주형 자료, 정성적자료
2. 숫자형자료, 정량적 자료
3. 마무리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숫자형자료, 정량적 자료
숫자형자료는 보통 양적자료라고도 하지만 요즘은 데이터 분석이 컴퓨터, it분야와 결합성이 높아지면서, 용어도 조금씩 확장 전이되고 있다.
숫자형자료는 등간척도, 비율척도가 있다. 등간척도는 덧셈 뺄셈이 가능하고, 비율척도는 덧셈 뺄셈 뿐아니라 곱셈 나눗셈도 가능한 데이터이다.
쉽게 풀이하자면 정량적자료부터 수자적 분석이 원활하게 되는 것이다.
숫자형데이터에서 등간척도와 비율척도의 차이는 의미 있는 0의 존재가 있는지 없는지가 가장 큰 핵심이다.
3. 마무리
측정의 수준에 대하여 확실히 인지하는 시간이었다.
다시금 요약하자면 측정에서 명물측정, 서열측정, 등간측정, 비율측정으로 요약된다. 정리해보자면 명물측정은 남자를 1, 여자를 2로 표시하는 것이고 서열측정은 말 그대로 서열을 정하는 것으로 중간고사 성적을 1등, 2등, 3등과 같이 등수가 표시되는 것을 말한다.
등간측정은 특정상품에 대한 선호의 크기에 대해서 1점부터 5점까지 점수를 주도록 할 때, A는 1점, B는 2점, C는 5점을 줬다고 한다면, 이 측정을 보고서 C가 가장 호감이 좋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을 뿐 아니라 C가 A에 비해서 4점이나 높은 1점을 받았기 때문에 호감의 크기가 훨씬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듯 나누어지는 것이 등간측정이다.
마지막으로 비율측정은 사칙연산이 가능하고 분류도 가능하고 차이를 비교할 수 있고 순위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자녀의 수, 거리, 무게, 시간 등과 같은 것을 비율측정이라고 한다.
이번 과제를 통해서 사회복지사가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어떻게 선정하고, 다룰 것인가 하는 고찰도 하게 되고 전문지식 수준도 향상되어야 함을 깨달았다.
여러 사례들(측정수준으로 문서화된 자료)을 다양한 각도에서 파악해보면 더 좋았을텐데 하는 아쉬움도 있지만, 확실히 측정의 수준에 대해 파악하였기에 마무리하고자 한다.
Ⅳ. 참고문헌
-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최창현 외,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이영분 외, 동인, 2010
사회복지조사론, 이창희 외, 창지사, 2021
- 정보공유상춘 블로그 https://blog.naver.com/gogibupe
- 홈페이지 잠자는요한 (tistory.com)
- 드림셀퍼논문컨설팅공식블로그 https://m.blog.naver.com/moses3650
논문 연구 통계 분석실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 가격3,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8.30
  • 저작시기2023.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217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