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1. 당뇨병의 정의
2. 역 학
II. 정상적인 당질 대사
1. 췌장의 내분비 기능
2. 당질 대사 조절 호르몬
3. 당질 대사
IIII. 당뇨병의 분류
1. 제 1형 당뇨병
2. 제 2형 당뇨병
3. 기타 특정형 당뇨병
4. 임신성 당뇨병
IV. 당뇨병의 병인과 증상
1. 제 1형 당뇨병의 병인
2. 제 2형 당뇨병의 병인
3. 제 2형 당뇨병의 위험인자
4. 당뇨병의 증상
V. 당뇨병의 진단 및 검사
1. 당뇨병의 진단
2. 당뇨병의 검사
1. 당뇨병의 정의
2. 역 학
II. 정상적인 당질 대사
1. 췌장의 내분비 기능
2. 당질 대사 조절 호르몬
3. 당질 대사
IIII. 당뇨병의 분류
1. 제 1형 당뇨병
2. 제 2형 당뇨병
3. 기타 특정형 당뇨병
4. 임신성 당뇨병
IV. 당뇨병의 병인과 증상
1. 제 1형 당뇨병의 병인
2. 제 2형 당뇨병의 병인
3. 제 2형 당뇨병의 위험인자
4. 당뇨병의 증상
V. 당뇨병의 진단 및 검사
1. 당뇨병의 진단
2. 당뇨병의 검사
본문내용
kg/m2)
당뇨병의 가족력
습관성 운동부족
인종
공복혈당장애 및 내당능장애의 병력
임신성 당뇨병의 병력 또는 4kg 이상 태아출산의 과거력
고혈압 (≥ 140/90 mmHg)
HDL 콜레스테롤 ≤ 35 mg/dl 또는 중성지방 ≥ 250 mg/dl
다낭성 난소 증후군
혈관질환의 과거력
이에 따라 제 2형 당뇨병 예방을 위한 방법으로는
1) 비만 또는 체중조절
2) 생활습관의 교정 -식사요법과 운동요법
3)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거나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약물요법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4. 당뇨병의 증상
당뇨병의 3가지 주요증상은 다뇨, 다음, 다식이며 그밖에
피로감, 식곤증, 체중감소, 전신소양감, 시력저하, 피부감염, 질염 등이 나타난다.
V. 당뇨병의 진단 및 검사
1. 당뇨병의 진단
당뇨병의 전형적인 증상이나 합병증이 동반된 경우는 진단이 용이하나 경증이나 서서히 진행되는 경우 환자는 무증상으로 진단이 수년간 지연되거나 검사가 우연히 시행될 때 까지 진단의 기회를 상실하게 된다.
* 미국 당뇨병 학회에서 개정된 당뇨병 진단기준(1997)
① 전형적인 당뇨병 증상(다뇨, 다음, 체중감소)이 있으면서 무작위로 측정한 혈당이 200 mg/dl 이상이거나
② 공복혈당이 126 mg/dl이상이거나
③ 경구 당부하 검사중 2시간 혈당이 200 mg/dl이상일 때 단 위의 3개 기준중에서 1개 이상이 확인되어야 하며, 반복검사시 같은 결과가 나와야 한다.
2. 당뇨병의 검사
1) 경구 당부하 검사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ral GTT)
. 혈당검사 결과가 모호하거나 역학적으로 당뇨병과 내당능 장애를 조사하거나 임신기간동안 임신성 당뇨병을 선별하는 검사로 권장한다.
. 검사 전 3일동안 매일 적어도 150 g 의 당질을 섭취할 것을 권장한다.
. 검사 전날 밤부터 8-14 시간 동안 금식 후 아침에 시행한다.
. 검사를 시행하는 동안에는 앉아 있도록 한다.
. 검사과정 : 기저혈당을 검사하고, 75 g 무수 포도당을 물 250-300 mL에 녹여 5분에 걸쳐 마시도록 한다. 이후 2시간 동안 매 30분 마다 혈당을 검사한다.
. 검사결과의 판정은 당뇨병의 진단기준과 동일하다.
2) 당화 혈색소 (Hemoglobin A1c, Hb A1c)
. Hemoglobin A 는 beta chain의 말단 아미노산인 valine이 포도당과 반응, 당화되어 Hemoglobin A1c가 된다.
