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타당도의 개념
2. 내적타당도와 외적타당도
1) 내적타당도
2) 외적타당도
3. 내적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1) 내적타당도 저해 요인
2) 내적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4. 외적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1) 외적타당도 저해 요인
2) 외적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타당도의 개념
2. 내적타당도와 외적타당도
1) 내적타당도
2) 외적타당도
3. 내적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1) 내적타당도 저해 요인
2) 내적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4. 외적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1) 외적타당도 저해 요인
2) 외적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험집단의 각 대상자에게 개입의 시간, 순서가 동일하게 적용되기 어렵다
2) 외적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외적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확률표집방법으로 연구대상을 선정하거나 표본의 크기를 크게함으로써 표본의 대표성을 높이거나, 가실험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가실험 통제집단 설계 등의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1) 표본의 대표성
선정된 조사대상자가 얼마나 전체모집단을 잘 대표하느냐의 정도를 표본의 대표성이라고 하는데, 가능하면 조사대상을 확률적 표집 또는 무작위표집으로 선정하는 방식으로 대표성을 높일 수 있다. 확률표집방법으로 연구대상을 선정하거나 표본의 크기를 크게 함으로써 표본의 대표성을 높인다.
(2) 가실험효과(플라시보효과)
플라시보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가실험통제집단설계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가실험효과가 개입되는 것을 예방하거나 통제하기 위해서는 피험자에게 조사상황을 미리 알려주기 않거나, 플라시보 통제집단을 설정하여 조사결과의 진위여부를 파악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3) 기타
①조사 대상자가 대표성을 갖도록 한다.
②개입자체가 분명하고 구조화되어야 한다
③조사진행요원은 훈련되고 자질을 갖춘자로서 개입을 동일하게 진행한다.
Ⅲ. 결론
내적타당도란 실험을 하고 난 후 검사(사후검사)를 하였을 때 나타난 결과 점수가 순순하게 실험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확신하는 정도, 즉 인과관계에 관한 확신의 정도를 말한다. 이런 내적타당도 저해 요인으로는 성숙, 외부사건, 검사, 도구, 참여자 선정 편중, 통계적 회귀, 참여자 탈락, 인과관계 방향의 모호성, 실험적 처치의 확산 또는 모방이 있다. 외적타당도란 실험으로 얻어진 결과, 개입이나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을 때, 다른 사람들(모집단)에 적용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것이라는 확신의 정도를 말한다. 외적타당도의 저해 요인으로는 실험에 대한 참여자의 반응효과, 실험과 참여자의 상호작용 효과, 실험상황 효과, 타 프로그램 효과가 있다.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은 각 ㄷ타당도를 위협하는 요인들 즉 저해 요인들을 제거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Ⅳ. 참고문헌
박창제, 김준환 외 2명 저, 사회복지조사론, 창지사, 2023
고관우, 김경민 외 3명 저, 사회복지조사론, 수양재, 2023
강종수 저, 사회복지조사론, 공동체, 2023
김진숙 저, 사회복지조사론, 선정, 2022
손병덕 저, 사회복지조사론, 학지사, 2021
2) 외적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외적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확률표집방법으로 연구대상을 선정하거나 표본의 크기를 크게함으로써 표본의 대표성을 높이거나, 가실험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가실험 통제집단 설계 등의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1) 표본의 대표성
선정된 조사대상자가 얼마나 전체모집단을 잘 대표하느냐의 정도를 표본의 대표성이라고 하는데, 가능하면 조사대상을 확률적 표집 또는 무작위표집으로 선정하는 방식으로 대표성을 높일 수 있다. 확률표집방법으로 연구대상을 선정하거나 표본의 크기를 크게 함으로써 표본의 대표성을 높인다.
(2) 가실험효과(플라시보효과)
플라시보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가실험통제집단설계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가실험효과가 개입되는 것을 예방하거나 통제하기 위해서는 피험자에게 조사상황을 미리 알려주기 않거나, 플라시보 통제집단을 설정하여 조사결과의 진위여부를 파악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3) 기타
①조사 대상자가 대표성을 갖도록 한다.
②개입자체가 분명하고 구조화되어야 한다
③조사진행요원은 훈련되고 자질을 갖춘자로서 개입을 동일하게 진행한다.
Ⅲ. 결론
내적타당도란 실험을 하고 난 후 검사(사후검사)를 하였을 때 나타난 결과 점수가 순순하게 실험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확신하는 정도, 즉 인과관계에 관한 확신의 정도를 말한다. 이런 내적타당도 저해 요인으로는 성숙, 외부사건, 검사, 도구, 참여자 선정 편중, 통계적 회귀, 참여자 탈락, 인과관계 방향의 모호성, 실험적 처치의 확산 또는 모방이 있다. 외적타당도란 실험으로 얻어진 결과, 개입이나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을 때, 다른 사람들(모집단)에 적용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것이라는 확신의 정도를 말한다. 외적타당도의 저해 요인으로는 실험에 대한 참여자의 반응효과, 실험과 참여자의 상호작용 효과, 실험상황 효과, 타 프로그램 효과가 있다.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은 각 ㄷ타당도를 위협하는 요인들 즉 저해 요인들을 제거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Ⅳ. 참고문헌
박창제, 김준환 외 2명 저, 사회복지조사론, 창지사, 2023
고관우, 김경민 외 3명 저, 사회복지조사론, 수양재, 2023
강종수 저, 사회복지조사론, 공동체, 2023
김진숙 저, 사회복지조사론, 선정, 2022
손병덕 저, 사회복지조사론, 학지사, 202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