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리함에만 갇혀 그것을 간과하고 있고 그것은 어떤 큰 파장이 되어 우리에게 되돌아올지 모른다.
이에 대항하여 자기방어의 움직임도 일어나고 있다. 영국의 컴퓨터 과학자 팀 버너스 리는 소프트웨어 ‘솔리드’를 개발했는데 휴대전화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이름, 일정, 위치 정보 동의 개인정보를 소프트웨어 내부 개인 전용 저장소에 자동 보관하면서 웹을 이용함과 동시에 자신의 정보를 지킬 수 있도록 했다. 이것은 나의 정보를 외부에 제공할지 여부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버너스 리는 거대 기업이 독점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우려해 솔리드를 개발했다고 하는데 월드와이드웹 구조를 만든 장본인이기도 하다.
21C ‘새로운 석유’라고 불리는 데이터 자원의 발전은 경제와 사회에 수많은 혜택을 가져다준다. 거기에 앞장서 있는 것이 ‘GAFA’라 불리는 구글, 애플, 페이스북, 아마존이다. 미국의 4대 정보기술 기업인 이 회사들은 10년간 400개가 넘는 기업을 사들였고 스웨덴과 벨기에의 GDP를 능가하는 매출액을 올리고 있다. 이 거대 기업들에 부와 힘이 집중되면서 개인의 생활과 사회에 여러 가지 폐해들이 생기고 있다. 지금은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익 창출하는 일이 점차 많아지면서 데이터양의 확보와 그것을 어떻게 취급하느냐가 경쟁이 될 수 있는 시대다.
빅데이터와 AI 기술은 우리 사회의 많은 문제를 해결하고 있고 잠재력 또한 무한하다. 하지만 그것이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고 올바르게 사용될 때만이 신뢰를 기반으로 많은 이들에게 지속해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법적 제도가 갖춰줘야 하고 윤리적으로 투명하게 철저한 보안 아래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개인정보를 다루는 기업에는 책임을 엄격하게 물어야 한다. 데이터 활용을 활성화하는 동시에 프라이버시도 보호해야 하는 현 상황은 여러 가지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그 균형을 맞추기가 어렵다. 데이터의 활용이 곧 경쟁의 우위를 점하는 시대에서 뒤처질 수 있다는 불안감은 커질 수밖에 없다. 비난받을 위험을 감수하고 사용자에게 충분한 설명으로 인지시키고 개인정보를 철저히 지킨다는 기업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고 국력이라는 이름하에 그것을 방관하거나 그것을 넘어서 오히려 이용하는 정치위정자들이 존재하는 한 프라이버시에 관한 논쟁은 앞으로 끊임없이 터질 것이다. 하지만 문제가 끊임없이 발생하면 그것에 대한 해결책 또한 점차 발전하고 보완될 것이다. 각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하고 보호해가면서 편리한 세상을 만들어간다면 데이터 활용 수준을 높이면서 이 시대에 꼭 필요한 경쟁력을 키워나가는 진정성 있는 발걸음이 되리라 생각한다.
개인에게서 취득한 정보는 경제적 가치가 있으며 버너스 리가 말한 것처럼 우리의 데이터는 우리의 것이다. 이러한 인식을 기업과 개인이 철저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 데이터경제취재반 지음, 위의 도서 , 7, 11, 12, 121, 169쪽 참고
4. 출처 및 참고문헌
니혼게이자이신문 데이터경제취재반 지음, 데이터 프라이버시, (2020) , 머스트리드북
이에 대항하여 자기방어의 움직임도 일어나고 있다. 영국의 컴퓨터 과학자 팀 버너스 리는 소프트웨어 ‘솔리드’를 개발했는데 휴대전화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이름, 일정, 위치 정보 동의 개인정보를 소프트웨어 내부 개인 전용 저장소에 자동 보관하면서 웹을 이용함과 동시에 자신의 정보를 지킬 수 있도록 했다. 이것은 나의 정보를 외부에 제공할지 여부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버너스 리는 거대 기업이 독점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우려해 솔리드를 개발했다고 하는데 월드와이드웹 구조를 만든 장본인이기도 하다.
