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동역학
1. 뉴턴 역학 1~3 법칙을 설명하라
뉴턴의 운동 제 1법칙(관성의 법칙)
2. 일정한 회전반경을 갖고 회전하는 물체가 있다. 가속도를 표현하라. 이 물체의 선속도가 점점 증가한다면 어떻게 변하겠는가
3. 버스가 급격하게 정지하거나 출발할 때, 물체가 회전반경을 갖고 운동할 때 받는 가상힘(실제가 아닌 힘)에 대해서 설명하라. 어떻게 증명할 수 있는가?
4. 3의 문제에서 회전반경을 갖을 때 그 힘은 가상력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바깥으로 기우는 것을 볼 수 있다. 어떻게 설명 가능한가
5. 물 수제비를 역학적으로 설명하라.
6. 코리올리 가속도를 설명하라
7. 자유 물체도란 무엇인가? 왜 필요한가?
8. 김연아가 회전할 때 팔을 안으로 모으면 더 빨리 회전한다. 역학적 개념을 도입하여 설명하라. (질점계, 회전 관성 모멘트, 외력 단어 사용해서)
9. 당구공을 정가운데 칠 때와 약간 빗겨칠 때 무엇이 더 빠른가? 물체가 갖는 에너지는 무엇이 더 큰가. (큐와 공의 접촉시간, 공과 바닥과의 마찰은 동일하다 가정)
10. 일반적으로 마찰이란 부정적 이미지다. 마찰이 없으면 불편해지는 생활현상 5가지를 들고 설명하라.
11. 어느 정도 단단한 벽위에 두 사람이 각각 달려가서 부딪혔다. 한 사람은 벽에서 튕겨져 나왔고, 한 사람은 뚫고 나갔다. 역학적 관점에서 누가 더 아프겠는가?
12. 골프공을 때릴 때 흔히 풀 스윙을 하라고 한다. 역학적으로 설명하라.
13. 반발계수란 무엇인가? (속도가 아닌 힘 개념을 도입해서, 그게 원래 정의이다)
14. 비관성 좌표계와 뉴튼 기준 좌표계를 설명하라.
15. 토크와 모멘트의 단위는 같다.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겠는가? 일(에너지) 단위와 차이에 대해서도 설명하라
16. 포텐셜 에너지의 개념을 설명하라
17. 질점으로 문제를 풀 때와 강체로 문제를 풀 때 근본적인 차이점은 무엇인가? (무엇을 무시할 수 있는가)
II. 재료역학
1. 원형 봉을 비틀 때 모어 서클을 그려보아라. 분필이라면 어떻게 파손되겠는가? 엿가락이어도?
2. Hooke's Law를 설명하라.
3. 진응력과 공칭응력을 설명하라.
4. 항복이란? 취성재료에서도 볼 수 있는가?
5. 응력이란 무엇인가? 압력과 단위가 같은데 구분할 수 있는가? (내력과 외력 개념 이용)
6. 응력 집중이란?
7. 피로 파괴란 무엇인가. S-N 곡선의 개략적으로 그리고 설명하라.
8. 연성재료 단순 지지보에 분포 하중이 작용한다. SFD와 BMD를 그려라. 가해지는 전단응력, 굽힙응력 선도를 그리고 무엇을 기준으로 설계해야 하는지 설명하라.
9. 안전계수란 무엇인가? 선진 기술에서 안전계수는 높겠는가 낮겠는가
10. 빔에 굽힘응력과 전단응력이 동시에 작용할 때 상당 굽힘 모멘트와 상당 비틀림 모멘트의 개념의 중요성을 설명하라.
1. 뉴턴 역학 1~3 법칙을 설명하라
뉴턴의 운동 제 1법칙(관성의 법칙)
2. 일정한 회전반경을 갖고 회전하는 물체가 있다. 가속도를 표현하라. 이 물체의 선속도가 점점 증가한다면 어떻게 변하겠는가
3. 버스가 급격하게 정지하거나 출발할 때, 물체가 회전반경을 갖고 운동할 때 받는 가상힘(실제가 아닌 힘)에 대해서 설명하라. 어떻게 증명할 수 있는가?
4. 3의 문제에서 회전반경을 갖을 때 그 힘은 가상력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바깥으로 기우는 것을 볼 수 있다. 어떻게 설명 가능한가
5. 물 수제비를 역학적으로 설명하라.
