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재무비율
2. 비율 계산 및 평가
1) 유동성 비율
2) 레버리지 비율
3) 활동성비율
4) 수익성비율
결론
참고 문헌
본론
1. 재무비율
2. 비율 계산 및 평가
1) 유동성 비율
2) 레버리지 비율
3) 활동성비율
4) 수익성비율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강의안 자료, 117p
당기순이익 대비 매출액의 값으로 구할 수 있다. K 회사는 (4,447/30,642)*100 = 14.51(%) 이고 경쟁사는 (4,203/32,582)*100 = 12.90(%) 이다. 이 비율 역시 K 회사가 경쟁사보다 높으므로 영업 활동 성과가 더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
이번 분석에서는 기준이 되는 기업과 비교하는 경쟁사 하나만을 가지고 비율 계산을 통해 분석을 수행했다. 본론에서 계산한 비율에 따르면 활동성비율 중 재고자산회전율을 제외한 모든 비율에서 K 회사가 경쟁사보다 우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는 경쟁사가 K 회사보다 기업의 주요 생산의 회전율이 더 빠르긴 하나 수익성비율을 고려한다면 생산의 효율성 대비 수익이 높지 않음을 추측할 수 있다. 모든 비율을 가지고 종합적으로 봤을 때 K 회사가 경쟁사보다 안정적이며 채권자나 투자자로서도 경쟁사보다는 K 회사를 선택하고자 할 것이다. 하지만 이 분석에는 다소 한계점이 존재한다. 비교하는 대상이 오로지 한 기업이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K 회사가 투자하기에 적합하다고 결론을 내릴 수도, 기업의 관점에서도 좋은 회사라고 쉽게 결정지을 수 없다는 의미이다. 또한 K 회사와 경쟁사가 어떤 산업군에 속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주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두 회사가 산업 내에서 어떤 위치에 속해있는지 알 수 없었다. 또한 산업의 특징을 고려하지 못한 채 알아낸 비율은 기업 평가에 있어 특징을 더 나타내지 못한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만일 산업군 전체의 비율 평균이 있다면 두 기업과의 비교를 통해 기업의 평가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전통적인 재무 분석에서 현재에는 재무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요인을 더한 자료를 분석하여 기업에 대해 평가내린다. 제공된 자료, 20p
과거 수요가 많았던 기존 시장과 달리 위협 요인이 많은 현 상황에서는 외부 환경 역시 기업 분석에 필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최근 ESG 경영이 경영의 핵심 요소로 쓰이며 많은 기업에서는 ESG 경영 보고서를 따로 제시해주며 화두가 되고 있다. 이는 전통적인 재무, 회계와 달리 비재무적인 부분을 다루기 때문에 차이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재무적 분석은 기업을 분석하는데 기준점이 되어 지표로 활용된다는 점에서 가장 이론적인 형태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기업은 사회적 존재와 비슷하므로 분석 역시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경영분석 강의안 자료
당기순이익 대비 매출액의 값으로 구할 수 있다. K 회사는 (4,447/30,642)*100 = 14.51(%) 이고 경쟁사는 (4,203/32,582)*100 = 12.90(%) 이다. 이 비율 역시 K 회사가 경쟁사보다 높으므로 영업 활동 성과가 더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
이번 분석에서는 기준이 되는 기업과 비교하는 경쟁사 하나만을 가지고 비율 계산을 통해 분석을 수행했다. 본론에서 계산한 비율에 따르면 활동성비율 중 재고자산회전율을 제외한 모든 비율에서 K 회사가 경쟁사보다 우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는 경쟁사가 K 회사보다 기업의 주요 생산의 회전율이 더 빠르긴 하나 수익성비율을 고려한다면 생산의 효율성 대비 수익이 높지 않음을 추측할 수 있다. 모든 비율을 가지고 종합적으로 봤을 때 K 회사가 경쟁사보다 안정적이며 채권자나 투자자로서도 경쟁사보다는 K 회사를 선택하고자 할 것이다. 하지만 이 분석에는 다소 한계점이 존재한다. 비교하는 대상이 오로지 한 기업이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K 회사가 투자하기에 적합하다고 결론을 내릴 수도, 기업의 관점에서도 좋은 회사라고 쉽게 결정지을 수 없다는 의미이다. 또한 K 회사와 경쟁사가 어떤 산업군에 속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주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두 회사가 산업 내에서 어떤 위치에 속해있는지 알 수 없었다. 또한 산업의 특징을 고려하지 못한 채 알아낸 비율은 기업 평가에 있어 특징을 더 나타내지 못한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만일 산업군 전체의 비율 평균이 있다면 두 기업과의 비교를 통해 기업의 평가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전통적인 재무 분석에서 현재에는 재무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요인을 더한 자료를 분석하여 기업에 대해 평가내린다. 제공된 자료, 20p
과거 수요가 많았던 기존 시장과 달리 위협 요인이 많은 현 상황에서는 외부 환경 역시 기업 분석에 필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최근 ESG 경영이 경영의 핵심 요소로 쓰이며 많은 기업에서는 ESG 경영 보고서를 따로 제시해주며 화두가 되고 있다. 이는 전통적인 재무, 회계와 달리 비재무적인 부분을 다루기 때문에 차이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재무적 분석은 기업을 분석하는데 기준점이 되어 지표로 활용된다는 점에서 가장 이론적인 형태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기업은 사회적 존재와 비슷하므로 분석 역시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경영분석 강의안 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