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 이러한 요건 가운데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이 무엇인지 한 단락으로 설명하시오.
2.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 ’으로서‘와 ’으로써‘
(2) ’-데‘와 ’-대‘
(3)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4) ’어떻게‘와 ’어떡해‘
(5) ’데다‘와 ’데이다‘
3. 교재 제II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 중 15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에 대해 설명하고, 그 단어가 들어간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4. 참고문헌
2.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 ’으로서‘와 ’으로써‘
(2) ’-데‘와 ’-대‘
(3)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4) ’어떻게‘와 ’어떡해‘
(5) ’데다‘와 ’데이다‘
3. 교재 제II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 중 15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에 대해 설명하고, 그 단어가 들어간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거니?
‘어떡해’는 \'어떻게 해\'가 줄어든 말로서 서술어 자리에 쓰인다.
예문 오늘 약을 잊어버리고 두고 나왔는데 어떡해.
(5) ’데다‘와 ’데이다‘
‘데다’는 불이나 뜨거운 기운으로 말미암아 살이 상하다, 몹시 놀라거나 심한 괴로움을 겪어 진저리가 나다의 의미를 가진다.
예문 그 상사한테 정말 데었어.
‘데이다’는 바른 표준어가 아니다.
예문 - X
3. 교재 제II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 중 15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에 대해 설명하고, 그 단어가 들어간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 재원 (명사) 재주가 뛰어난 젊은 여자. 젊은 여자의 의미를 모르고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문 그녀는 우리 회사의 제일가는 재원이다.
(2) 전격적 (명사, 관형사) 번개같이 급작스럽게 들이치는 것.
예문 예상할 새도 없이 전격적 조치가 시행되었다.
(3) 갑절 (명사) 어떤 수나 양을 두 번 합한 만큼
예문 이자가 붙어 돈을 갑절로 갚다.
(4) 염치 (명사) 체면을 차릴 줄 알며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 / 불고하다 (동사) 돌아보지 아니하다.
예문 염치 불고하고 부탁드립니다.
(5) 주의(注意) (명사) 어떤 한 곳이나 일에 관심을 집중하여 기울임 / 산만하다 (형용사) 어수선하여 질서나 통일성이 없다
예문 주의 산만한 학생 둘이 교실 전체 분위기를 망친다.
(6) 제치다 (동사) 거치적거리지 않게 처리하다. 일정한 대상이나 범위에서 빼다.
예문 기존 업무를 제치고 급한 일 먼저 처리했다.
(7) 장본인 (명사) 어떤 일을 꾀하여 일으킨 바로 그 사람, 부정의 의미로 사용된다.
예문 김대리가 이번 프로젝트를 망친 장본인이다.
(8) 사달 (명사) 사고나 탈
예문 김대리의 말실수 때문이 이 사달이 났다.
(9) 역임(歷任) (명사) 여러 직위를 두루 거쳐 지냄
예문 김선생님은 각종 협회는 물론 연구소장까지 역임하신 분이다.
(10) 와중 (명사) 흐르는 물이 소용돌이치는 가운데 / 일이나 사건 따위가 시끄럽고 복잡하게 벌어지는 가운데, 부정의 의미로 쓰인다.
예문 김팀장이 구조조정으로 회사가 시끄러운 와중에 휴가를 간다고 한다.
(11) 구설수 (명사) 남과 시비하거나 남에게서 헐뜯는 말을 듣게 될 운수
예문 좁은 업계에서는 구설수에 오르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12) 알은척 (명사) 어떤 일에 관심을 가지는 듯한 태도를 보임, 사람을 보고 인사하는 표정을 지음.
예문 건너편 플랫폼에 회사 후배가 있어 눈으로 알은척했다.
(13) 면모(面貌) (명사) 얼굴의 모양, 사람이나 사물의 겉모습 또는 됨됨이
예문 한 시간만 같이 있어도 사람의 면모를 판단하기는 충분하다.
(14) 인상착의 (명사) 사람의 생김새와 옷차림
예문 그때 방문한 손님의 인상착의가 기억나지 않는다.
