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이후 3개년 동안의 비만율을 비교한 다음 표를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1.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비만율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다음 경우별로 비교하시오.
1) 19세 이상 국민 전체 (5점, A4 ½페이지)
2) 성별 (5점, A4 ½페이지)
①19세 이상 남자 ②19세 이상 여자
3) 연령별 (5점, A4 ½페이지)
①19세~29세 ②30세~39세 ③40세~49세
④50세~59세 ⑤60세~69세 ⑥70세 이상
2. 이를 종합하여 코로나-19는 우리나라 국민의 비만에 영향을 끼쳤는지 본인의 견해를 밝히고, 왜 그렇게 판단하게 되었는지 ‘식생활과 관련된 객관적 근거’를 들어 서술하시오. (15점, A4 2페이지)
1) 코로나-19가 우리나라 국민의 비만에 미친 영향
2) 식생활과 관련된 객관적 근거
(1) 비만의 식생활 원인
(2) 비만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식생활
(3) 식생활과 관련된 통계 분석(2021 국민건강통계)
① 영양
② 건강행태
3) 결론
3. 참고문헌
1.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비만율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다음 경우별로 비교하시오.
1) 19세 이상 국민 전체 (5점, A4 ½페이지)
2) 성별 (5점, A4 ½페이지)
①19세 이상 남자 ②19세 이상 여자
3) 연령별 (5점, A4 ½페이지)
①19세~29세 ②30세~39세 ③40세~49세
④50세~59세 ⑤60세~69세 ⑥70세 이상
2. 이를 종합하여 코로나-19는 우리나라 국민의 비만에 영향을 끼쳤는지 본인의 견해를 밝히고, 왜 그렇게 판단하게 되었는지 ‘식생활과 관련된 객관적 근거’를 들어 서술하시오. (15점, A4 2페이지)
1) 코로나-19가 우리나라 국민의 비만에 미친 영향
2) 식생활과 관련된 객관적 근거
(1) 비만의 식생활 원인
(2) 비만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식생활
(3) 식생활과 관련된 통계 분석(2021 국민건강통계)
① 영양
② 건강행태
3) 결론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섭취량
176.0
156.4
134.5
140.6
124.9
116.3
주류 1일 섭취량
146.5
155.3
141.9
130.2
121.1
102.5
육류 1일 섭취량
132.7
132.2
134.0
139.6
145.8
142.1
1일 에너지 섭취량
2,112.4
2,071.8
2,042.6
2,004.7
1,959.2
1,899.5
건강식생활실천율
44.8
45.4
41.8
46.6
44.5
46.9
아침식사 결식률
26.3
25.8
26.9
29.1
31.5
29.0
하루 1회 이상 외식률
29.5
26.9
30.2
27.7
23.4
20.8
위 데이터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3년의 식품군별 섭취량을 보면 육류 1일 섭취량을 제외하면 전부 코로나-19 이전보다 낮은 수치를 보인다. 1일 에너지 섭취량도 코로나-19 이번보다 낮은 수치로, 특히 코로나-19가 본격화된 2020년과 2021년은 모두 2000대 이하의 섭취량을 보여준다. 건강생활실천율은 코로나-19 이전보다 약간 높은 수치를 보이지만, 아침식사 결식률은 코로나-19 이전보다 다소 상승했다. 그리고 하루 1회 이상 외식률은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면 확연히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상의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판단하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우리국민의 비만율을 상승했다면, 이는 우리 국민의 식생활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왜냐하면 코로나-19 이후 1일 에너지 섭취량은 감소했고, 건강식생활실천율과 아침식사 결식률은 상승했으며, 하루 1회 이상 외식률은 감소했는데, 이는 비만 개선에 긍정적인 데이터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② 건강행태
건강행태 통계에는 월간음주율, 고위험음주율, 월간폭음율, 걷기실천율, 유산소신체활동신천율, 근력운동실천율 등이 있다. 걷기실천율은 최근 1주일 동안 걷기를 1회 10분 이상, 1일 총 30분 이상 주 5일 이상 실천한 분율을 말한다. 유산소신체활동실천율은 일주일에 중강도 신체활동을 2시간 30분 이상 또는 고강도 신체활동을 1시간 15분 이상 또는 중강도와 고강도 신체활동을 섞어서(고강도 1분은 중강도 2분) 각 활동에 상당하는 시간을 실천한 분율을 말한다. 근력운동실천율은 최근 1주일 동안 팔굽혀펴기, 윗몸 일으키기, 아령, 역기, 철봉 등의 근력운동을 2일 이상 실천한 분율을 말한다. 아래 표는 2021 국민건강통계에서 인용한 데이터이다.
