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플라톤 “파이돈”의 요약문과 감상문
1. 요약문
2. 감상문
3. 참고문헌
1. 요약문
2. 감상문
3. 참고문헌
본문내용
같다.
<파이돈> 대화편을 관통하는 이분법을 보면, <파이돈>은 육체적인 삶을 추구하는 인간과 영혼적인 삶을 추구하는 인간 두 부분을 크게 가르고 있는 대화편이다. 전자의 속성은 감각기관·몸·육체에 집중한 삶, 쾌락적인 삶 등의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플라톤은 이에 대해 극도로 부정적이다. 반면, 후자는 이성기관, 정신, 영혼에 집중한 삶, 금욕적이고 내면을 추구하는 삶 등의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두 축은 사후 세계에서도 그대로 적용되고 있었다. 즉, 동물적인 삶을 산 사람은 동물로 태어나고, 인간적인 삶을 산 자는 인간으로 태어난다는 윤회설을 보여주기도 했으며, 이승에서 철학으로 인해 영혼을 잘 닦은 자는 신들이 사는 공간으로 갈 수 있다는 부분은 불교를 비롯하여, 동양의 여러 내세의 사상들과도 맞물려 있는 부분이었다. 즉, 물질지상주의가 만연하는 사회에서, 이 대화편이 던지는 화두는 바로 \'영혼\', 즉 내면을 돌보는 삶에 대해서이다.
현대인들은 물질보다 영혼이 우위에 있다고 생각은 하지만, 물질지상주의의 현대사회에 대해서는 괴리가 좀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런 부분에서 <파이돈>은 많은 부분을 시사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설령 이 대화편의 주된 논의인 영혼의 존재와 불멸에 대해서 내가 이해하지 못하고 논증이 어려워 따라가기가 힘들다 하더라도, 이 부분은 쉽게 설명됐으며, 이 부분 만에서라도 물질중심주의 사회에서 현실을 돌아보고 교훈을 얻는다면 많은 것을 느끼게 할 대화편이라고 생각한다. 실제 플라톤은 이 부분을 대화편의 핵심으로 간주할 정도로 강조 또 강조하며, 반복적으로 이야기하고 있음을 느꼈다.
과연 소크라테스는 플라톤이 <파이돈>에서 주장한 대로, 신들이 머무는 곳에서 불멸의 영혼으로 살아남아 있을까? 그리고 플라톤 역시도, 성실하게 철학을 공부했기 때문에 신들이 머무는 곳에서 과연 스승을 만났을까? dp 대해서는 알 수가 없다. 사실, 영혼에 대한 논의 자체가 보이지 않는 비가시적인 부분이며, 결정적으로 객관화할 수 없는 물증이 없는 논의이기 때문에 이 영혼의 담론을 그대로 수용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본인의 생각이다. 하지만 영혼이 불멸하는지 안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분명한 것은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은 <파이돈>으로 인해 우리 곁에 더욱 생생하게 남아있을 것이다. 앞으로도 그렇 것이다. <파이돈>에서 주장한 불멸의 영혼처럼
3. 참고문헌
플라톤 “파이돈” 전헌상 옮김. 아카넷. 2020
<파이돈> 대화편을 관통하는 이분법을 보면, <파이돈>은 육체적인 삶을 추구하는 인간과 영혼적인 삶을 추구하는 인간 두 부분을 크게 가르고 있는 대화편이다. 전자의 속성은 감각기관·몸·육체에 집중한 삶, 쾌락적인 삶 등의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플라톤은 이에 대해 극도로 부정적이다. 반면, 후자는 이성기관, 정신, 영혼에 집중한 삶, 금욕적이고 내면을 추구하는 삶 등의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두 축은 사후 세계에서도 그대로 적용되고 있었다. 즉, 동물적인 삶을 산 사람은 동물로 태어나고, 인간적인 삶을 산 자는 인간으로 태어난다는 윤회설을 보여주기도 했으며, 이승에서 철학으로 인해 영혼을 잘 닦은 자는 신들이 사는 공간으로 갈 수 있다는 부분은 불교를 비롯하여, 동양의 여러 내세의 사상들과도 맞물려 있는 부분이었다. 즉, 물질지상주의가 만연하는 사회에서, 이 대화편이 던지는 화두는 바로 \'영혼\', 즉 내면을 돌보는 삶에 대해서이다.
현대인들은 물질보다 영혼이 우위에 있다고 생각은 하지만, 물질지상주의의 현대사회에 대해서는 괴리가 좀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런 부분에서 <파이돈>은 많은 부분을 시사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설령 이 대화편의 주된 논의인 영혼의 존재와 불멸에 대해서 내가 이해하지 못하고 논증이 어려워 따라가기가 힘들다 하더라도, 이 부분은 쉽게 설명됐으며, 이 부분 만에서라도 물질중심주의 사회에서 현실을 돌아보고 교훈을 얻는다면 많은 것을 느끼게 할 대화편이라고 생각한다. 실제 플라톤은 이 부분을 대화편의 핵심으로 간주할 정도로 강조 또 강조하며, 반복적으로 이야기하고 있음을 느꼈다.
과연 소크라테스는 플라톤이 <파이돈>에서 주장한 대로, 신들이 머무는 곳에서 불멸의 영혼으로 살아남아 있을까? 그리고 플라톤 역시도, 성실하게 철학을 공부했기 때문에 신들이 머무는 곳에서 과연 스승을 만났을까? dp 대해서는 알 수가 없다. 사실, 영혼에 대한 논의 자체가 보이지 않는 비가시적인 부분이며, 결정적으로 객관화할 수 없는 물증이 없는 논의이기 때문에 이 영혼의 담론을 그대로 수용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본인의 생각이다. 하지만 영혼이 불멸하는지 안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분명한 것은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은 <파이돈>으로 인해 우리 곁에 더욱 생생하게 남아있을 것이다. 앞으로도 그렇 것이다. <파이돈>에서 주장한 불멸의 영혼처럼
3. 참고문헌
플라톤 “파이돈” 전헌상 옮김. 아카넷. 2020
추천자료
2017년 2학기 공통교양과목 철학의이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21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 철학의 이해) A유형, 플라톤 “크리톤”의 내용요약과 감상문
(2021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 철학의 이해) A유형. 에우튀프론의 내용 요약과 감상문
[방송통신대학교 2020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 철학의이해(공통)(연역논증,귀납논증,대응설,정...
[방송통신대학교 2021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철학의이해(공통)(소크라테스의변명)
[방송통신대학교 2021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철학의이해(공통)(크리톤 요약, 크리톤 감상)
(2023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 교육고전의이해, 공통형) 교육고전의 이해 강의를 듣고 교육이...
철학의이해 2023학년도 2학기) 철학의이해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
(2023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 철학의이해, 공통) 플라톤 “향연” 의 내용요약과 감상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