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체의 확산속도 보고서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체의 확산속도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이론 및 목적
2. 시약 및 도구
3. 실험 과정 및 방법
4. 실험결과
5. 토의 및 고찰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서 이론으로 구한 속도비와 실험으로 구한 속도비가 오차가 있다면 온도, 질량이나 매질의 점도의 영향이 있을 것이라 생각할 수 있었다.
첫 번째 실험에서 281초가 흐르니 흰색고리띠(염화암모늄)가 생겼다. 염산이 이동한 거리는 23.4cm였고 암모니아가 이동한 거리는 34cm가 나와 염산의 이동속도를 계산하니 0.0833이 나왔고 암모니아의 이동속도는 0.12가 나와 속도비는 1:1.44가 나왔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349초가 흐르니 흰색고리띠(염화암모늄)가 생겼다. 염산이 이동한 거리는 22.3cm였고 암모니아가 이동한 거리는 34.1cm가 나와 염산의 이동속도는 0.0639, 암모니아의 이동속도는 0.0977이 나와 속도비가 1:1.53으로 측정 되었다.
세 번째 실험에서는 356초가 흐르니 흰색고리띠(염화암모늄)가 생겼다. 염산이 이동한 거리는 22.3cm였고 암모니아가 이동한 거리는 34.6cm가 나와 염산의 이동속도를 계산하니 0.0626, 암모니아의 이동속도는 0.0972가 나와 속도비는 1:1.55가 나왔다.
세 개의 실험에서 평균을 구해보니 329초가 흐르면 흰색고리띠(염화암모늄)가 생긴다고 나왔다. 염산의 이동거리의 평균은 22.7cm, 암모니아의 이동거리의 평균은 34.2cm가 나왔고 염산의 평균이동속도는 0.0690cm/s, 암모니아의 평균이동속도는 0.104cm/s가 나왔다.
두 화합물의 분자량을 이용하여 이론 속도비를 구하니 1:1.47이 나왔다. 평균 실험 속도비는 1:1.51로 이론 속도비와 실험 속도비는 아주 약간의 오차가 있었지만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왔다.
실험을 통해 분자량이 작은 물질이 기체 확산속도가 더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 참고문헌
- [네이버 지식백과] 물질 이동 [mass transfer, 物質移動] (환경공학용어사전, 1996. 4., 환경용어연구회)
- [네이버 지식백과] 기체 분자 운동론 [kinetic theory of gas] (화학백과)
- [네이버 지식백과] 확산 [Diffusion] (물리학백과)
- [ZUM 학습백과] 기체의 확산
[네이버 지식백과] 암모니아수 [ammonia water] (두산백과)
- [네이버 지식백과] 염산 [hydrochloric acid] (화학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면봉 (모발학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유리관, 고무마개(화학대사전)
공학도를 위한 새 일반화학실험
7. 팀원의 회의일정 및 기여도
없음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9.25
  • 저작시기2020.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251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