구분(19세 이상)
코로나-19 이전
코로나-19 이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월간음주율
59.4
59.2
57.8
57.7
55.2
53.5
걷기실천율
39.1
38.6
39.3
42.8
39.2
40.1
유산소신체활동실천율
47.8
46.4
44.9
45.6
44.0
44.9
근력운동실천율
20.7
21.4
22.3
23.3
24.1
24.8
위 표에 따르면, 월간음주율은 코로나-19 이전보다 3.3% 하락했고, 걷기실천율은 1.7% 상승했으며, 유산소신체활동실천율은 1.6% 감소했고, 근력운동실천율은 2.6% 증가했다. 비만 개선에 걷기와 유산소활동이 중요한데, 걷기실천율은 상승했지만 유산소신체활동실천율은 감소했다. 반면 근력운동실천율은 증가했고 월감음주는 감소했다.
3) 결론
앞서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우리 국민의 비만율이 일정 부분 상승했다고 판단했는데, 코로나-19 이후 식품 및 에너지 섭취는 감소했는데 비만율은 증가했다면, 오프라인 활동을 자제함으로써 신체활동의 감소에 따른 결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다만, 신체활동 관련하여 위 표의 데이터는 코로나-19 이후의 신체활동이 뚜렷하게 감소했음을 보여주지는 않는다. 그러나 걷기실천율의 경우 2020년과 2021년만 놓고 보면 2019년보다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코로나-19가 우리국민에게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은 2020년 1월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이므로 코로나-19 이후의 기간에 2019년을 포함시키면 코로나-19 이후의 평균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3. 참고문헌
지역사회영양학, 김동우·이수경·이윤나·정상진,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보건복지부, 2021 국민건강통계,
https://knhanes.kdca.go.kr/knhanes/sub04/sub04_04_01.do
대한비만학회 http://general.kosso.or.kr
대한비만학회, 코로나19시대 국민 체중 관리 현황 및 비만 인식 조사, 2021.
176.0
156.4
134.5
140.6
124.9
116.3
주류 1일 섭취량
146.5
155.3
141.9
130.2
121.1
102.5
육류 1일 섭취량
132.7
132.2
134.0
139.6
145.8
142.1
1일 에너지 섭취량
2,112.4
2,071.8
2,042.6
2,004.7
1,959.2
1,899.5
건강식생활실천율
44.8
45.4
41.8
46.6
44.5
46.9
아침식사 결식률
26.3
25.8
26.9
29.1
31.5
29.0
하루 1회 이상 외식률
29.5
26.9
30.2
27.7
23.4
20.8
위 데이터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3년의 식품군별 섭취량을 보면 육류 1일 섭취량을 제외하면 전부 코로나-19 이전보다 낮은 수치를 보인다. 1일 에너지 섭취량도 코로나-19 이번보다 낮은 수치로, 특히 코로나-19가 본격화된 2020년과 2021년은 모두 2000대 이하의 섭취량을 보여준다. 건강생활실천율은 코로나-19 이전보다 약간 높은 수치를 보이지만, 아침식사 결식률은 코로나-19 이전보다 다소 상승했다. 그리고 하루 1회 이상 외식률은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면 확연히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상의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판단하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우리국민의 비만율을 상승했다면, 이는 우리 국민의 식생활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왜냐하면 코로나-19 이후 1일 에너지 섭취량은 감소했고, 건강식생활실천율과 아침식사 결식률은 상승했으며, 하루 1회 이상 외식률은 감소했는데, 이는 비만 개선에 긍정적인 데이터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② 건강행태
건강행태 통계에는 월간음주율, 고위험음주율, 월간폭음율, 걷기실천율, 유산소신체활동신천율, 근력운동실천율 등이 있다. 걷기실천율은 최근 1주일 동안 걷기를 1회 10분 이상, 1일 총 30분 이상 주 5일 이상 실천한 분율을 말한다. 유산소신체활동실천율은 일주일에 중강도 신체활동을 2시간 30분 이상 또는 고강도 신체활동을 1시간 15분 이상 또는 중강도와 고강도 신체활동을 섞어서(고강도 1분은 중강도 2분) 각 활동에 상당하는 시간을 실천한 분율을 말한다. 근력운동실천율은 최근 1주일 동안 팔굽혀펴기, 윗몸 일으키기, 아령, 역기, 철봉 등의 근력운동을 2일 이상 실천한 분율을 말한다. 아래 표는 2021 국민건강통계에서 인용한 데이터이다.
