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복지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사회복지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서론
1. 읍면동 복지허브화의 추진계획 및 현황
1) 개념 및 추진배경
2) 추진 현황


Ⅱ. 본론
1. 맞춤형 복지서비스의 주요사업내용
2. 맞춤형 복지전담팀 사례관리자의 역할


Ⅲ. 결론
1. 맞춤형 복지서비스의 강점 및 장애요인에 대한 의견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민력 강화지원
- 주민주도 마을복지계획 수립ㆍ실행
- 주민력 강화 기반 지원
2. 맞춤형 복지전담팀 사례관리자의 역할
1) 읍면동 통합사례 관리
2) 사례회의 개최
- 고난이도 사례 및 일반읍면동 사례 포함
3) 시군구/읍면동 종결사례 사후관리
4) 가구별 서비스 제공 계획 수립/연계
5) 대상자별 욕구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 제공
6) 솔루션회의 시군구 희망복지지원단 의뢰
7) 종결사례 사후관리 (모니터링)
Ⅱ. 결론
맞춤형 복지서비스의 추진사업의 내용을 살펴보면 여러 형태의 서비스가 진행 중인데 그 중
내가 관심을 가졌던 사업은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에 대한 추친 내용이다.
16년 기준 보건복지서비스 추친 읍면동의 추진율은 31% 수준이었다면 읍면동 복지허브화사업 추진 후 18년 기준 보건복지서비스의 추진 읍면동의 추진율은 100% 였다.
인력 충원 역시 전담팀 설치 개소당 4명 수준으로 16년의 3.4명에서 놀란만한 수치로 확대 되었다. 노인, 장애인등 도움이 필요한 취약계층을 방문하여 상담하고 급여 제공과 서비스를 연계하는 맞춤형 복지서비스의 추진은 그 동안 사회복지 확대에 다소 회의적인 나에게 긍정적인 모습으로 느껴졌고 방문상담을 통해 복지욕구를 파악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점이 맞춤형 복지서비스의 강점이라고 생각 된다.
다만, 장애 요인으로 정신질환자에 대한 정신보건서비스가 제대로 진행될 수 있는 환경과
전문인력이 부족하지 않을까 했는데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를 실시한 어느기관의 보고서 내용에 언급된 정신장애 및 특정한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전문지식 및 전문성이 부족하고 순환보직으로 인해 장기간의 개입이 필요한 사례관리의 수행이 어렵다는 내용은 인력확충은 반드시 개선되어야 부분이라고 생각되었다.
또한, 취약계층에 대한 발굴추진 대상 선정시 범위가 기준이 명확하여 우선순위가 제대로
지속관리가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단순한 취약계층의 방문 보건복지 서비스가 아니라 이동이 불편한 주민에 대해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는 점을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읍면동 맞춤형 복지업무 매뉴얼, 보건복지부, 2017
-읍면동 맞춤형 복지업무 매뉴얼, 보건복지부, 2021
-읍면동 복지허브화 추진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채현탁, 2016
-찾아가는 보건복지사업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진석범, 경기복지재단, 2019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10.22
  • 저작시기202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278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