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 ) 선점 스케줄링 정책과 비선점 스케줄링 정책 중 한 가지만 골라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운영체제 ) 선점 스케줄링 정책과 비선점 스케줄링 정책 중 한 가지만 골라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RT(Shortest Remaining Time), MFQ(Multilevel Feedback Queue) 등이 있다. 이 중 RR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고 앞에서 FIFO를 적용한 문제에 다시 사용해보고자 한다.
RR 알고리즘은 프로세스를 Time Slice 동안만 실행하며, 우선순위를 따로 배정하지 않고 들어온 순서대로 작업하기 때문에 Time Slice가 실행시간보다 큰 경우 FIFO와 완전히 같은 과정을 보여주는 알고리즘이다.
FIFO에 Time Slice를 적용한 FIFO의 개선 알고리즘이기도 하다. FIFO 방식에서 먼저 도착한 프로세스가 긴 시간 동안 CPU를 차지하는 경우 필요한 CPU사이클이 얼마 되지 않는 가벼운 프로세스임에도 불구하고 처리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문제점을 Time Slice 만큼의 시간씩만 프로세스에 할당하는 것으로 해결하였다.
Time Slice가 2사이클인 경우의 RR을 2-(1), 2-(2)의 문제에 적용한 경우 작업 과정을 시점과 함께 표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RR 알고리즘을 적용하게 되는 경우 A-B-C-D-E-A-B-E-A의 순서로 작업을 하게 된다. 반환시간은 도착 후 반환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으로 프로세스가 끝나는 시간에서 도착시간을 빼는 것으로 구할 수 있다.
Time Slice: 2사이클
시간
상황
0사이클
프로세스 A 시작
2사이클
프로세스 A 중단, 프로세스 B 시작
4사이클
프로세스 B 중단. 프로세스 C 시작
5사이클
프로세스 C 종료, 프로세스 D 시작
7사이클
프로세스 D 종료, 프로세스 E 시작
9사이클
프로세스 E 중단, 프로세스 A 시작
11사이클
프로세스 A 중단, 프로세스 B 시작
12사이클
프로세스 B 종료, 프로세스 E 시작
14사이클
프로세스 E 종료. 프로세스 A 시작
16사이클
프로세스 A 종료
프로세스
CPU사이클
도착시간
대기시간
반환시간
A
6
0
2+1+2+2+1+2=10
16-0=16
B
3
2
1+2+2+2=7
12-2=10
C
1
3
1
5-3=2
D
2
5
0
7-5=2
E
4
7
2+1=3
14-7=7
따라서 프로세스 A의 반환시간은 160=16사이클, 프로세스 B의 반환시간은 122=10사이클, 프로세스 C의 반환시간은 53=2사이클, 프로세스 D의 반환시간은 75=2사이클, 프로세스 E의 반환시간은 147=7사이클이다. 평균 반환시간은 (16+10+2+2+7)/5=7.4사이클이다.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9.11
  • 저작시기202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233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