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목차
1. 문학이론, 문학 비평 일반론
2. 역사주의비평
3. 형식주의비평
4. 사회문화비평
5. 구조주의 비평
6. 심리주의비평
7. 신화·원형 비평
8. 독자반응비평, 수용미학
9. 해체비평, 탈구조주의
10. 여성주의 비평
11. 문화연구와 문학비평
12. 포스트콜로니얼리즘, 탈식민주의와 문학비평
13. 참고문헌
2. 역사주의비평
3. 형식주의비평
4. 사회문화비평
5. 구조주의 비평
6. 심리주의비평
7. 신화·원형 비평
8. 독자반응비평, 수용미학
9. 해체비평, 탈구조주의
10. 여성주의 비평
11. 문화연구와 문학비평
12. 포스트콜로니얼리즘, 탈식민주의와 문학비평
13. 참고문헌
본문내용
운 인종차별을 만들어낸다는 비판도 있다. 또한 이 운동이 식민지 현실을 극복하는 실천적 성격이 결여된 문화주의적 오류에 빠져있다는 비판이 알제리 혁명가 F. 파농에 의해 제기되기도 하였다.
12.13 저항독법: 영어는 제국의 언어요 주인의 언어이다. 영어는 영국 제국주의 이념을 전달하고, 식민지인들을 명령하고 통제하는 권력행사의 주된 매개체였다. 영문학은 식민지인들을 영국화하기 위한 문화동화 전략의 일환으로 사용되었다. 이렇듯 영어와 영문학은 영국 제국주의 전파와 실행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고, 이런 후광과 유산은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영어가 국제 공용어로서 확고하게 자리 잡고 있다는 사실이 이를 입증한다. 하지만 영어와 영문학에 스며있는 영국식 사고방식, 제국주의적 사고와 우월주의에 포섭당하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사이드는 영문학 작품에 녹아 있는 제국주의 이념을 비판적으로 읽어내는, 이른바 \'저항독법(Resistance reading)\'과 \'대위법적 읽기(Contrapuntal reading)\'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대위법적 읽기란, 음악 악보를 읽을 때처럼, 텍스트의 표면(말하는 것)과 이면(암시된 것)을 동시에 포착하는 읽기방식이다. 예를 들면 『문화와 제국주의』에서 제인 오스틴의 『맨스필드 저택 Mansfield Park』을 논하면서 그는 맨스필드라는 영국 저택의 부와 여가가 부당한 착취에 의해서 이루어졌다는 새로운 논점을 제시했다. 영국인 주인 토마스 버트람 경이 식민지 안티구와에서 농장경영을 통해 부를 축적했다는 점을 사이드는 지적한다. 이처럼 텍스트를 식민주의 맥락과 연결짓는 것이 사이드식 저항독법이다.
사이드는 텍스트를 읽을 때 텍스트 밖의 현실, 예를 들면 제국주의가 작동하는 현실과 역사라는 맥락에 주목한다. 사이드는 서구 제국주의를 삐딱하게 바라보고, 지배 권력에 흡수 및 고용되지 않고, 텍스트 속에 갇혀 있지 않고서 현실과 역사를 바라보려 했다.
<참고문헌>
문학비평용어사전, 한국문학평론가협회 편, 2006.1.30, 국학자료원
조너선 컬러, 『문학이론』, 이은경·김옥희 역, 동문선, 1999.
드라마사전, 김광요 外, 2010, 문예림
Basic 고교생을 위한 문학 용어사전, 구인환, 2006.11.5, (주)신원문화사
두산백과
국어사전
앤드류 에드거·피터 세스웍, 『문화 이론 사전』, 박명진 외 역, 한나래, 2003.
톰 보토모어, 『마르크스 사상사전』, 임석진 편역, 청아출판사, 1988.
마르크스, 『자본론』 김수행 역, 비봉출판사, 2004.
P. 해밀턴 저, 『사회구조와 사회의식 : 지식사회학의 흐름』, 한울, 1984.
송호근, 『지식사회학』, 나남, 1990.
레이몬드 위리엄즈, 『문화와 사회』,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8.
딕 헵디지, 『하위문화 : 스타일의 의미』, 현실문화연구, 1998.
그래엄 터너, 『문화연구입문』, 한나래, 1999.
아이히호른, 『변증법적 유물론』, 윤정윤 역, 동녘, 1996.
아이히호른, 『역사적 유물론』, 동녘, 1990.
독고종, 『변증법적 유물론 비판』, 과학과사상, 1994.
남기심, 이정민, 이홍배, 1997: 55-60
한국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문학비평용어사전, 한국문학평론가협회 편, 2006.1.30, 국학자료원
- 박찬기, 『수용미학』, 고려원, 1992.
- 차봉희, 『수용미학』, 문학과 지성사, 1985.
- 허창훈, 『현대 문예학 개론』, 서울대 출판부, 1986
- 한국현상학회 편,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심설당, 1983.