구분(19세 이상)
코로나-19 이전
코로나-19 이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월간음주율
59.4
59.2
57.8
57.7
55.2
53.5
걷기실천율
39.1
38.6
39.3
42.8
39.2
40.1
유산소신체활동실천율
47.8
46.4
44.9
45.6
44.0
44.9
근력운동실천율
20.7
21.4
22.3
23.3
24.1
24.8
위 표에 따르면, 월간음주율은 코로나-19 이전보다 3.3% 하락했고, 걷기실천율은 1.7% 상승했으며, 유산소신체활동실천율은 1.6% 감소했고, 근력운동실천율은 2.6% 증가했다. 비만 개선에 걷기와 유산소활동이 중요한데, 걷기실천율은 상승했지만 유산소신체활동실천율은 감소했다. 반면 근력운동실천율은 증가했고 월감음주는 감소했다.
3) 결론
앞서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우리 국민의 비만율이 일정 부분 상승했다고 판단했는데, 코로나-19 이후 식품 및 에너지 섭취는 감소했는데 비만율은 증가했다면, 오프라인 활동을 자제함으로써 신체활동의 감소에 따른 결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다만, 신체활동 관련하여 위 표의 데이터는 코로나-19 이후의 신체활동이 뚜렷하게 감소했음을 보여주지는 않는다. 그러나 걷기실천율의 경우 2020년과 2021년만 놓고 보면 2019년보다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코로나-19가 우리국민에게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은 2020년 1월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이므로 코로나-19 이후의 기간에 2019년을 포함시키면 코로나-19 이후의 평균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3. 참고문헌
지역사회영양학, 김동우·이수경·이윤나·정상진,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보건복지부, 2021 국민건강통계,
https://knhanes.kdca.go.kr/knhanes/sub04/sub04_04_01.do
대한비만학회 http://general.kosso.or.kr
대한비만학회, 코로나19시대 국민 체중 관리 현황 및 비만 인식 조사, 2021.
키워드
추천자료
생애주기 영양학 유아,소아 비만
사회복지법제와실천 2023년) 1.사회복지법을 학습해야 하는 이유와 사회복지법과 실천의 연계...
학교사회복지론 2023년 중간과제물) 1.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 목적 개념 학교사회복지론 2.자...
한국사의이해 2023년 중간과제물) 1.아래 문제 중 2개를 선택하고, 교재를 참조하여 각각 서...
자원봉사론 2023년) 현대사회에서 자원봉사가 왜 더 필요하게 되는지 그 이유,자원봉사론 자...
2023년 방송통신대 한국사의이해 중간과제물) 1.아래 문제 중 2개를 선택하고, 교재를 참조하...
자원봉사론 2023년 기말시험과제물) 특정 자원봉사활동의 주체와 대상을 선정하여 그 자원활...
사회복지정책론 2023년 2학기 중간과제물) 교재에서 제시한 사회복지 정책과정론 (제6장 및 ...
취미와예술 2023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코로나 19(COVID 19)로 중단되었던 일상이 회복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