21C ‘새로운 석유’라고 불리는 데이터 자원의 발전은 경제와 사회에 수많은 혜택을 가져다준다. 거기에 앞장서 있는 것이 ‘GAFA’라 불리는 구글, 애플, 페이스북, 아마존이다. 미국의 4대 정보기술 기업인 이 회사들은 10년간 400개가 넘는 기업을 사들였고 스웨덴과 벨기에의 GDP를 능가하는 매출액을 올리고 있다. 이 거대 기업들에 부와 힘이 집중되면서 개인의 생활과 사회에 여러 가지 폐해들이 생기고 있다. 지금은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익 창출하는 일이 점차 많아지면서 데이터양의 확보와 그것을 어떻게 취급하느냐가 경쟁이 될 수 있는 시대다.
빅데이터와 AI 기술은 우리 사회의 많은 문제를 해결하고 있고 잠재력 또한 무한하다. 하지만 그것이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고 올바르게 사용될 때만이 신뢰를 기반으로 많은 이들에게 지속해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법적 제도가 갖춰줘야 하고 윤리적으로 투명하게 철저한 보안 아래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개인정보를 다루는 기업에는 책임을 엄격하게 물어야 한다. 데이터 활용을 활성화하는 동시에 프라이버시도 보호해야 하는 현 상황은 여러 가지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그 균형을 맞추기가 어렵다. 데이터의 활용이 곧 경쟁의 우위를 점하는 시대에서 뒤처질 수 있다는 불안감은 커질 수밖에 없다. 비난받을 위험을 감수하고 사용자에게 충분한 설명으로 인지시키고 개인정보를 철저히 지킨다는 기업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고 국력이라는 이름하에 그것을 방관하거나 그것을 넘어서 오히려 이용하는 정치위정자들이 존재하는 한 프라이버시에 관한 논쟁은 앞으로 끊임없이 터질 것이다. 하지만 문제가 끊임없이 발생하면 그것에 대한 해결책 또한 점차 발전하고 보완될 것이다. 각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하고 보호해가면서 편리한 세상을 만들어간다면 데이터 활용 수준을 높이면서 이 시대에 꼭 필요한 경쟁력을 키워나가는 진정성 있는 발걸음이 되리라 생각한다.
개인에게서 취득한 정보는 경제적 가치가 있으며 버너스 리가 말한 것처럼 우리의 데이터는 우리의 것이다. 이러한 인식을 기업과 개인이 철저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 데이터경제취재반 지음, 위의 도서 , 7, 11, 12, 121, 169쪽 참고
4. 출처 및 참고문헌
니혼게이자이신문 데이터경제취재반 지음, 데이터 프라이버시, (2020) , 머스트리드북
추천자료
[정보사회와 디지털문화 공통] 교재 2장의 내용을 참조하여 우리 사회에서 프라이버시의 보호...
[정보사회와 디지털문화 공통] 교재 2장의 내용을 참조하여 우리 사회에서 프라이버시의 보호...
교재 2장의 내용을 참조하여 우리 사회에서 프라이버시의 보호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피...
(정보사회와디지털문화 공통) 교재 2장의 내용을 참조하여 우리 사회에서 프라이버시의 보호...
<정보사회와디지털문화2019>교재 2장의 내용을 참조하여 우리 사회에서 프라이버시의 보호가 ...
정보사회와디지털문화 교재 2장의 내용을 참조하여 우리 사회에서 프라이버시의 보호가 제대...
사회에서 프라이버시의 보호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피해를 입었던 사례를 분석해 보고 이...
정보사회와디지털문화)교재 2장의 내용을 참조하여 우리 사회에서 프라이버시의 보호가 제대...
<정보사회와디지털문화2023>교재 2장의 내용을 참조하면서 우리 사회에서 프라이버시의 보호...
[정보사회와디지털문화 2023] 교재 2장의 내용을 참조하면서 우리 사회에서 프라이버시의 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