- 에드문트 훗설, 『순수 현상학과 현상학적 철학의 이념들』, 칼슈만 편, 최경호 역, 문학과 지성사, 1997.
- 레이먼 셀던, 『현대문학이론』, 현대문학이론연구회 역, 문학과지성사, 1987.
- 볼프강 이저, 『독서행위』, 이유선 역, 신원문화사, 1993.
- 조너던 컬러, 『해체비평』, 이만식 역, 현대미학사, 1998.
- 크리스토퍼 노리스, 『해체 비평』, 이기우 역, 한국문학사, 1996
- 김인환, 「쥴리아 크리스테바의 담론 연구 - 관조적 담론과 텍스트 - 실천적 담론을 중심으로」, 『불어불문학연구』30, 1995.
- 이진우, 「담론이란 무엇인가 - 담론개념에 관한 학제 간 연구 -」, 『철학연구』56, 1996.
- 변학수, 「인식의 담론에서 문화의 담론으로 - 딜타이의 인문과학」, 『독일문학』74, 2000.
- 이득재, 「문화연구의 담론지형」, 『문화과학』29, 2002
- 크리스토퍼 노리스, 『데리다』, 이종인 역, 시공사, 1999.
- H. 키멜레 지음, 『데리다』, 박상선 역, 서광사, 1996.
- 자크 데리다, 『해체』, 김보현 편역, 문예출판사, 1996.
- 로이 보인, 『데리다와 푸꼬, 동일성과 차이』, 홍원표 역, 인간사랑, 1998.
- 마단 사럽, 『데리다와 푸꼬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 임헌규 편역, 인간사랑, 1999
- 페터 지마, 『데리다와 예일학파』, 김예진 역, 문학동네, 2001.
- 쟈크 데리다, 『해체』, 김보현 역, 문예출판사, 1996.
- 퍼트리샤 워, 『메타픽션』, 열음사, 1989.
- 권택영, 『포스트모더니즘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0.
- 정끝별, 『패러디의 시학』, 문학세계사, 1997.
- 빅토르 츠메가치 외, 『현대 문학의 근본 개념 사전』, 류종영 외 공역, 솔출판사, 1996.
- 한국현대문학대사전
- 소설학 사전, 1999.2.25, 문예출판사
- 정신분석용어사전, 2002.8.10, 서울대상관계정신분석연구소[한국심리치료연구소]
- 법률용어사전, 2010.1.15, 법문북스
- 사회복지학사전, 2009.8.15, Blue Fish
- 네이버 기관단체사전: 종교예술 분야, 미래를 소유한 사람들
- 시사상식사전, 2013
- 철학사전, 2009, 중원문화
- 두산백과
- 피에르 부르디외와 한국사회, 2004.3.30, ㈜살림출판사
- 탈식민주의에 대한 성찰-푸코, 파농, 사이드, 바바, 스피박, 2006.7.30, ㈜살림출판사
- 위키백과
- 사회학사전, 2000.10.30, 사회문화연구소
- 21세기 정치학대사전, 2010.1.5, 한국사전연구사
12.13 저항독법: 영어는 제국의 언어요 주인의 언어이다. 영어는 영국 제국주의 이념을 전달하고, 식민지인들을 명령하고 통제하는 권력행사의 주된 매개체였다. 영문학은 식민지인들을 영국화하기 위한 문화동화 전략의 일환으로 사용되었다. 이렇듯 영어와 영문학은 영국 제국주의 전파와 실행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고, 이런 후광과 유산은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영어가 국제 공용어로서 확고하게 자리 잡고 있다는 사실이 이를 입증한다. 하지만 영어와 영문학에 스며있는 영국식 사고방식, 제국주의적 사고와 우월주의에 포섭당하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사이드는 영문학 작품에 녹아 있는 제국주의 이념을 비판적으로 읽어내는, 이른바 \'저항독법(Resistance reading)\'과 \'대위법적 읽기(Contrapuntal reading)\'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대위법적 읽기란, 음악 악보를 읽을 때처럼, 텍스트의 표면(말하는 것)과 이면(암시된 것)을 동시에 포착하는 읽기방식이다. 예를 들면 『문화와 제국주의』에서 제인 오스틴의 『맨스필드 저택 Mansfield Park』을 논하면서 그는 맨스필드라는 영국 저택의 부와 여가가 부당한 착취에 의해서 이루어졌다는 새로운 논점을 제시했다. 영국인 주인 토마스 버트람 경이 식민지 안티구와에서 농장경영을 통해 부를 축적했다는 점을 사이드는 지적한다. 이처럼 텍스트를 식민주의 맥락과 연결짓는 것이 사이드식 저항독법이다.
사이드는 텍스트를 읽을 때 텍스트 밖의 현실, 예를 들면 제국주의가 작동하는 현실과 역사라는 맥락에 주목한다. 사이드는 서구 제국주의를 삐딱하게 바라보고, 지배 권력에 흡수 및 고용되지 않고, 텍스트 속에 갇혀 있지 않고서 현실과 역사를 바라보려 했다.
