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면접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사면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6ℓ/min
- 6ℓ이상 산소 투여시 해부학적 저장소가 적어서 코나 입으로 loss되는 양이 많아 효과적이지 않음
- 5~6ℓ/min 이상의 높은 유량에서 비강 점막 건조 및 전두동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음.
(2) FiO₂ (Fraction of Inspired Oxygen, 흡기 산소 분율)의 의미
- 흡기시 산소분획을 의미함. 즉, 숨을 들이 쉴 때 그 중에 산소가 얼마나 있느냐를 나타냄.
100%의 산소를 흡입하면 FiO2는 1.0이 됨.
일반적으로 대기 중에는 20.95(약 21)%의 산소가 있으므로 FiO2가 0.21 정도 됨
(3) FiO₂ 계산방법
- 비강 캐뉼라로 공급하는 FiO₂(%) = 공기 중에 포함된 산소(%) + 산소를 공급함으로 증가하는 산소(%)
산소 1ℓ주입은 FiO₂ 4%를 증가시킴.(1L/min : FiO₂ 0.24 , 2L/min : FiO₂ 0.28)
ex) 비강캐뉼라로 5L/min의 산소를 주입할 경우-->공기 중에 약 21% 산소에 5ℓ의 산소를 공급하면서 증가하는 20 %(5ℓx 4%=20%)를 더하여 약 40%가 됨.
<추가 예상 질문>
Q. 비강캐뉼라 이용한 산소요법의 장점과 단점
장점: 안전하고 가볍고 간편함, 음식 섭취시에도 지속적으로 산소를 공급할 수 있음.
단점: 환자의 호흡조절에 따라 FiO2가 변할 수 있어 정확한 양의 산소공급X, 45%이상의 고농도의 산소는 공급X, 장기간 적용 시 점막 건조 및 손상, 통증을 야기, 비강폐쇄, 비강 점막 부종 시 사용X
17. 기관 내 흡인(endotracheal suction)
(1) 구강, 비강, 기관 흡인인 경우 적절한 각각의 삽입 길이
- 구강 흡인 : 입 가장자리에서 하악각(귓볼)까지의 길이(성인의 경우 약 13cm)
- 비강 흡인 : 코에서 하악각까지 길이(성인의 경우 약 16~20cm)
- 기관내 흡인 : 기관내관(E-tube) 길이만큼(성인의 경우 약 30~35cm)
- 기관지 절개관 흡인 : 약 10cm
(2) 적정한 흡인압, 흡인시간
- 흡인압 : 성인은 110-150mmHg, 아동은 95-100mmHg, 영아 50~95mmHg
- 흡인시간 : 카테터 삽입부터 흡인하는 시간은 10~15초 이하이고, 추가 흡인시 간격은 20~30초 간격으로 시행하되 총 흡인시간은 3~5분 이하로 시행
(3) 흡인시 카테터를 돌려가며 빼야 하는 근거 : 흡인하려는 부위에 골고루 접촉되도록 하며, 기도 점막의 한 곳에 압력이 집중되어 기관점막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
(4) 흡인시 유의할 점 : 저산소혈증(갑자기 안절부절 못하거나 불안해하거나 의식수준이 감소하거나, 산소포화도가 감소하거나 등), 기관지 점막손상(출혈 등), 심부정맥(심정지), 감염, 무기폐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환자상태 및 반응 사정
<추가 예상 질문>
Q. 흡인의 목적
-구강, 비강 및 기도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을 제거하여 기도의 개방을 유지하기 위함이고 분비물로 인한 호흡기계 감염이나 무기폐 등을 예방하기 위해
Q. 흡인 카테터의 굵기
-흡인카테터는 흡인 동안의 저산소증 예방을 위해 인공기도(E-tube 혹은 기관절개관) 내경의 1/2이하로 선택(보통 성인 12~14Fr)
Q. 저산소증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은?
-흡인 전후 Ambubag이나 인공호흡기를 이용하여 100% 산소를 공급해 줌
18. 기관절개관 관리(tracheostomy care)
(1) 기관절개관 드레싱을 할 때 사용하는 용액의 특성
-기관절개관 드레싱에 사용하는 소독액은 주로 클로로헥시딘과 같이 항균효과(특히 그람 양성 세균)가 좋으면서 피부자극이 적은 소독액을 사용해야 함
(2) 기관절개관 내관을 과산화수소수와 생리식염수 사용 이유
- 과산화수소수(H2O2) : 건조되어 딱딱해진 분비물을 부드럽게 해주며 세균, 진균, 결핵균, 바이러스, 아포 제거에 효과적이므로 내관 소독에 이용
- 생리식염수(normal saline): 과산화수소수가 남아 있으면 피부에 자극을 주므로 내관을 생리식염수로 헹구기 위해 사용
(3) Y-거즈를 끼울 때 주의해야 할 사항
- Y자가 거꾸로 되도록 아래에서 위로 끼우되 무균적으로 시행해야 함
소독 후 규격화된 Y-거즈를 사용(멸균 거즈를 잘라 사용하게 되면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음)
19. 기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적용
(1) 심폐소생술의 목적과 적응증
- 목적: 우리 몸에 가장 기본이 되는 장기인 심장, 뇌, 그리고 그외의 장기에 산소를 공급
- 적응증: 심정지(심실세동, 심실빈맥, 수축부전, 맥박 없는 전기적활동 등), 호흡정지(익수, 뇌졸중, 이물질로 인한 기도폐쇄, 약물과량 복용, 질식, 사고나 외상, 혼수 등)
(2) 심폐소생술의 기본원리(C: 순환, A: 기도확보, B: 호흡)
- C: Compression(심장압박), A: Airway(기도확보), B: Breathing(인공호흡)
- 성인인 경우는 의식 확인 후 CPR, 소아는 CPR 먼저하고 의식 확인
3) 제세동기 사용 목적과 적응증
- 사용목적: 심정지가 되어 있는 환자에게 심근에 전기적인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기충격을 주어서 심장의 정상 리듬을 가져오게 함
- 적응증: 심실세동, 무맥성 심실빈맥
(4) 올바르지 못한 심폐소생술과 제세동기의 사용에 따른 부작용
- 심정지 대상자에게서 심정지 호흡은 첫 수분간 흔하게 나타나며 이러한 징후를 사정하지 못하면 심정지 대상자의 생존 가능성이 낮아진다.
- 과도한 환기는 위 팽창으로 인한 역류, 흡인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흉곽내압을 증가시키고 심장으로 정맥혈 귀한을 저하시켜 심박출량과 생존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 가슴압박 후 가슴이 정상 위치로 이완되지 않으면 흉강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켜 심박출량을 감소시킴으로써 관상동맥과 뇌동맥으로 가는 혈류를 감소시켜 효과적인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못한다.
가슴압박이 적절히 시행되더라도 합병증으로 늑골골절이 발생함. 심폐소생술후 늑골이나 흉골 골절이 관찰되며 기흉, 혈흉, 폐좌상, 간열상, 지방색전증, 협심증, 심장염, 대동맥열상, 비장손상 등이 발생한다.
뇌손상과 심혈관계 이상은 심정지 후 소생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합병증이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3.11.22
  • 저작시기202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10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