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상담자의 윤리의식
2. 상담자의 윤리의식의 중요성
1) 윤리적 의사결정
2) 윤리관
3) 윤리원칙
3. 나의 의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상담자의 윤리의식
2. 상담자의 윤리의식의 중요성
1) 윤리적 의사결정
2) 윤리관
3) 윤리원칙
3. 나의 의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직접적인 대면 관계에서 진행되는 활동으로, 상담자의 윤리적인 실천 행동이 더욱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Pope, Tabachnick와 Keith Spiegel(1987)은 상담자의 윤리적 실천 행동이란 자신의 실제 행위를 윤리영역 안에서 그에 합당한 전문성과 자질을 갖추는 것을 의미하며, 내담자 복지에 대한 책임감을 갖고 자신의 권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다. 상담자의 윤리적 실천 행동은 상담 장면에서 상담자의 전문적인 역할 수행에 필요한 중요한 요소일 뿐 아니라 내담자의 성장과 복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중요 기제이기도 하다. 상담에서 상담자가 윤리를 실천한다는 것은 어느 측면으로는 복잡한 과제로서 제시된 규범을 기계적으로 준수하는 것에서 끝나지 않는다. 상담자에게는 검증된 윤리강령에 대한 엄격한 실천과 윤리의식에 대한 내적 역량이 함께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상담 윤리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인 보완이 요구되는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상담자의 윤리의식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각각 내용들이 왜 중요한지 기술해 보았다. 상담이란 상담자와 내담자의 인간적인 만남을 통해 이루어지고,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상담자들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내담자의 인간적인 성장을 위하여함께 걸어 나가는 과정이다. 상담은 한 두 번의 만남으로 멈추는 것이라기보다는 여러 번의 계속된 만남을 통하여 내담자가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 적응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내담자의 인간적 성숙을 도와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담자는 내담자와의 만남 속에서 내담자가 최선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가능한 한 모든 방법을 동원하는 노력을 기울이며, 내담자에게 어떠한 경우라도 해를 끼쳐선 안되고 자기 행동과 생각을 윤리적인 방식으로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상담자는 상담 전문지식을 더불어 윤리적, 법적 식견을 갖추어 상담에서 다양한 핵심 요인들을 고려한 전문가적인 행동과 결정력이 필요하다.
Ⅳ. 참고문헌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2016). 상담학 사전. 학지사.
김하정, 장재홍 (2021). 윤리적 갈등상황에 대한 상담자 인식과 행동. 한국상담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박경은 (2018). 상담자의 역전이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평택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송수경, 구자경 (2017). 초심상담자에 관한 연구 동향.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상담자의 윤리의식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각각 내용들이 왜 중요한지 기술해 보았다. 상담이란 상담자와 내담자의 인간적인 만남을 통해 이루어지고,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상담자들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내담자의 인간적인 성장을 위하여함께 걸어 나가는 과정이다. 상담은 한 두 번의 만남으로 멈추는 것이라기보다는 여러 번의 계속된 만남을 통하여 내담자가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 적응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내담자의 인간적 성숙을 도와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담자는 내담자와의 만남 속에서 내담자가 최선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가능한 한 모든 방법을 동원하는 노력을 기울이며, 내담자에게 어떠한 경우라도 해를 끼쳐선 안되고 자기 행동과 생각을 윤리적인 방식으로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상담자는 상담 전문지식을 더불어 윤리적, 법적 식견을 갖추어 상담에서 다양한 핵심 요인들을 고려한 전문가적인 행동과 결정력이 필요하다.
Ⅳ. 참고문헌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2016). 상담학 사전. 학지사.
김하정, 장재홍 (2021). 윤리적 갈등상황에 대한 상담자 인식과 행동. 한국상담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박경은 (2018). 상담자의 역전이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평택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송수경, 구자경 (2017). 초심상담자에 관한 연구 동향.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