6. 코리올리 가속도를 설명하라
7. 자유 물체도란 무엇인가? 왜 필요한가?
8. 김연아가 회전할 때 팔을 안으로 모으면 더 빨리 회전한다. 역학적 개념을 도입하여 설명하라. (질점계, 회전 관성 모멘트, 외력 단어 사용해서)
9. 당구공을 정가운데 칠 때와 약간 빗겨칠 때 무엇이 더 빠른가? 물체가 갖는 에너지는 무엇이 더 큰가. (큐와 공의 접촉시간, 공과 바닥과의 마찰은 동일하다 가정)
10. 일반적으로 마찰이란 부정적 이미지다. 마찰이 없으면 불편해지는 생활현상 5가지를 들고 설명하라.
11. 어느 정도 단단한 벽위에 두 사람이 각각 달려가서 부딪혔다. 한 사람은 벽에서 튕겨져 나왔고, 한 사람은 뚫고 나갔다. 역학적 관점에서 누가 더 아프겠는가?
12. 골프공을 때릴 때 흔히 풀 스윙을 하라고 한다. 역학적으로 설명하라.
13. 반발계수란 무엇인가? (속도가 아닌 힘 개념을 도입해서, 그게 원래 정의이다)
14. 비관성 좌표계와 뉴튼 기준 좌표계를 설명하라.
15. 토크와 모멘트의 단위는 같다.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겠는가? 일(에너지) 단위와 차이에 대해서도 설명하라
16. 포텐셜 에너지의 개념을 설명하라
17. 질점으로 문제를 풀 때와 강체로 문제를 풀 때 근본적인 차이점은 무엇인가? (무엇을 무시할 수 있는가)
II. 재료역학
1. 원형 봉을 비틀 때 모어 서클을 그려보아라. 분필이라면 어떻게 파손되겠는가? 엿가락이어도?
2. Hooke's Law를 설명하라.
3. 진응력과 공칭응력을 설명하라.
4. 항복이란? 취성재료에서도 볼 수 있는가?
5. 응력이란 무엇인가? 압력과 단위가 같은데 구분할 수 있는가? (내력과 외력 개념 이용)
6. 응력 집중이란?
7. 피로 파괴란 무엇인가. S-N 곡선의 개략적으로 그리고 설명하라.
8. 연성재료 단순 지지보에 분포 하중이 작용한다. SFD와 BMD를 그려라. 가해지는 전단응력, 굽힙응력 선도를 그리고 무엇을 기준으로 설계해야 하는지 설명하라.
9. 안전계수란 무엇인가? 선진 기술에서 안전계수는 높겠는가 낮겠는가
10. 빔에 굽힘응력과 전단응력이 동시에 작용할 때 상당 굽힘 모멘트와 상당 비틀림 모멘트의 개념의 중요성을 설명하라.
본문내용
a =유체의 속도/소리의 속도
Ma<0.3일때 비압축성(incompressible)
Ma<1일때 아음속(subsonic)
Ma=1일때 음속(sonic)
Ma>1일때 초음속(supersonic)
Ma>>1일때 극초음속(hypersonic)
●파스칼법칙
밀페된 공간에 채워져 있는 유체에 압력을 가하면 공간 어느 부분에라도 똑같은 압력이 전달된다는 것
차를 들어올리는 승강기, 공기 제동기, 증기헤머, 압축공기 헤머 등은 이 원리를 응용한 것이다.
이는 적은 힘으로 큰 힘을 얻고자 할때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힘전달 경로가 복잡할 때 관을 이용하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더욱 큰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내부의 전달 유체를 비압축성 유체로 사용해야 합니다.
● 캐비테이션(공동현상)
유체가 넓은 유로에서 좁은 곳으로 고속유입하거나 벽면의 요철, 만곡부 등으로 흐름이 직선적이지 못할 때 유체는 저압이 되고 포화증기압보다 낮아지면 기화되어 기포가 생성되는 현상으로 소음, 진동, 표면침식 등을 발생하는 원인
프로펠러가 회전하면 프로펠러로 유입되는 유체의 속도도 증가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속도 증가는 압력감소로 연결되어 포화압력 이하로 내려가면 액체 상태인 물이 기체 상태인 수증기로 바뀌게 되고 그것이 터지면서 큰 소음을 발생시키기도 하고 프로펠러 면을 거칠게 만들고 프로펠러를 망가뜨리기도 합니다.