(15) 현안(懸案) (명사) 이전부터 의논하여 오면서도 아직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 있는 문제나 의안
예문 결재 방식 변경이 중요한 현안이다.
4. 참고문헌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어떡해’는 \'어떻게 해\'가 줄어든 말로서 서술어 자리에 쓰인다.
예문 오늘 약을 잊어버리고 두고 나왔는데 어떡해.
(5) ’데다‘와 ’데이다‘
‘데다’는 불이나 뜨거운 기운으로 말미암아 살이 상하다, 몹시 놀라거나 심한 괴로움을 겪어 진저리가 나다의 의미를 가진다.
예문 그 상사한테 정말 데었어.
‘데이다’는 바른 표준어가 아니다.
예문 - X
3. 교재 제II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 중 15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에 대해 설명하고, 그 단어가 들어간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 재원 (명사) 재주가 뛰어난 젊은 여자. 젊은 여자의 의미를 모르고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문 그녀는 우리 회사의 제일가는 재원이다.
(2) 전격적 (명사, 관형사) 번개같이 급작스럽게 들이치는 것.
예문 예상할 새도 없이 전격적 조치가 시행되었다.
(3) 갑절 (명사) 어떤 수나 양을 두 번 합한 만큼
예문 이자가 붙어 돈을 갑절로 갚다.
(4) 염치 (명사) 체면을 차릴 줄 알며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 / 불고하다 (동사) 돌아보지 아니하다.
예문 염치 불고하고 부탁드립니다.
(5) 주의(注意) (명사) 어떤 한 곳이나 일에 관심을 집중하여 기울임 / 산만하다 (형용사) 어수선하여 질서나 통일성이 없다
예문 주의 산만한 학생 둘이 교실 전체 분위기를 망친다.
(6) 제치다 (동사) 거치적거리지 않게 처리하다. 일정한 대상이나 범위에서 빼다.
예문 기존 업무를 제치고 급한 일 먼저 처리했다.
(7) 장본인 (명사) 어떤 일을 꾀하여 일으킨 바로 그 사람, 부정의 의미로 사용된다.
예문 김대리가 이번 프로젝트를 망친 장본인이다.
(8) 사달 (명사) 사고나 탈
예문 김대리의 말실수 때문이 이 사달이 났다.
(9) 역임(歷任) (명사) 여러 직위를 두루 거쳐 지냄
예문 김선생님은 각종 협회는 물론 연구소장까지 역임하신 분이다.
(10) 와중 (명사) 흐르는 물이 소용돌이치는 가운데 / 일이나 사건 따위가 시끄럽고 복잡하게 벌어지는 가운데, 부정의 의미로 쓰인다.
예문 김팀장이 구조조정으로 회사가 시끄러운 와중에 휴가를 간다고 한다.
(11) 구설수 (명사) 남과 시비하거나 남에게서 헐뜯는 말을 듣게 될 운수
예문 좁은 업계에서는 구설수에 오르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12) 알은척 (명사) 어떤 일에 관심을 가지는 듯한 태도를 보임, 사람을 보고 인사하는 표정을 지음.
예문 건너편 플랫폼에 회사 후배가 있어 눈으로 알은척했다.
(13) 면모(面貌) (명사) 얼굴의 모양, 사람이나 사물의 겉모습 또는 됨됨이
예문 한 시간만 같이 있어도 사람의 면모를 판단하기는 충분하다.
(14) 인상착의 (명사) 사람의 생김새와 옷차림
예문 그때 방문한 손님의 인상착의가 기억나지 않는다.
(15) 현안(懸案) (명사) 이전부터 의논하여 오면서도 아직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 있는 문제나 의안
예문 결재 방식 변경이 중요한 현안이다.
4. 참고문헌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추천자료
2023년 1학기 방송통신대 글쓰기 중간과제물)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
2023학년 1학기 과제물 글쓰기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
(글쓰기, 공통)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
[2023 글쓰기]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
[글쓰기 2023] 1. 좋은 글의 요건 요약,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이 무엇인지 한 단...
글쓰기-2023년 교재 제I부 제1장 14쪽 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
방송통신대학교 2023학년도1학기 글쓰기(공통) - 교재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
글쓰기 )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 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