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지체아(지적장애아동)의 특성과 지도방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지체아(지적장애아동)의 특성과 지도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정신지체아의 특성과 지도

I. 사회성 기술의 특성과 지도

II. 지역사회생활의 특성과 지도

III. 자기지시능력의 특성과 지도

IV. 건강과 안전생활의 특성과 지도

V. 기능적 학업교과의 특성과 지도

VI. 여가생활의 특성과 지도

VII. 직업기술의 특성과 지도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음식 만들기, 세탁기나 청소기 이용하는 법 등도 필수적인 기술이 될 수 있다.
2. 건강과 안전생활에 꼭 필요한 기술들을 먼저 가르친다.
정신지체 아동의 경우 위험에 대한 인지도가 비장애아동에 비해 떨어지고, 동작도 민첩하지 못하여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읽기 학습을 한다면 건물이나 지역사회에서 볼 수 있는 정지, 진입금지, 위험 등의 표지판 읽기나 약 복용 시의 유의사항 읽기 등을 먼저 가르치는 것이 좋다.
3. 지역사회 일원으로서 생활하기에 꼭 필요한 기술들을 먼저 가르친다.
결국 모든 사람은 학습을 통해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생활하고자 하고, 정신지체 아동도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지역사회의 여러 가지 기관과 시설들을 이용하여 생활하는 것이 궁극적인 학습의 목표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음식점을 이용하기 위한 메뉴판 읽기와 주문하기, 고속버스나 열차시간 보기, 영화제목과 시간 읽기, 은행에서 입금하기, 쇼핑 목록 정하기와 예산안에서 물건 구입하기, 병원 이용하기 등 지역사회 내에서 필요한 기술들을 가르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VI. 여가생활의 특성과 지도
적절한 여가 오락활동을 하는 것은 정신지체인 자신의 생활을 위해서도 중요하고 부모와 가족의 부담을 줄이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된다.
1. 정신지체 아동의 생활연령에 적절한 여가활동을 가르쳐 준다.
열다섯 살짜리 학생이 다섯 살 아이가 하는 놀이를 한다면 이상하게 보인다. 또래 친구들이 하는 놀이와 여가활동 중에서 정신지체 아동에게 적절한 활동을 선택한다.
생활연령에 따른 여가활동의 예는 다음과 같다.
유아기 : 신체를 이용한 여러 가지 상호작용이 필요한 놀이(쎄쎄쎄) 등
아동기 :컴퓨터 게임, 놀이 공원, 공놀이, 책읽기, 윷놀이 등
청년기 :DDR 노래방, 영화관람, 음악감상, 운동경기관람 등
성인기 : 노래방, 가족 나들이, 볼링, 수편물 뜨기 등
2. 정신지체 아동의 특성에 알맞게 활동을 수정해 준다.
정신지체 아동이 할 수 없어 보이는 게임도 규칙이나 방법 등을 약간씩 수정하여 주면 참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트 게임의 경우 다트 판을 크게 해서 게임을 할 수도 있다.
공기놀이가 어려운 정신지체 아동은 코끼리 공기를 하도록 공기놀이를 수정할 수도 있다.
- 코끼리 공기 : 바닥에 공기를 흐뜨려 놓은 후 두 손을 깍지를 끼고, 양족 검지를 펀 후에 양 검지만을 이용해서 공기를 끌어올려 깍지를 낀 손안으로 하나씩 집어넣는다.
3. 어디서나 할 수 있는 여가활동이 좋다.
정신지체 아동의 생활주기를 파악하여 가장 쉽고 즐겁게 할 수 있는 활동을 선택하여 가르쳐 준다. 이때, 특별한 도움과 도구 없이 다양한 장소에서도 즐길 수 있는 활동이 좋다.
VII. 직업기술의 특성과 지도
직업은 비장애인들에게 뿐만 아니라 정신지체인들에게도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흔히 비장애인들은 정신지체인들의 낮은 지적 능력만을 보고, 정신지체인들이 어떤 일을 할 수 있다거나 직업인으로서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단정 짓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정신지체인들에게도 보다 다양한 직업교육과 각자의 능력에 맞는 직업 선택과 취업의 기회가 주어진다면 사회의 일원으로서 훌륭하게 제 몫을 해낼 수 있다.
어릴 때부터 직업교육과 연계하여 학생의 흥미와 능력에 맞는 활동을 중심으로 교육해야 한다.
정신지체 아동들은 어렸을 때부터 직업 전 교육이 보다 꾸준히 이루어져야 한다. 직업에 필요한 기술들을 단시간 내에 습득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으므로, 조기교육에서부터 아동의 흥미와, 어느 면에서 좀 더 뛰어난지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직업교육과 연계하여 꾸준히 교육해야 한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4,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3.09.14
  • 저작시기202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236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