. 장기적인 혈중 당농도의 지표로서 혈당의 갑작스런 변화에는 영향을 받지 않으며 지난 2-3개월간의 평균 혈당치를 대변하는 지표로서 전반적인 당뇨병 관리의 지표로 이용된다.
- 정상치 : 4 - 6%
하지만 간헐적으로 저혈당과 고혈당이 반복되었던 경우는 정상치로 나타날 수 있다.
3). 케톤체(ketone body)
요케톤체의 검출은 케톤증의 선별에 유용하게 쓰이는 검사이다.
요 케톤체가 양성이면 신체가 에너지 보급을 위해 당질보다 지방을 더 이용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당뇨병 조절이 불량함을 나타낸다.
당뇨병의 가족력
습관성 운동부족
인종
공복혈당장애 및 내당능장애의 병력
임신성 당뇨병의 병력 또는 4kg 이상 태아출산의 과거력
고혈압 (≥ 140/90 mmHg)
HDL 콜레스테롤 ≤ 35 mg/dl 또는 중성지방 ≥ 250 mg/dl
다낭성 난소 증후군
혈관질환의 과거력
이에 따라 제 2형 당뇨병 예방을 위한 방법으로는
1) 비만 또는 체중조절
2) 생활습관의 교정 -식사요법과 운동요법
3)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거나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약물요법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4. 당뇨병의 증상
당뇨병의 3가지 주요증상은 다뇨, 다음, 다식이며 그밖에
피로감, 식곤증, 체중감소, 전신소양감, 시력저하, 피부감염, 질염 등이 나타난다.
V. 당뇨병의 진단 및 검사
1. 당뇨병의 진단
당뇨병의 전형적인 증상이나 합병증이 동반된 경우는 진단이 용이하나 경증이나 서서히 진행되는 경우 환자는 무증상으로 진단이 수년간 지연되거나 검사가 우연히 시행될 때 까지 진단의 기회를 상실하게 된다.
* 미국 당뇨병 학회에서 개정된 당뇨병 진단기준(1997)
① 전형적인 당뇨병 증상(다뇨, 다음, 체중감소)이 있으면서 무작위로 측정한 혈당이 200 mg/dl 이상이거나
② 공복혈당이 126 mg/dl이상이거나
③ 경구 당부하 검사중 2시간 혈당이 200 mg/dl이상일 때 단 위의 3개 기준중에서 1개 이상이 확인되어야 하며, 반복검사시 같은 결과가 나와야 한다.
2. 당뇨병의 검사
1) 경구 당부하 검사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ral GTT)
. 혈당검사 결과가 모호하거나 역학적으로 당뇨병과 내당능 장애를 조사하거나 임신기간동안 임신성 당뇨병을 선별하는 검사로 권장한다.
. 검사 전 3일동안 매일 적어도 150 g 의 당질을 섭취할 것을 권장한다.
. 검사 전날 밤부터 8-14 시간 동안 금식 후 아침에 시행한다.
. 검사를 시행하는 동안에는 앉아 있도록 한다.
. 검사과정 : 기저혈당을 검사하고, 75 g 무수 포도당을 물 250-300 mL에 녹여 5분에 걸쳐 마시도록 한다. 이후 2시간 동안 매 30분 마다 혈당을 검사한다.
. 검사결과의 판정은 당뇨병의 진단기준과 동일하다.
2) 당화 혈색소 (Hemoglobin A1c, Hb A1c)
. Hemoglobin A 는 beta chain의 말단 아미노산인 valine이 포도당과 반응, 당화되어 Hemoglobin A1c가 된다.
. 장기적인 혈중 당농도의 지표로서 혈당의 갑작스런 변화에는 영향을 받지 않으며 지난 2-3개월간의 평균 혈당치를 대변하는 지표로서 전반적인 당뇨병 관리의 지표로 이용된다.
- 정상치 : 4 - 6%
하지만 간헐적으로 저혈당과 고혈당이 반복되었던 경우는 정상치로 나타날 수 있다.
3). 케톤체(ketone body)
요케톤체의 검출은 케톤증의 선별에 유용하게 쓰이는 검사이다.
요 케톤체가 양성이면 신체가 에너지 보급을 위해 당질보다 지방을 더 이용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당뇨병 조절이 불량함을 나타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