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의학 ) 1식물병을 진단할 때 이용하는 각 병에 대한 병징과 표징에 대해 설명하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물의학 ) 1식물병을 진단할 때 이용하는 각 병에 대한 병징과 표징에 대해 설명하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식물병을 진단할 때 이용하는 각 병에 대한 병징과 표징
2) 병원체의 분리 및 동정 방법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먼저 평판배지 또는 사면배지를 조제해야 한다. 포자를 형성하는 균류의 경우 병반의 경계부분을 절취하여 배지에 올려놓고 배양하는데 이때 신장하는 균사의 선단부분을 새로운 배지에 옮겨 분리한다. 세균의 경우 병반의 경계 부분을 절취하여 소독 후 마쇄액을 조제한 뒤 백금이로 배지에 도말한다. 배양되면 단일 colony를 취하여 새로운 배지에 옮겨 분리를 완성한다. 순수배양 병원체의 배지에 살균수를 주입하여 포자현탁액 또는 세균현탁액을 조제한 뒤 이를 건전한 식물에 분무접종한 후 관찰한다. 식물의학 05_강의록. 최재을 명예교수
바이러스의 경우 병반의 경계부분을 절취한 뒤 완충액과 함께 마쇄한다. 건전한 식물에 카보랜담을 얇게 뿌리고 마쇄 용액을 면봉으로 도말하면 병반이 나타나게 된다. 식물의학 05_강의록. 최재을 명예교수
(3) 병원체 동정
병원체의 동정(identification)이란 병원체의 정확한 종명을 결정짓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코흐의 원칙을 만족시키는 실험이 필요하다. 정확한 병명을 결정하는 진단 방법으로는 포장진단과 식물(개체)진단이 있다. 포장진단은 병이 발생한 포장에 가서 실태를 파악하여 병의 종류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인데 상당한 숙련도가 요구된다. 결국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식물(개체)진단이 병행되어야 하는데 이는 코흐의 원칙에 따라 식물 개체를 대상으로 전염성 병인지 그리고 병원체의 종명과 병명이 무엇인지를 파악한다. 먼저 기주식물을 면밀히 관찰하여 병징에 의한 육안진단을 내린다. 그 다음, 병든 식물의 내부 병징을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현미경으로 병원체를 확인하는 해부진단을 진행한다. 더 나아가 면역확산법, 형광항체법, 효소결합항체법(ELISA) 등과 같은 혈청학적 진단방법 또는 중합효소 연쇄반응(PCR)과 같은 분자생물학적 진단도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병원체의 특이적인 핵산을 검출하여 분석하는 방법인 유전자 진단법이 가장 민감도가 높은 방법으로 성장이 느리거나 균체의 양이 매우 적은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식물의학 05_강의록. 최재을 명예교수
3. 결론
식물의 질병의 원인은 굉장히 다양하고 이로 인해 질병을 예방하고 식물을 건강하게 키우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또한 질병이 다양하기 때문에 질병의 원인을 알아내는 방법도 다양하다. 인류는 이러한 방법들을 다양하게 발전시켜왔고 현재도 다양하게 연구하고 있다. 앞으로도 식물의학의 지속적인 발전은 우리 인류의 안전한 먹거리 확보를 위해 필수불가결한 것이 될 것이다.
4. 출처
1) 식물의학 01_강의록. 최재을 명예교수
2) 식물의학 02_강의록. 최재을 명예교수
3) 식물의학 03_강의록. 최재을 명예교수
4) 식물의학 04_강의록. 최재을 명예교수
5) 식물의학 05_강의록. 최재을 명예교수
6) 식물의학 06_강의록. 최재을 명예교수
7) 나용준 외, 수목병리학, 향문사, 28~29쪽
8) 강원대학교 식물의학전공 학과소개
https://plantmedicine.kangwon.ac.kr/applybio/intro/introduction.do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3.09.11
  • 저작시기202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232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