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협의의 건강증진 개념과 광의의 건강증진 개념에 대하여 각각 기술하시오.
2. 우리나라‘건강증진종합계획 2030 (HP 2030)’의 주요 내용 (비전, 목표와 주요 사업 분야 등)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3. 그린의 PRECEDE-PROCEED 모형의 특성과 각 단계를 적절한 예시와 함께 요약하여 기술하시오.
출처 및 참고자료
2. 우리나라‘건강증진종합계획 2030 (HP 2030)’의 주요 내용 (비전, 목표와 주요 사업 분야 등)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3. 그린의 PRECEDE-PROCEED 모형의 특성과 각 단계를 적절한 예시와 함께 요약하여 기술하시오.
출처 및 참고자료
본문내용
위한 단계이다. 초등학생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우관계, 성장 발육 등이 필요한 것처럼 개인이나 지역 사회에 관심을 갖는 일반적인 문제에 초점을 두고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이때 건강 문제는 삶의 질과 서로 영향을 준다. 2단계는 역학 사전으로, 1단계에서 찾아낸 사회문제와 관련된 건강 문제를 확인하고 이에 대해 우선순위를 설정한다. 이때 가장 적은 보건교육 자원으로 가장 가치 있을 것 같은 건강 문제를 선택한다. 이 건강 문제는 한강 관련 요인과 이 건강 요인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가난이라는 사회적 문제가 있는데 이 문제에 대해 영양 부족, 빈혈, 정신질환, 기생충 등은 건강 관련 요인으로 분류되고 이 문제로 인한 사회적 문제 등 건강과 관련이 없는 요인은 이 건강 요인으로 분류된다. 3단계는 행위 및 환경적 사정으로, 건강 문제와 연결되는 특별한 행위를 파악하는데, 환경요인의 사정까지 포함한 것이 프로 시드 모형이다. 2단계에서 주의 깊게 선택된 문제를 확인하여 행위와 건강 간의 원인, 결과 관계를 구축한다. 이때 행위적 원인은 물리 사회적 환경요인, 보건 의료 환경요인, 건강 요인에 있다. 이렇게 3단계 가지는 역학적 지식이 필요하다.
4단계는 교육 및 생태적 사정으로, 건강 행위에 경향을 미칠 잠재성이 있는 여러 요인인 성향 요인, 촉진요인, 강화 요인을 파악한다. 그리고 5단계에서 심장질환과 관련된 성, 연령, 가족 병력, 당뇨 등은 이 행위적 요인이고 흡연, 고지방식, 과음 등은 행위적 요인인 것처럼 건강 문제의 원인이 되는 요인에서 행위적 요인과 이 행위적 요인을 구별한다. 이후 예방을 위한 행위와 치료 행위를 정리하기 위해 관련 행위 목록을 개발한다. 이를 바탕으로 중요한 순으로 등급화하고 변경 가능과 변경 불가능 구분, 중요한 행위와 덜 중요한 행위 구분을 통해 목표 행위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변경 가능하면서 중요한 행위를 선택할 수 있고 변경이 불가능하면서 덜 중요한 행위를 선택할 수 있다. 6단계는 수행으로, 프로그램 개발과 수행에 관련되어 있다.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수행을 통해 건강 증진에 효과를 보여준다. 7, 8, 9단계는 각각 과정평가, 영향 평가, 결과평가를 나타낸다. 과정평가는 질적 측면의 심사, 동료 집단 평가, 신용, 확인, 감독을 하는 것이다. 영향 평가는 앞 단계에서 시행했던 것들에 대한 효과나 지식, 태도 행위 측면에서의 효과에 중점을 둔다. 예를 들어 단기 목표에 정확하게 도달했는지, 발생한 질병은 잘 치료가 되었으며 재발하지는 않았는지 등을 평가한다. 결과평가는 이환율, 사망률 등 여러 결과를 수치로 나타내어 전 결과로부터 얼마나 영향을 주었는지 평가한다.
출처 및 참고자료
김영임, “보건교육 계획Ⅰ: 일반적 원리 및 그린의 보건교육계획”,
5차 계획, 5차 계획총괄목표, 5차계획,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19&CONT_SEQ=365340
4단계는 교육 및 생태적 사정으로, 건강 행위에 경향을 미칠 잠재성이 있는 여러 요인인 성향 요인, 촉진요인, 강화 요인을 파악한다. 그리고 5단계에서 심장질환과 관련된 성, 연령, 가족 병력, 당뇨 등은 이 행위적 요인이고 흡연, 고지방식, 과음 등은 행위적 요인인 것처럼 건강 문제의 원인이 되는 요인에서 행위적 요인과 이 행위적 요인을 구별한다. 이후 예방을 위한 행위와 치료 행위를 정리하기 위해 관련 행위 목록을 개발한다. 이를 바탕으로 중요한 순으로 등급화하고 변경 가능과 변경 불가능 구분, 중요한 행위와 덜 중요한 행위 구분을 통해 목표 행위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변경 가능하면서 중요한 행위를 선택할 수 있고 변경이 불가능하면서 덜 중요한 행위를 선택할 수 있다. 6단계는 수행으로, 프로그램 개발과 수행에 관련되어 있다.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수행을 통해 건강 증진에 효과를 보여준다. 7, 8, 9단계는 각각 과정평가, 영향 평가, 결과평가를 나타낸다. 과정평가는 질적 측면의 심사, 동료 집단 평가, 신용, 확인, 감독을 하는 것이다. 영향 평가는 앞 단계에서 시행했던 것들에 대한 효과나 지식, 태도 행위 측면에서의 효과에 중점을 둔다. 예를 들어 단기 목표에 정확하게 도달했는지, 발생한 질병은 잘 치료가 되었으며 재발하지는 않았는지 등을 평가한다. 결과평가는 이환율, 사망률 등 여러 결과를 수치로 나타내어 전 결과로부터 얼마나 영향을 주었는지 평가한다.
출처 및 참고자료
김영임, “보건교육 계획Ⅰ: 일반적 원리 및 그린의 보건교육계획”,
5차 계획, 5차 계획총괄목표, 5차계획,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19&CONT_SEQ=365340
추천자료
지역사회간호학 일차보건의료) 일차보건의료에 관해 작성하시오 지역사회간호학 1. 일차보건...
지역사회간호학 2021년 방송대 지역사회간호학 일차보건의료사업] 1.일차보건의료사업 위한 ...
보건프로그램개발및평가c )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사업(HP2020과 HP2030)을 정리하고, 최근 ...
[보건교육 2023] 1. 협의의 건강증진 개념과 광의의 건강증진 개념 2. 우리나라 건강증진종합...
[보건교육 2023년] 1. 협의의 건강증진 개념과 광의의 건강증진 개념 2. 우리나라 건강증진종...
(보건교육, 공통) 1. 협의의 건강증진 개념과 광의의 건강증진 개념에 대하여 각각 기술하시...
보건교육] 1.협의의 건강증진 개념과 광의의 건강증진 개념 -보건교육 2.우리나라 건강증진종...
보건교육 2023년] 1. 협의의 건강증진 개념과 광의의 건강증진 개념 2. 우리나라 건강증진종...
2023 보건교육 중간과제물) 1. 협의의 건강증진 개념과 광의의 건강증진 개념에 대하여 각각 ...
[보건교육 2023] 1. 협의의 건강증진 개념과 광의의 건강증진 개념에 대하여 각각 기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