-방지법(압력을 높여주는 경우)
가. 펌프의 설치 높이를 낮추어 흡입양정을 짧게 한다.
나. 관의 지름을 크게 한다.
다. 펌프의 회전수를 적게 한다.
라. 양흡입을 한다.(펌프2대)
● 맥동현상(서징현상 Surging)
펌프의 경우 송출압력과 송출유량이 주기적으로 변동하여 펌프입구 및 출구에 설치된 진공계, 압력계의 지침이 흔들리는 현상.
-발생원인
가. 송출관 내에 수조 또는 공기조가 있을 때
나. 유량 조절 밸브가 탱크 뒤쪽에 있을 때
다. 펌프의 양정곡선이 산형 일것
-방지책
가. 관로에서의 불필요한 공기탱크나 잔류공기를 제거
나. 유량조절 밸브를 기체상태가 존재하는 부분의 상류측에 설치
다. 관경을 바꾸거나 안내깃의 출구각도를 변화
● 경계마찰
고체가 서로 마찰할 때, 이 접촉면에 서로 다른 분자가 흡착하여 흡착분자층을 형성한다. 이때의 마찰을 경계마찰이라 한다. 유막을 경계로 하여 발생되는 마찰, 자동차 엔진을 시동할 때 피스톤 링과 실린더 벽 사이에서 일으키는 마찰 등이 있다. =>두 물체의 부분적 마찰
Ma<0.3일때 비압축성(incompressible)
Ma<1일때 아음속(subsonic)
Ma=1일때 음속(sonic)
Ma>1일때 초음속(supersonic)
Ma>>1일때 극초음속(hypersonic)
●파스칼법칙
밀페된 공간에 채워져 있는 유체에 압력을 가하면 공간 어느 부분에라도 똑같은 압력이 전달된다는 것
차를 들어올리는 승강기, 공기 제동기, 증기헤머, 압축공기 헤머 등은 이 원리를 응용한 것이다.
이는 적은 힘으로 큰 힘을 얻고자 할때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힘전달 경로가 복잡할 때 관을 이용하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더욱 큰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내부의 전달 유체를 비압축성 유체로 사용해야 합니다.
● 캐비테이션(공동현상)
유체가 넓은 유로에서 좁은 곳으로 고속유입하거나 벽면의 요철, 만곡부 등으로 흐름이 직선적이지 못할 때 유체는 저압이 되고 포화증기압보다 낮아지면 기화되어 기포가 생성되는 현상으로 소음, 진동, 표면침식 등을 발생하는 원인
프로펠러가 회전하면 프로펠러로 유입되는 유체의 속도도 증가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속도 증가는 압력감소로 연결되어 포화압력 이하로 내려가면 액체 상태인 물이 기체 상태인 수증기로 바뀌게 되고 그것이 터지면서 큰 소음을 발생시키기도 하고 프로펠러 면을 거칠게 만들고 프로펠러를 망가뜨리기도 합니다.
-방지법(압력을 높여주는 경우)
가. 펌프의 설치 높이를 낮추어 흡입양정을 짧게 한다.
나. 관의 지름을 크게 한다.
다. 펌프의 회전수를 적게 한다.
라. 양흡입을 한다.(펌프2대)
● 맥동현상(서징현상 Surging)
펌프의 경우 송출압력과 송출유량이 주기적으로 변동하여 펌프입구 및 출구에 설치된 진공계, 압력계의 지침이 흔들리는 현상.
-발생원인
가. 송출관 내에 수조 또는 공기조가 있을 때
나. 유량 조절 밸브가 탱크 뒤쪽에 있을 때
다. 펌프의 양정곡선이 산형 일것
-방지책
가. 관로에서의 불필요한 공기탱크나 잔류공기를 제거
나. 유량조절 밸브를 기체상태가 존재하는 부분의 상류측에 설치
다. 관경을 바꾸거나 안내깃의 출구각도를 변화
● 경계마찰
고체가 서로 마찰할 때, 이 접촉면에 서로 다른 분자가 흡착하여 흡착분자층을 형성한다. 이때의 마찰을 경계마찰이라 한다. 유막을 경계로 하여 발생되는 마찰, 자동차 엔진을 시동할 때 피스톤 링과 실린더 벽 사이에서 일으키는 마찰 등이 있다. =>두 물체의 부분적 마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