<참고문헌>
문학비평용어사전, 한국문학평론가협회 편, 2006.1.30, 국학자료원
조너선 컬러, 『문학이론』, 이은경·김옥희 역, 동문선, 1999.
드라마사전, 김광요 外, 2010, 문예림
Basic 고교생을 위한 문학 용어사전, 구인환, 2006.11.5, (주)신원문화사
두산백과
국어사전
앤드류 에드거·피터 세스웍, 『문화 이론 사전』, 박명진 외 역, 한나래, 2003.
톰 보토모어, 『마르크스 사상사전』, 임석진 편역, 청아출판사, 1988.
마르크스, 『자본론』 김수행 역, 비봉출판사, 2004.
P. 해밀턴 저, 『사회구조와 사회의식 : 지식사회학의 흐름』, 한울, 1984.
송호근, 『지식사회학』, 나남, 1990.
레이몬드 위리엄즈, 『문화와 사회』,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8.
딕 헵디지, 『하위문화 : 스타일의 의미』, 현실문화연구, 1998.
그래엄 터너, 『문화연구입문』, 한나래, 1999.
아이히호른, 『변증법적 유물론』, 윤정윤 역, 동녘, 1996.
아이히호른, 『역사적 유물론』, 동녘, 1990.
독고종, 『변증법적 유물론 비판』, 과학과사상, 1994.
남기심, 이정민, 이홍배, 1997: 55-60
한국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문학비평용어사전, 한국문학평론가협회 편, 2006.1.30, 국학자료원
- 박찬기, 『수용미학』, 고려원, 1992.
- 차봉희, 『수용미학』, 문학과 지성사, 1985.
- 허창훈, 『현대 문예학 개론』, 서울대 출판부, 1986
- 한국현상학회 편,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심설당, 1983.
- 에드문트 훗설, 『순수 현상학과 현상학적 철학의 이념들』, 칼슈만 편, 최경호 역, 문학과 지성사, 1997.
- 레이먼 셀던, 『현대문학이론』, 현대문학이론연구회 역, 문학과지성사, 1987.
- 볼프강 이저, 『독서행위』, 이유선 역, 신원문화사, 1993.
- 조너던 컬러, 『해체비평』, 이만식 역, 현대미학사, 1998.
- 크리스토퍼 노리스, 『해체 비평』, 이기우 역, 한국문학사, 1996
- 김인환, 「쥴리아 크리스테바의 담론 연구 - 관조적 담론과 텍스트 - 실천적 담론을 중심으로」, 『불어불문학연구』30, 1995.
- 이진우, 「담론이란 무엇인가 - 담론개념에 관한 학제 간 연구 -」, 『철학연구』56, 1996.
- 변학수, 「인식의 담론에서 문화의 담론으로 - 딜타이의 인문과학」, 『독일문학』74, 2000.
- 이득재, 「문화연구의 담론지형」, 『문화과학』29, 2002
- 크리스토퍼 노리스, 『데리다』, 이종인 역, 시공사, 1999.
- H. 키멜레 지음, 『데리다』, 박상선 역, 서광사, 1996.
- 자크 데리다, 『해체』, 김보현 편역, 문예출판사, 1996.
- 로이 보인, 『데리다와 푸꼬, 동일성과 차이』, 홍원표 역, 인간사랑, 1998.
- 마단 사럽, 『데리다와 푸꼬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 임헌규 편역, 인간사랑, 1999
- 페터 지마, 『데리다와 예일학파』, 김예진 역, 문학동네, 2001.
- 쟈크 데리다, 『해체』, 김보현 역, 문예출판사, 1996.
- 퍼트리샤 워, 『메타픽션』, 열음사, 1989.
- 권택영, 『포스트모더니즘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0.
- 정끝별, 『패러디의 시학』, 문학세계사, 1997.
- 빅토르 츠메가치 외, 『현대 문학의 근본 개념 사전』, 류종영 외 공역, 솔출판사, 1996.
- 한국현대문학대사전
- 소설학 사전, 1999.2.25, 문예출판사
- 정신분석용어사전, 2002.8.10, 서울대상관계정신분석연구소[한국심리치료연구소]
- 법률용어사전, 2010.1.15, 법문북스
- 사회복지학사전, 2009.8.15, Blue Fish
- 네이버 기관단체사전: 종교예술 분야, 미래를 소유한 사람들
- 시사상식사전, 2013
- 철학사전, 2009, 중원문화
- 두산백과
- 피에르 부르디외와 한국사회, 2004.3.30, ㈜살림출판사
- 탈식민주의에 대한 성찰-푸코, 파농, 사이드, 바바, 스피박, 2006.7.30, ㈜살림출판사
- 위키백과
- 사회학사전, 2000.10.30, 사회문화연구소
- 21세기 정치학대사전, 2010.1.5, 한국사전연구사
소개글